"감염병 스트레스" 이겨낼 수 있습니다.
인천시에서는 코로나19 관련 불안, 우울, 스트레스 등의 심리적 문제 해결을 위하여 11개 광역 및 기초센터에서 심리 상담 등 정서지원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코로나19 감염병 스트레스란?
- 입원 치료 및 격리 과정, 감염병 위험 노출 때문에 생겨난 감염병 스트레스로 정신적 고통 호소
- 수면 장애, 우울과 공포감, 불안과 긴장, 불신과 분노, 무기력함 등 대부분의 증상들은 적절한 대처 방법을 알고 활용하면 효과적인 회복 가능
정신건강 대처법
- 자신의 몸과 마음 돌보기
- 감염병 스트레스는 지극히 정상적인 반응이며 스스로 대처할 수 있다는 긍정적 태도와 자기 암시
- 규칙적인 생활 패턴, 충분한 수면, 건강한 식습관, 가벼운 움직임, 명상, 심호흡 등 - 힘든 감정 나누기
- 접촉이 제한되는 상황이라면 전화, 문자, 영상통화를 활용하여 주변 사람들과 긍정적 소통 유지 - 정신건강 전문가의 도움받기
- 심한 스트레스 지속될 시 정신건강전문가의 도움 요청 - 신뢰할 수 있는 정보에 집중하기
- 질병관리본부, 보건소의 공식 채널을 통하여 정보를 확인
- 과도한 뉴스나 인터넷 정보 검색 지양
코로나19 심리지원단
- 구성 : 인천광역시와 각 군‧구 34개반 114명
- 지원대상 : 확진자, 격리자, 일반시민
- 주요내용
- 24시간 핫라인 운영(☎1577-0199)
- 高위험군 선별‧집중 관리
- 전화 및 대면 심리 상담을 통한 심적 안정과 일상생활 복귀 도모
- 심리상담 안내, 리플렛ㆍ홍보물 제작, 인터넷 및 보도 매체 활용 홍보 등 관련 정보 제공
감염병 스트레스 자가 테스트
우울증상(PHQ-9)
- 지난 2주일 동안 당신은 다음의 문제들로 인해서 얼마나 자주 방해를 받았습니까?
문항 | 전혀 방해 | 며칠동안 방해 받았다 | 7일 이상 방해 받았다 | 거의 매일 방해 받았다 | |
---|---|---|---|---|---|
1 | 일 또는 여가 활동을 하는데 흥미나 즐거움을 느끼지 못함 | 0 | 1 | 2 | 3 |
2 | 기분이 가라앉거나, 우울하거나, 희망이 없음 | 0 | 1 | 2 | 3 |
3 | 잠이 들거나 계속 잠을 자는 것이 어려움, 또는 잠을 너무 많이 잠 | 0 | 1 | 2 | 3 |
4 | 피곤하다고 느끼거나 기운이 거의 없음 | 0 | 1 | 2 | 3 |
5 | 입맛이 없거나 과식을 함 | 0 | 1 | 2 | 3 |
6 | 자신을 부정적으로 봄–자신이 실패자라고 여겨지거나 자신 또는 가족을 실망시켰다고 느낌 | 0 | 1 | 2 | 3 |
7 | 신문을 읽거나 텔레비전 보는 것과 같은 일상적인 일에 집중하는 것이 어려움 | 0 | 1 | 2 | 3 |
8 | 다른 사람들이 주목할 정도로 너무 느리게 움직이거나 말을 함. 또는 반대로 평상시보다 많이 움직여서, 너무 안절부절 못하거나 들떠있음 | 0 | 1 | 2 | 3 |
9 | 자신이 죽는 것이 더 낫다고 생각하거나 어떤 식으로든 자신을 해치려고 생각함 | 0 | 1 | 2 | 3 |
우울증 검사 결과
정상 (총점 0-4점) | 적응상의 지장을 초래할 만한 우울 관련 증상을 거의 보고하지 않았습니다. | ||
---|---|---|---|
경미한 수준 (총점 5-9점) | 경미한 수준의 우울감이 있으나 일상생활에 지장을 줄 정도는 아닙니다. | ||
중간 수준 (총점 10-14점) | 중간 수준의 우울감을 비교적 자주 경험하고 있으며 직업적, 사회적 적응에 일부 영향을 미칠 수 있어 주의 깊은 관찰과 관심이 필요합니다. | ||
약간 심한 수준 | 약간 심한 수준의 우울감을 자주 경험하고 있으며 직업적, 사회적 적응에 일부 영향을 미칠 경우, 정신건강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 보시기를 권해 드립니다. | ||
심한 수준 | 광범위한 우울증상을 매우 자주, 심한 수준에서 경험하는 것으로 있으며 일상생활의 다양한 영역에서 어려움이 초래될 경우, 추가적인 평가나 정신건강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보시기를 권해 드립니다. |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PC-PTSD5)
- 살면서 두려웠던 경험, 끔찍했던 경험, 힘들었던 경험, 그 어떤 것이라도 있다면,그것 때문에 지난 1달 동안 다음을 경험한 적이 있습니까?
| 문항 | 아니오 | 예 |
---|---|---|---|
1 | 그 경험에 관한 악몽을 꾸거나, 생각하고 싶지 않은데도 그 경험이 떠오른 적이 있었다. | 0 | 1 |
2 | 그 경험에 대해 생각하지 않으려고 애쓰거나, 그 경험을 떠오르게 하는 상황을 피하기 위해 특별히 노력하였다. | 0 | 1 |
3 | 늘 주변을 살피고 경계하거나, 쉽게 놀라게 되었다. | 0 | 1 |
4 | 다른 사람, 일상 활동, 또는 주변 상황에 대해 가졌던 느낌이 없어지거나, 그것에 대해 멀어진 느낌이 들었다. | 0 | 1 |
5 | 그 사건이나 그 사건으로 생긴 문제에 대해 죄책감을 느끼거나, 자기 자신이나 다른 사람에 대한 원망을 멈출 수가 없었다. | 0 | 1 |
스트레스 검사 결과
정상 (총점 0-1점) | 일상생활 적응에 지장을 초래할 만한 외상 사건 경험이나 이와 관련된 인지적, 정서적, 행동적 문제를 거의 보고하지 않았습니다. | ||
---|---|---|---|
주의 요망 (총점 2점) | 외상 사건과 관련된 반응으로 불편감을 호소하고 있습니다. 평소보다 일상생활에 적응하는 데 어려움을 느끼신다면 추가적인 평가나 정신건강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보시기를 권해드립니다. | ||
심한 수준 (총점 3-5점) | 외상 사건과 관련된 반응으로 심한 불편감을 호소하고 있습니다. 평소보다 일상생활에 적응하는 데 어려움을 느낄 수 있습니다. 추가적인 평가나 정신건강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보시기를 권해드립니다. |
위기상담전화
인천광역정신건강복지센터 24시간 핫라인 ☎1577-0199
중구정신건강복지센터 | 032-760-6090 | 동구정신건강복지센터 | 032- 765-3690 |
---|---|---|---|
미추홀구정신건강복지센터 | 032- 421-4045 | 연수구정신건강복지센터 | 032- 899-9430 |
남동구정신건강복지센터 | 032- 465-6412 | 부평정신건강복지센터 | 032- 330-5602 |
삼산정신건강복지센터 | 032- 330-1371 | 계양구정신건강복지센터 | 032- 547-7087 |
서구정신건강복지센터 | 032- 560-5006 | 강화군정신건강복지센터 | 032- 932-4093 |
"인천시가 당신의 마음을 함께 응원하겠습니다."
감염병 스트레스 대처방법으로 나의 몸과 마음을 살펴주시고, 혼자서 견디기 힘들 땐 도움을 요청해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