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여건 (전망)
- 재난‧안전에 대한 시민의 기대수준 증가
- 사회가 발전하고 소득수준이 향상되면서 시민의 안전에 대한 관심 및 안전서비스 요구 증가
- 코로나19 등 감염병, 상수도 유충 발생 등 다양한 위기 유형에 대응하기 위한 운영체계 보완 및 운영관리 전문성 확보 필요
- 복잡·다양화되는 사회기반시설로 인한 복합재난 발생
- 대도심 교통시설, 초고층 지하연계 복합건축물, 초대형 다중이용시설 등 사회기반시설 고도화와 구도심 지역의 건축물 노후화 등으로 인해 대형복합 재난 발생 가능성 증가
- 재난의 국제협력 및 공동대응의 중요성 증대
- 전 지구적인 기후변화에 따라 폭염 및 가뭄의 장기화, 국지적인 돌발성 집중호우 증가 등으로 인한 피해 증가 및 재난환경의 불확실성 고조
- 기후변화, 테러, 미세먼지 등 국경을 초월하는 재난 발생으로 이를 해결하기 위한 국제협력 및 공동대응의 중요성 증대
- 정책목표 (비전)비전“시민을 위한 최상의 복지, 안전인천 구현"목표시민이 체감할 수 있는 재난안전망 구축
전략 1.
선제적 재난관리체계 구축
- 시민안전정책회의를 통한 시민 안전과 재산보호
- 지역안전지수 및 재난관리평가를 통한 재난관리 역량 강화
- 시민 안전의식 개선 및 안전문화 정착
- 유엔과 함께하는 국제안전도시 조성
- IOT활용 노후·위험시설 안전관리 플랫폼 구축
전략 2.
사회재난 대응역량 강화 및 시설물 안전대책 강화
- 재난안전대책본부 효율적 구성 및 운영
- 시설물 점검 및 조치강화를 통한 사전 재난예방
- 재난대응 안전한국훈련 실시
- 코로나19 재난안전대책본부 대응태세 강화
전략 3.
꼼꼼한 자연재난 예방 및 대응
- 우수저류시설 설치
- 선제적 자연재난 대응체계 확립
- 재난 예・경보시설 구축·운영
전략 4.
재난상황 대응역량 기반체계 강화
- 상습침수지역 관제시스템 구축
- 안전영상(CCTV) 인프라 지속 확충
- 재난대응 영상회의 고도화
전략 5.
민생범죄 대응력 제고로 안전한 생활환경 조성
- 수사역량 강화
- 생활환경 위해사업장 관리 강화
- 식품사고 예방을 위한 위해식품 감시 강화
전략 6.
비상사태 대비 완벽한 지역방위태세 확립
- 비상대비태세 확립 및 통합방위 체계 구축
- 안전한 인천을 위한 민방위 대응역량 강화
- 시민안전본부 구성
- 시민안전본부
- 안전정책과
- 안전기획
- 중대시민재해예방
- 안전교육
- 안전협력
-
- 사회재난과
- 사회재난관리
- 시설물재난관리
- 생활안전
- 코로나19 총괄관리
-
- 자연재난과
- 자연재난
- 재난영향분석
- 기후지진
-
- 재난상황과
- 재난상황1
- 재난상황2
- 재난상황3
- 재난상황4
-
- 특별사법경찰과
- 수사정책
- 환경수사
- 식품위생수사
-
- 비상대책과
- 비상대책
- 민방위
- 경보통제소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