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Automatic Translation Initialize

Tradition

[IMPRESS TRADITION] Gyubangdarye (boudoir tea ceremony) Holder Choi So-yeon

Views
290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of Incheon - Gyubangdarye (boudoir tea ceremony) Holder Choi So-yeon

인천무형유산 규방다례 보유자 최소연


Korean Manners Felt

through the Deep Scent of Tea

그윽한 차향으로

느끼는 한국의 예



Koreans enjoyed tea a lot in the past. It was not merely to relieve thirst. People had tea and shared pleasant chats in proper manners, which they considered a form of asceticism. 

However, the tea culture has been forgotten with the passing of time. 

As various coffees and modern beverages became popular, fewer and fewer people are having tea. Nonetheless, a person silently makes an effort to spread the traditional tea culture in daily life. 

It is Choi So-hyeon, the holder of Incheon’s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Gyubangdaryeboudoir tea ceremony.

과거 한국에서는 차를 즐겼다. 단순히 갈증을 해소하기 위함이 아니었다. 예법을 갖춰 차를 마시고 담소를 나눴으며 그 과정을 수행의 한 방법으로 삼았다. 

그러나 시대가 변하면서 차문화는 점차 잊혀 가고 있다. 다양한 커피와 현대 음료가 대중화되면서 차를 마시는 이들이 줄어든 것이다. 

이에 전통 차 문화를 일상 속에 스며들게 하기 위해 묵묵히 노력하는 이가 있다. 

인천무형유산 규방다례 보유자인 최소연이다.


Korean Tea Culture, Continued Silently

묵묵히 잇는 한국의 차 문화


It is well-known that tea is good for health. Not to mention its excellent antioxidative effect, it relieves inflammation and helps skin health and diet. Choi So-hyeon, the holder of Incheon’s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Gyubangdarye, added that tea can also bring psychological comfort because it comforts the heart, gives peace of mind, and helps build good character through the spirit of tea. 

She also mentioned that tea has various charms that make us love it. Her mother mainly influenced her decision to preserve tea culture.

 As the first holder of Gyubangdarye, her mother spread the tea culture from the 1970s and significantly contributed to the establishment of traditional tea culture in modern society. 

She became familiar with tea naturally while following her mother from childhood, captivated by its scent and taste. 

She eventually became the second holder of Incheon’s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Gyubangdarye, and has made efforts to spread the tea culture over 60 years.

차가 건강에 좋다는 사실은 익히 알려져 있다. 항산화 효과가 뛰어나고 염증을 완화는 물론 피부 건강과 다이어트에 도움을 준다. 

더해 인천무형유산 규방다례 최소연 보유자는 정신적인 측면에서 안정감을 얻을 수 있다고 알려준다. 

마음의 위안과 평온을 가져다주는 효능을 지녔을 뿐만 아니라 차 정신을 통해 좋은 인품으로 다듬을 수 있기 때문이다. 

이 외에도 차에게 빠질 수밖에 없는 다채로운 매력이 있다고 이야기한다. 그녀가 차 문화를 잇고자 결심한 것은 어머니의 역할이 컸다. 

규방다례 제1대 보유자인 어머니는 1970년대부터 차 문화를 보급하며 한국 차 문화를 정립하는데 크게 기여한 인물이다. 어린 시절부터 어머니를 따라다니며 자연스레 차와 가까워졌고 그 향과 맛에 사로잡혔다. 

결국 인천무형유산 규방다례 제2대 보유자가 되었고, 60여 년간 차 문화 활성화를 위해 힘쓰고 있다. 


Power of Warmth in Tea Culture

차 문화가 가진 따뜻한 힘


Gyubangdarye is a traditional culture(custom of drinking tea). The Joseon Dynasty noble women, who could not freely go out due to the Confucian lifestyle, invited neighbors and relatives to promote friendship and learn proper behaviors over tea. It is more than drinking tea; it is a process of making relationships and teaching manners. In particular, Korean tea culture emphasizes a moderate taste that is not too bland, not too strong, and balanced. It also requires respect for and empathy with one another when drinking tea together. According to Choi Soyeon, tea manner is a continuation of small considerations.

The water used to warm up the cups so that the warmth would stay long is poured first in the guest’s up and removed later. The brewed tea is poured in my cup first to see if it is brewed appropriately according to the color of the tea and then poured in the guest’s cup. Tea is poured in three portions by taking turns to achieve desired strength and the tea cup is handed to the guest courteously.

Greet the people you drink with before drinking tea and quietly savor the tea while drinking, being considerate of others. All this is ultimately to lower ourselves and be considerate of others. We naturally learn manners and become accustomed to being considerate of others, while drinking tea. 

규방다례는 조선시대 유교적 생활 속에서 외출이 어려웠던 사대부가 여성들이 이웃, 친지를 초대해 차를 마시며 우애를 다지고 바른 몸가짐을 익힌 전통문화(음다풍속)다. 단순한 차 마시는 행위가 아니라 관계를 맺고 예절을 배우는 과정이었다. 특히 한국의 차 문화는 지나치게 강하지도 너무 옅지도 않은 적당한 맛과 균형을 맞추는 것을 중시했다. 그리고 무엇보다 함께 차를 마실 때는 상대를 존중하고 공감하는 마음이 필요하다는 것이 최소연 보유자의 가르침이다. 그녀가 설명하는 차 예법은 작은 배려의 연속이다. 

손님 잔에 따스한 온기가 오래 머물도록 찻잔을 예열하기 위해 따르는 물은 손님 잔에 먼저 따르고 나중에 퇴수한다. 우려진 차는 내 잔에 먼저 따라보고 잘 우려졌는지 차의 색을 확인 한 후에 손님 잔에 따른다. 차의 농도를 맞추기 위해서 번갈아가며 3번에 나눠 따르고 공손하게 찻잔을 건넨다.

차를 마시기 전에는 상대에게 인사말을 건네며 마시는 동안에는 상대를 배려하며 조용히 음미한다. 이 모든 과정이 결국 나를 낮추고 타인을 배려하는 행위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차를 마시는 시간 동안 우리는 자연스럽게 예의를 배우고, 배려를 몸에 익히게 된다. 


Culture of Enjoying Tea Every Day

자연스럽게 차를 마시는 일상


Choi So-yeon, the Incheon Cultural Heritage holder, chairs the Gyubangdarye Preservation Society and the Korea Tea Culture Association. Both organizations are non-profit organizations established to spread traditional tea culture and operate programs to produce certified trainees and successors and experience tea culture. She says that tea culture is the code and spirit of the community and carries the wisdom of life accumulated for millennia. It is not simply about keeping the tradition but naturally finding its place in daily life.

“Trainees and successors should thoroughly master and preserve the tea ceremony because they will succeed the tea culture and teach it to others. But for ordinary citizens, I hope they enjoy tea comfortably without being tied to complicated procedures because the essence of the traditional tea culture is to share a good time while respecting each other.”

She makes efforts so that citizens will not feel bored with tea. She is expanding tea culture by teaching Korean traditional culture, such as dasik(traditional cookie served with tea), knots, and cloth crafts. She continues various studies and established the standing tea ceremony suitable for modern lifestyle, red tea master course, and Chinese tea master course. These are the efforts to make tea a culture that would naturally exist at present and in the future beyond simply being a tradition.

최소연 보유자는 규방다례보존회와 한국차문화협회 이사장을 맡고 있다. 두 기관 모두 전통 차 문화를 보급하기 위해 설립된 비영리단체로 이수자 및 전수자를 배출하고 차 문화를 체험하는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그녀는 차 문화가 수천 년간의 삶의 지혜가 녹은 공동체의 규범이자 정신이라고 말한다. 그래서 단순히 전통을 지키는 것이 아니라 차가 일상 속에서 자연스롭게 자리 잡는 것이다. 

“이수자와 전수자들은 행다법을 철저하게 배우고 보존해야합니다. 이들이 차 문화를 계승하고 더 나아가 다른 이에게 교육하는 역할을 맡게 될 테니까요. 그러나 일반 시민들은 복잡한 절차에 얽매이지 않고 편하게 차를 즐겼으면 좋겠습니다. 결국 전통 차 문화의 본질은 서로를 높이며 좋은 시간을 나누는 것이거든요.” 

그녀는 시민들이 차를 지루하게 느끼지 않도록 노력하고 있다. 차와 곁들여 먹는 과자인 다식(전통과자), 매듭, 보자기 공예 등 한국 전통 문화를 가르치며 차 문화를 확장해 나간다. 또한 현대인들의 생활에 맞춰 입식 행다법을 정립하고, 홍차 티 마스터 과정, 중국차 티 마스터 과정 등을 개설하는 등 다양한 연구를 지속하고 있다. 차를 단순한 ‘전통’이 아니라 ‘현재’ ‘미래’에도 자연스럽게 흐를 수 있는 문화로 만들기 위한 노력인 셈이다. 


+ Let’s Enjoy Korea’s Tea Culture Together! + 한국 차 문화, 함께 즐겨요!

  The 36th National Grand Tea Fair  제36회 전국 차인 큰잔치 행사

   - Date: June 14th 6월 14일

   - Location: Gachon University  Medicla Campus 가천대학교 메디컬캠퍼스(인천시 연수구 연수동)

   - Description: It is an event held on Korean Tea Day. Tea lovers across the nation gather in Incheon and celebrate tea culture. Various teas are served, along with teainspired food competitions and programs for visitors in general.

   - 내용 : 차의 날을 맞아 개최하는 행사로 전국의 차인들이 인천에 모여 차문화를 기념한다. 다양한 찻자리와 차음식 경연대회가 열리며, 일반 관람객도 즐길 수 있는 체험 프로그램이 마련되어 있다. 

Attachment
KOGL
KOGL: Source Indication (Type 1)

이 게시물은 "공공누리"의 자유이용허락 표시제도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