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CITY ON
MUDFLATSMUDFLATS
BECAME FUTURE
GROWTH ENGINE
갯벌 위의 도시,
미래 성장동력이 되다

<1994>

<2025>
A vastly spreading dark gray mudflat. It was reclaimed to present Incheon’s future and create a new city. Filling the sea to alter the map was once considered reckless, but our imagination became a reality. The future of the global business frontier is becoming clearer. We have illuminated the brilliant growth achieved by Incheon in front of it.
넓게 펼쳐진 진한 회색빛 갯벌, 그곳을 메워 첨단도시 인천의 미래를 제시하고 새로운 도시를 만드는 구상을 했다. 바다를 메워 지도를 바꾸는 일은 무모한 일로 치부됐다. 그러나 우리의 상상은 현실로 이뤄졌다. 점점 더 선명해지는 글로벌 비즈니스 프런티어의 미래, 그 앞에 서서 인천이 이뤄낸 눈부신 성장을 조명해 본다.
THE MUDFLAT BY THE DARK SEA BECAME A CITY
검은 바다의 벌판, 도시가 되다

<Songdo>
This project, titled ‘Songdo New Marine City Construction Project,’ was launched as a new town development project led by Incheon on September 10, 1994. The plan was to reclaim 17.7㎢ of sea and mudflat by 2006 to accommodate 250,000 people and create an industrial city centered on financ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Incheon made its first step in the ambitious project of reclaiming the vast mudflat of Songdo and constructing a city. Around that time, the government aspired to secure a growth engine for Korea. While looking for an appropriate site, their eyes fell on Songdo, where reclamation efforts to change the map of the West Coast were already in full swing. In 1997, they chose the area for the Media Valley project. Later, they decided to build various infrastructures in Songdo by 2002. However, the sudden financial crisis that hit Korea made it difficult to secure the construction funding, and the project was halted. Incheon shifted the implementation method from simultaneous development to phased development by zone and stage, and began addressing the challenges.
1994년 9월 10일 ‘송도 해상신도시 건설 공사'로 이름이 붙여진 이 프로젝트는 인천시가 주도하는 신도시 개발 사업으로 출발했다. 2006년까지 바다와 갯벌 17.7㎢를 매립해 인구 25만명을 수용하고 금융·정보통신 중심의 산업도시를 조성한다는 계획이었다. 인천시는 광활한 송도 갯벌을 메우고 도시를 건설하는 대장정에 첫발을 내디뎠다. 그 무렵 정부에서는 대한민국의 성장동력을 확보하고자 했다. 부지를 살펴보던 도중 서해안 지도를 바꾸는 매립 공사가 한창 진행 중이던 송도에 눈길이 닿았고 1997년 미디어밸리 사업 대상지로 선정됐다. 이후 2002년까지 송도신도시에 각종 기반시설을 설치하기로 했다. 그러나 갑작스러운 IMF로 공사비 확보에 난항을 겪으며 사업이 중단됐다. 이에 인천시는 기존 동시개발에서 공구·단계별 방식으로 전환하면서 물고를 틔웠다.
In 2003, the government designated three areas -Songdo, Yeongjong, and Cheongna-in Incheon, home to Incheon International Airport and Incheon Port, the largest trade port in the capital region, as the first free economic zone. This designation increased flexibility in land supply and reduced or waived taxes and various fees for investors under special laws, making development much smoother. In November 2003, the first bridge connecting Songdo and Incheon’s inland area, Songdo Bridge 1, was completed, transforming Songdo from an isolated reclaimed island into a part of the peninsula where further advancement could be envisioned.
더해 정부에서 2003년에 인천국제공항과 수도권 최대 무역항인 인천항을 품은 인천 내 송도·영종·청라 3곳을 국내 첫 경제자유구역으로 지정했다. 경제자유구역으로 지정되면 특별법에 따라 토지 공급의 유연성이 커지고 투자자에게 세금과 각종 부담금이 감면되면서 개발이 한층 원활해졌다. 2003년 11월에는 송도와 인천 내륙을 잇는 첫 교량인 송도1교가 완성되어 송도는 외딴 매립지 섬이 아니라 국토와 연결되며 비상을 꿈꾸는 공간으로 거듭나게 됐다.
DEVELOPING INFRASTRUCTURE TO MOVE FURTHER
인프라를 구축해 더 나아가다
In 2012, Songdo successfully attracted the headquarters of the UN Green Climate Fund (GCF), often called as the World Bank for the Environment. As various international organizations nested in Songdo, it evolved into a global city. In addition to GCF, 15 international organizations, including A-WEB, UNESCAP, and UNISDR Office for Northeast Asia, are now based in Songdo. Songdo also aims to foster next-generation future talent by developing a world-class global education hub. The Incheon Global Campus in Songdo, houses five foreign universities alongside four domestic universities, including Yonsei University International Campus and Incheon National University Songdo Campus. In particular, IGC forms a cluster of competitive departments of foreign universities, established through collaboration between Incheon and the Ministry of Trade, Industry and Energy. Starting with the opening of the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Korea in 2012, followed by Mason Korea, Ghent University Global Campus, and U Asia Campus in 2014, and the Fashion Institute of Technology (FIT) in 2017, these institutions opened one after another. IFEZA plans to complete a global campus with 10,000 enrolled students by attracting five more universities in the second phase, in addition to the five already opened in the first phase.
2012년에는 환경분야 세계은행으로 불리는 유엔 녹색기후기금(GCF) 사무국 유치에 성공했고, 이후 각종 국제기구들이 속속 송도에 둥지를 틀며 국제도시로 성장했다. 송도에는 현재 GCF 외에도 A-WEB, UNESCAP, UNISDR 동북아사무소 등 모두 15개 국제기구가 입주해 있다.
또한 세계 수준의 글로벌 교육허브를 구축해 차세대 미래 인재를 양성하고자 한다. 송도에는 외국대학 5곳이 입주한 인천글로벌캠퍼스가 있고, 연세대학교 국제캠퍼스와 국립 인천대학교 송도캠퍼스 등 국내 대학 4곳도 송도에 자리 잡았다. 특히 IGC는 인천시와 산업통상자원부가 외국 대학의 경쟁력 있는 학과들을 한데 모아 종합대학 형태를 이루고 있다. 2012년 한국뉴욕주립대 개교를 시작으로 2014년 한국조지메이슨대, 겐트대 글로벌캠퍼스, 유타대 아시아캠퍼스, 2017년 뉴욕패션기술대(FIT)가 차례로 문을 열었다. 인천경제청은 1단계 캠퍼스의 기존 5개 대학과 더불어 2단계 캠퍼스에 5개 대학을 유치해 재학생 1만명 규모의 글로벌캠퍼스 완성할 계획이다.
Industry-wise, Songdo laid the foundation for Incheon to transform from a manufacturing industry-centered city into a more advanced industry, such as bio, advanced logistics, and semiconductors. It has grown rapidly, particularly by attracting domestic and foreign bio companies. Songdo Bio Cluster, with major domestic bio companies, such as Samsung Biologics and Celltrion, is an advanced hub leading the domestic bio-industry.
산업적으로는 인천이 제조업 중심 도시에서 벗어나 바이오·첨단 물류·반도체 등 더 고도화한 산업으로 성장할 수 있는 발판이 됐다. 특히 국내외 바이오 기업을 유치에 성공하면서 급속도로 성장했다. 삼성바이오로직스·셀트리온 등 국내 주요 바이오 기업이 입주해 있는 송도 바이오클러스터는 국내 바이오산업을 이끄는 전진기지 역할을 하고 있다.
SONGDO, YEONGJONG, AND CHEONGNA, LEAPING TOWARD A BRILLIANT FUTURE
찬란한 미래로 도약 중인 송도, 영종, 청라

<Yeongjong>
Songdo, an advanced international city, is stretching itself into a livable destination with large concert halls, convention centers, and shopping malls opening one after another, and its beautiful waterside along the sea and the lake forms a harmony with the night view of the city center. Arts Center Incheon, which opened in 2018, has become a landmark cultural facility, and Songdo ConvensiA, which opened Phase 1 facilities in 2008 and completed Phase 2 facilities in 2018, has positioned itself as one of the five major convention centers of Korea alongside KINTEX, COEX, BEXCO, and EXCO. The waterfront project, designed to connect Songdo Reservoir and the waterway in the form of a square, is smoothly underway. Once completed in 2027, it will feature a 21.17 ㎞-long, 500m wide, waterway, creating the image of a marine ecological city.
첨단국제도시로 자리 잡고 있는 송도에는 대형 공연장과 컨벤션 센터·쇼핑몰이 잇따라 들어서고 바다와 호수를 낀 아름다운 수변과 도심 야경이 조화를 이루며 살기 좋은 도시로 발돋움하고 있다. 2018년 문을 연 아트센터인천은 대표 문화시설로 자리 잡았고, 송도컨벤시아는 2008년 1단계 시설로 문을 연 뒤 2018년 2단계 시설을 준공해 킨텍스·코엑스·벡스코·엑스코와 함께 국내 5대 컨벤션센터로 도약하는 계기를 마련했다. 송도 유수지와 수로를 'ㅁ'자 형태로 연결하는 워터프런트 사업도 순조롭게 진행되고 있다. 2027년까지 전체 공정이 마무리되면 길이 21.17㎞, 폭 500m 수로가 조성돼 해양생태도시의 모습을 선보일 예정이다.
Yeongjong and Cheongna are also being developed in line with thier unique characteristics. Yeongjong International City, where a giant airport was constructed by merging three islands into one, is growing as the base for the aviation industry and tourism and leisure industries. Paradise City and recently opened Inspire Entertainment Resort are expected to make Yeongjong International City a tourism hub in Northeast Asia. Moreover, Korean Air’s engine MRO facility began construction and is scheduled to open in 2027. It will be Asia’s largest engine maintenance cluster, creating new jobs and enhancing the competitiveness of Korea’s aviation MRO industry.
영종과 청라도 지구별 특성에 맞게 개발되고 있다. 세 개의 섬이 하나로 합쳐지면서 거대한 공항이 만들어진 영종국제도시는 항공산업과 관광·레저 거점으로 성장 중이다. 파라다이스시티와 새롭게 문을 연 인스파이어 복합 리조트는 영종국제도시를 동북아 관광 중심지로 기대하게 한다. 더해 2027년 개장을 목표로 대한항공 엔진정비 공장이 착공했다. 아시아 최대 규모의 엔진 정비 클러스터로 신규 일자리 창출과 국내 항공 MRO 산업 경쟁력 강화에도 기여할 것이다

<Cheongna>
Cheongna is becoming a complex business town that attracts various investments, leveraging its geographical advantage. Hana Financial Group has built an integrated data center and Hana Global Campus in Cheongna and will relocate its headquarters there by 2025. The new Hana Financial Group Headquarters will consist of seven underground floors and 15 aboveground floors, accommodating six affiliated companies. Urban Hightech Industrial Complex with BMW R&D Center and a new industrial cluster centered on Robot Land are under development. In addition, Starfield Cheongna, a largescale entertainment complex combining a large shopping mall and a dome stadium, will be fully constructed for the opening in 2027.
청라는 지리적 이점을 활용해 다양한 투자 유치가 가능한 복합 비즈니스 타운으로 조성한다. 현재 하나금융그룹은 청라에 통합데이터센터와 하나글로벌캠퍼스를 조성했으며 2025년까지 그룹 본부를 옮겨올 예정이다. 지하 7층, 지상 15층 규모의 하나금융그룹 헤드쿼터 공사가 끝나면 그룹 산하 6개 사가 입주하게 된다. BMW 연구개발센터가 들어서는 도시첨단산업단지와 로봇랜드를 중심으로 신산업 클러스터도 만들어지는 중이다. 더해 대형 쇼핑몰과 돔구장이 결합된 복합 엔터테인먼트 시설인 스타필트 청라가 2027년을 목표로 본격적인 공사를 앞두고 있다.

+INFO
SONGDO 송도
Development Concept : Cutting-edge knowledge and service industry
(International business, IT, BT, R&D, etc.)
개발 콘셉트 : 국제 비즈니스·IT·BT·R&D 등 첨단 지식 서비스 산업
Area : 53.36㎢
면적 : 53.36㎢
Business Period : 2003-2030
사업기간 : 2003~2030년
Planned population : 265,000
계획인구 : 26만 5천여 명
YEONGJONG 영종
Development Concept : Tourism and leisure industry
(Aviation/ distribution and complex resort)
개발 콘셉트 : 항공·물류와 복합리조트 등 관광·레저 산업
Area : 51.18㎢
면적 : 51.18㎢
Business Period : 2003-2027
사업기간 : 2003~2027년
Planned population : 179,000
계획인구 : 17만 9천여 명
CHEONGNA 청라
Development Concept : International business (finance), R&D, distribution, advanced industry
Area : 17.80㎢
개발 콘셉트 : 국제업무(금융)·R&D·유통·첨단산업
Business Period : 2003-2025
사업기간 : 2003~2025년
Planned population : 98,000
계획인구 : 9만 8천여 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