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도자료

인천광역시, 여름 장마철 대비 농업피해 예방 당부

담당부서
기술보급과 / 장수영 (032-440-6926)
제공일시
2021-07-07
조회수
464
인천광역시(시장 박남춘)는 여름 장마철을 앞두고 농업피해(침수, 도복, 낙과, 시설물 파손 등)에 대한 철저한 대비로 피해를 최소화하고 안전사고 예방에 각별히 유의해야 한다고 밝혔다.

 

장마철 노지 작물의 경우 사전대책으로 고랑 및 배수로 정비로 습해를 방지해야 한다. 또한, 지주 설치 및 비닐 끈 등을 이용해 쓰러짐을 방지하고 예방 위주의 병해충 방제를 실시해야 한다.

 

또한 습해 피해를 입었을 경우 침수지역은 배수로 정비로 신속히 물 빼기를 실시해야 한다. 이후, 즉시 병해충 방제에 힘쓰며, 쓰러진 작물을 일으켜 세우고 겉흙이 씻겨 내려간 포장은 북주기를 실시해야 한다.

 

습해로 인해 작물의 뿌리 기능 저하된 경우 요소 0.2%액(물 20L에 비료 40g) 또는 제4종 복합비료를 엽면시비*해 초세를 회복시키는 것이 농작물 생육 안정에 도움이 된다. .

* 비료나 농약을 물에 타서 식물의 잎에 뿌려 양분이나 약액을 흡수하게 하는 일.

 

과수의 경우 외부에서 물이 유입되지 않도록 주변 배수로를 정비하고, 강풍으로 과실 낙과 및 도복을 방지하기 위해 지주를 세워 고정해 주는 것이 좋다. 고인 물은 빠르게 배수시키고 강풍에 쓰러진 나무는 신속히 세워 깨끗한 물로 씻어내야 피해를 덜 수 있다.

 

비닐하우스 등 시설물은 하우스 사이에 비닐을 덮어 시설 내 물 유입을 최소화하고, 태풍을 동반한 강우에 대비해 고정끈을 튼튼하게 매며, 강풍 때 하우스를 완전 밀폐해 환기팬을 가동하는 등 시설물 안전에 유의해 줄 것을 강조했다.

 

조영덕 인천시 농업기술센터소장은 “집중호우와 강풍에 의한 농작물 피해는 미리 준비해야 큰 피해를 줄일 수 있기 때문에 예방적 약제방제와 배수로 정비, 농업시설물의 철저한 점검을 당부 드린다”라고 말했다.
 
첨부파일

첨부된 파일이 없습니다.

공공누리
OPEN 공공누리 출처표시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이 게시물은 "공공누리"의 자유이용허락 표시제도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자료관리담당자
  • 담당부서 공보담당관
  • 문의처 032-440-3066
  • 최종업데이트 2025-08-28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