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도자료

인천시, 지적통계 2.4㎢ 면적 증가 … 경제적 가치 약 2조 3천억 원 늘어

-2025년 지적통계 발표, 지속적인 토지개발 사업 등으로 토지 면적 증가-

담당부서
토지정보과 / 남상진 (032-440-4572)
제공일시
2025-04-07
조회수
605
인천광역시(시장 유정복)는 국토교통부가 지난 4월 1일 공표한 2025년 지적통계*에 따르면, 인천의 총면적이 전년 대비 2.4㎢ 증가한 1,069.5㎢(669,028필지)로, 이는 약 2조 3천억 원(인근지 2024년 공시지가 기준)의 경제적 가치 증가로 이어졌다고 밝혔다.

*「지적(地籍)통계」는 국토교통부에서 지적공부(토지‧임야대장)에 등록된 정보를 기초로 행정구역(시·군·구)별, 지목(토지의 종류)별, 소유(개인, 국·공유지 등)별로 필지와 면적을 집계하여 매년 공표하는 통계로 1970년 최초 작성된 후 1982년 11월 국가승인통계로 지정되었다.

이번 면적 증가는 연수구 송도동 인천경제자유구역 11-2공구(1.5㎢)와 10공구 항만배후단지(0.9㎢)의 매립준공 등으로 인한 지적공부 신규 등록이 주요 요인으로 분석된다.

1970년 최초 지적통계 작성 당시 인천의 면적은 189.1㎢였으나, 이후 지속적인 공유수면 매립과 행정구역 편입을 통해 확장됐으며, 2025년 지적통계 기준으로는 특·광역시 중 대구광역시(1,499.5㎢, 2023년 군위군 편입으로 면적 증가)에 이어 두 번째로 넓은 1,069.5㎢로 증가했다. 이는 초기 대비 5.6배 성장한 수치다.

인천시의 주요 토지이용 분포를 살펴보면, 임야가 36.1%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며, 이어 답(14.3%), 대(11.2%) 순으로 나타났다. 산림(임야)과 농경지(전ㆍ답ㆍ과수원)가 전체 면적의 약 57.8%를 차지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2024년 한 해 동안의 토지이용 변화는 잡종지, 임야, 답의 면적이 2.5㎢(-0.5%) 감소한 반면, 생활기반시설(대)이 2.2㎢(2%), 휴양·여가시설(공원, 유원지)이 1.2㎢(4%)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10년간 토지이용 변화에서도 전, 답, 임야의 면적이 각각 7.4%, 11.5%, 3.4% 감소한 반면, 대지, 도로, 공원 면적은 각각 17.8%, 16.1%, 87.8% 증가했다. 이는 인천시가 시민들의 쾌적한 정주 여건 조성을 위해 교통 및 휴양·여가시설 등의 확충 사업을 지속적으로 추진한 결과가 지적통계에 반영된 것으로 분석된다.

토지 소유권 현황을 살펴보면, 개인이 52.4%, 국·공유지가 26.6%, 법인이 19.1%를 소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10년간 개인 소유 면적은 3.6% 감소했으며, 반면 국·공유지와 법인 소유 면적은 각각 11.7%, 6.8%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철 시 도시계획국장은 “지적통계는 인천의 면적과 토지 이용 현황뿐만 아니라 사회적·환경적 변화를 수치로 확인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라며 “정책 수립과 학술 연구 등 전문 분야뿐만 아니라 시민들이 쉽게 이해하고 공감할 수 있도록 지도, 사진, 설명을 담은 이야기가 있는 지도 서비스(인천광역시 지도포털https://imap.incheon.go.kr / 지리적 변천사)와 연계한 콘텐츠로 제작해 제공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 2025년 지적통계는 국토교통 통계누리(https://stat.molit.go.kr),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지표누리 e-나라지표(http://index.go.kr) 등에서 확인할 수 있다.
첨부파일
(1) 3 인천시, 지적통계 면적 증가 … 경제적 가치 약 2조 3천억 원 늘어.hwp 미리보기 다운로드
공공누리
OPEN 공공누리 출처표시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이 게시물은 "공공누리"의 자유이용허락 표시제도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자료관리담당자
  • 담당부서 공보담당관
  • 문의처 032-440-3066
  • 최종업데이트 2025-03-12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