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도자료
인천시, 백령·대청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 인증 협력 방안 논의
-13일, 유네스코 인증 대책반(TF) 회의-
29개 기관이 참가하는 특별대책반(TF)은 지난해 9월 구성돼 분기별로 전체 회의를 연다. 이번 회의는 지난달 백령·대청 지질공원이 환경부로부터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 후보지로 선정된 이후 첫 회의로, 인천시, 옹진군, 유관기관 등 20여 개 부서(기관)에서 참석했다.
김을수 시 해양항공국장의 주재로 열린 이날 회의는 백령·대청 주민들의 인식증진, 세계지질공원 인증 요건 달성 및 지역경제·관광 활성화를 위해 유관기관에서 협력할 내용 등을 논의했다.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은 국제적인 지질학적 가치를 지닌 명소와 경관을 보전과 교육,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해 관리하는 곳으로, 2023년 12월 기준 전 세계적으로 48개국 195개소가 운영되고 있으며, 우리나라는 제주도, 청송 등 5개소가 있다.
세계지질공원으로 인증받기 위해서는 국제적 가치규명, 기반시설 구축, 지역사회구성원이 참여하는 협력사업, 관련 교육활동 등 101가지 인증 요건을 달성해야 한다.
시는 지속적인 대책반(TF) 운영 및 유관기관과 협력해 인증 요건을 달성하고, 6월에는 세계지질공원 의향서를, 11월에는 본 신청서를 유네스코에 제출할 계획이다. 이후 내년 유네스코의 서면 및 현장평가를 거쳐 2026년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으로 지정받는다는 계획이다.
김을수 시 해양항공국장은 “본격적인 전담반(TF) 운영을 통한 협력체계 구축으로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이라는 국제가치 브랜드를 확보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며 “백령·대청·소청도의 우수한 지질, 생태, 문화자원이 어우러진 지질공원이 세계 관광명소로 도약하는 것은 물론 앞으로 들어설 백령공항과 함께 지역경제 활성화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 자료관리담당자
-
- 담당부서 공보담당관
- 문의처 032-440-3066
- 최종업데이트 2025-03-12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