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업추진 현황
구 분 | 2023년도 실적 | 2024년도 계획 |
---|---|---|
유용
수산생물
자원 조성
|
○ 수산종자 생산 · 방류(6종/383.8만 마리)
■ 점농어(10), 참조기(20), 꽃게(201, 갑오징어(19.5), 주꾸미(52), 참담치(81.3)
|
○ 수산종자 생산 · 방류 (7종/365만 마리)
■ 점농어(15), 참조기(25), 꽃게(190), 갑오징어(15), 주꾸미(45), 바지락(40), 참담치(35) ○ 수산자원조성사업 사전사후영향조사(군구 포함) |
어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신기술 개발
|
○ 수산종자 양식기술 개발 및 고도화 시험 연구(5종)
■ (참조기,점농어) 양식 기술 고도화 연구(인공 산란 유도 등) ■ (전복) 전복 고유종 보호 연구 ■ (말백합) 모패 관리 및 산란 연구 ■ (낙지) 인공종자 생산 및 생태 연구 ○ 친환경 양식어업 연구
■ 순환여과식 양식시스템 안정화 및 새우류 적응성 비교 연구 ○ 해조류 산업화 연구 ■ 인천 연안 자연산 해조류 모조 및 종자 확보·연구 ○ 관내 양식장 적지조사 ■ 군구 면허어장에 대한 적지조사 19건 수행 | ○ 수산종자 양식기술 개발 및 고도화 시험 연구(5종)
■ (참조기,점농어) 친어 사육 및 산란 유도 연구 ■ (전복) 전복 고유종 보호 연구 ■ (참담치) 양식 기술 고도화 연구 ■ (낙지) 인공종자 생산 및 생태 연구 ○ 친환경 양식어업 연구
■ 새우류, 해조류 등 생태통합양식 추진 ○ 해조류 산업화 연구 ■ 인천 연안 자연산 해조류 모조 및 종자 확보·연구 ○ 관내 양식장 적지조사 ■ 군구 면허어장에 대한 적지조사 수행
|
인천 연안
해양 생태계
보존 연구
| ○ 친환경 생태통합양식(IMTA) 연구 ■ 개불 서식환경 및 생태 실험 등 ○ 민챙이 생태 연구 ■ 민챙이 서식지 생태, 환경 조사 ○ 유용 수산생물 유전자 다양성 연구 ■ NGS를 이용한 주꾸미 유전자 마커 개발 ■ 주꾸미 방류자원 변동 조사 ○ 인천연안 해조류 생태 연구 ■ 인천 연안 계절별 해조군집 기초 생태조사 |
○ 친환경 생태통합양식(IMTA)연구
■ 육상 생태통합양식 시스템 및 최적 양식종 개발, 신규 탄소 흡수원 개발 등 ■ 생태통합양식관련 포럼 개최(7월) ○ 수산생물을 이용한 갯벌 복원 연구 ■ 수산생물 서식 생태환경조사 및 생태 실험 등 ○ 민챙이 생태 연구 ■ 민챙이 서식지 생태환경조사 및 생태 실험 ○ 유용 수산생물 유전자 다양성 연구 ■ 지역별 주꾸미 유전적 특성 분석 및 방류자원 변동조사 ○ 인천 연안 해조류 생태 연구 ■ 인천 연안 계절별 해조군집 기초 생태조사
|
수산생물
전염병 연구
|
○ 국가지정 병성 감정기관 운영
■ 방류 수산생물 전염병 검사 : 78건
■ 병성감정 전염병 검사 : 20건
■ 자체 생산 전염병 검사 : 3건
| ○ 국가지정 병성 감정실시기관 운영 ■ 방류 수산생물 및 병성감정 전염병 검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