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견공감
진행중
인천1호선 이용 효율성 제고를 위한 급행 운행 제안
- 분야
- 교통건설환경
- 의견번호
- 2048625
- 의견인
- 전○○
- 의견기간
- 2025-07-10 ~ 2025-08-09
- 1
- 0
현재 인천1호선은 인천 북부와 송도권을 연결하는 핵심 도시철도 노선으로, 인천 시민의 통근·통학과 일상 이동을 책임지는 중요한 교통수단입니다. 그러나 정차역이 많은 구조로 인해 장거리 이용자의 통행 시간이 과도하게 소요되고 있으며, 출퇴근 시간대의 혼잡도 역시 점차 심화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문제를 개선하고 시민의 교통 편의를 증진하기 위해 급행열차 도입이 필요하다고 판단되어 본 건의문을 제출합니다. 1. 도입 배경 및 근거 ▶ 현재 상황 인천1호선은 계양역~국제업무지구역을 연결하며 총 30.3km, 29개 역(2025년 기준)을 운행. 전구간 소요시간은 약 1시간 이상 소요. 배차 간격은 출퇴근 시간대 5분 전후이나, 전 구간 정차로 인해 장거리 통행자의 피로도 및 불편 큼. 수도권광역전철 중 일부(서울 9호선, 수도권 1호선, 분당선 등)는 이미 급행 시스템을 도입해 장거리 통행 시간 단축에 기여 중. ▶ 급행 도입의 타당성 노선 길이가 30km를 넘는 장거리 노선. 중간 거점역(예: 부평, 예술회관, 인천터미널, 계양 등)의 승하차 수요가 높아, 급행 정차역으로 적합. 인천 도시 확장 및 경제자유구역 활성화로 인해 출퇴근 인구 증가 추세. 타 노선 대비 유일하게 급행 없는 주요 노선 중 하나, 교통 불균형 우려. 2. 급행 도입 시 효과 ① 통행 시간 단축 예: 계양 ↔ 국제업무지구 간 급행 도입 시 약 20~25분 단축 예상 (기존 약 60분 → 35~40분) 장거리 이용자의 시간적 효율성 극대화 ② 이용 분산 및 혼잡도 완화 주요 정차역 집중 수요 분산. 일반열차 대비 혼잡 시간대를 효율적으로 대응 가능. ③ 인천 도시 경쟁력 강화 서울~인천 간 통행 효율 향상으로 서울 접근성 개선 인천경제자유구역 및 국제업무지구의 교통 인프라 개선 장기적으로 인천 정주 인구 증가 유도 3. 향후 예상되는 발전 방향 단기 (1~3년) : 급행 운영 시범 도입 → 피크 시간대만 우선 시행 가능 중기 (3~5년) : 차량 증설 및 선로 운영 시스템 개선 필요 (신호 체계, 교행선 확보 등) 장기 (5년~) : 급행·완행 복합 운영 체계 정착 → 수도권 서부 교통 허브로 도약 인천 시민들도 이제는 보다 빠르고 효율적인 교통서비스를 누려야 합니다. 단거리만 고려된 현재의 1호선 운행 방식으로는 더 이상 늘어나는 출퇴근 수요를 감당하기 어렵습니다. 급행열차 도입은 단순한 편의가 아니라, 시간과 삶의 질을 되찾는 변화입니다. 이 건의가 시민의 목소리로 반영되어, 인천의 교통환경이 한 단계 도약하길 간절히 바랍니다.
- 자료관리담당자
-
- 담당부서 시민소통담당관
- 문의처 032-440-2418
- 최종업데이트 2025-03-12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전체 댓글 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