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론화란?
-
특정 공공정책과 관련한 해결책을 모색하기 위해 전문가, 시민 등의 다양한 의견을 민주적으로 수렴하여
공론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정책 결정에 앞서 행하는 의견수렴 과정
-
숙의과정(학습과 토론)을 통해 충분한 정보와 지식을 갖춘 능동적 시민들의 의견
근거
- 인천광역시 공론화 및 갈등관리에 관한 조례(2021.4.9.공포)
기능
- 공론화·갈등관리위원회는 다음의 사항을 심의·의결
- 갈등진단과 갈등관리 종합시책에 관한 사항
- 공론화와 갈등관리 절차에 관한 사항
- 공직자 갈등관리 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 훈련 실시에 관한 사항
- 그 밖에 갈등의 예방과 해결을 위하여 시장이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사항
공론화·갈등관리위원회 위원 명단
연 번 | 성 명 | 소 속 | 비 고 |
---|---|---|---|
1 | 김용길 | 한국산업법제연구원 | 위원장 |
2 | 김미라 | 한국갈등관리연구소 | |
3 | 김은서 | 교육경비보조금심의위원회 | |
4 | 박상기 | 한국협상학회 | |
5 | 박태준 | 서대문교육복지센터 | |
6 | 성준호 | 한국중재학회 | |
7 | 임자영 | 한국갈등조정중재그룹 | |
8 | 전성식 | 사회적경제육성위원회(남동구) | |
9 | 최종수 | 아율법률사무소 | |
10 | 유설희 | BMP한국연맹인천클럽 | |
11 | 홍유정 | 사회적협동조합 | |
12 | 박판순 | 인천광역시의회 | |
13 | 이단비 | 인천광역시의회 | |
14 | 황효진 | 인천광역시 | |
공론화추진위원회와 갈등관리추진위원회 역할
- 공론화·갈등관리위원회
*기존 공론화위원회 기능 + 갈등관리 심의·의결기능- 공론화추진위원회
- 갈등관리추진위원회
- 공론화추진위원회 역할
- 의제별로 공론화 방식과 시민참여 규모 설계 추진
- 공론화 심의 또는 제외 대상 관리
- 법률, 조사, 숙의분야 등 추진위원회 추진 체계 구성
- 공론화 추진절차와 내용 정의
- 갈등관리추진위원회 역할
- 숙의시민단 관리 : 위원회에서 구성 된 숙의시민단 574명 중 사안별 적정 숙의시민단 규모 결정
- 갈등조정협의회 구성 운영 : 이해관계인이 특정된 사안의 경우 추진위 검토 및 이해관계자의 갈등조정협의회 운영 합의로 진행
공론화·갈등관리위원회 단계별 운영 과정
- 1. 공론화 실시 공론화·갈등관리위원회정책 수립 및 추진관련 갈등 사안공론화 실시(위원회) 공론화 의제 선정공론화 추진위원회 구성공론화 방식과 시민참여 규모 등기준과 내용 설계
* 5개월 이내공론화 실시 및 결과 제출(공론화추진위 → 위원회) 의제별 숙의집단 설계 또는 숙의 시민단 활용
* 공론화 종료 후 30일 이내 결과 제출정책권고(위원회 → 시장) 공론화 결과 반영 정책 권고
- 2. 숙의시민단 구성 공론화·갈등관리위원회정책 수립 및 추진관련 갈등 사안숙의시민단 구성(위원회) 시민숙의단 574명 구성숙의시민단 선정(갈등관리추진위) 중·소규모 갈등 사안 논의를 위한 시민숙의단 중 50명 이내 그룹 선정숙의시민단 숙의 및 결과 제출(갈등관리추진위 → 위원회) 사안별 숙의 실시
* 시민 숙의 종료 후 30일 이내 결과제출
정책권고(위원회 → 시장) 숙의 결과 반영 정책 권고
- 3. 갈등 진단 공론화·갈등관리위원회정책 수립 및 추진관련 갈등 사안갈등진단(위원회) 중점갈등관리 대상사업 선정갈등관리 지원(갈등관리추진위) 사안별 갈등관리 절차 자문 및 지원
갈등관리 절차 실시 의결(위원회) 갈등영향분석 실시, 갈등조정협의회 구성·운영 등
정책권고(위원회) 갈등영향분석 결과 절차 이행, 갈등조정협의회 합의안 정책 반영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