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문조사
※ 설문조사 참여시 300포인트(홀씨) 적립 (1일 1회)
인천시 깃대종(양서류, 식물, 조류, 포유류, 무척추동물) 선정을 위한 설문조사
인천광역시에서는 지역생태계 특성을 고려 우리 시를 대표하는 깃대종을 선정하여 생태가치 자원 발굴 및 지속가능한 환경도시로의 품격을 향상하고자 시민 설문을 실시합니다.
깃대종이란? 한 지역의 생태계를 대표하면서 사람들이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는 특징적인 동·식물을 말합니다.
보통 ‘한 지역의 생태적, 지리적, 사회적, 문화적 특성을 반영하는 상징적인 동·식물’로 정의되며,
이 종을 보전함으로써 그 지역 전체의 회생에 파급효과가 큰 것일수록 좋다고 판단합니다.
인천시 상징 동·식물 → 인천시의 이미지와 성격을 대변
깃대종→ 인천시의 생태계를 대표
※ 참고
- 인천시 상징꽃 : 장미(능동과 정렬의 인천시민)
- 인천시 상징나무 : 목백합(한미 수교 조약 체결의 현장의 의미)
- 인천시 상징새 : 두루미(문학동 등 학을 상징하는 지명)
깃대종 선정 시에는 다음의 5가지를 고려하여 선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기준 |
---|
1. 지역 의존성과 대표성 - 타 지역에 비해 해당 종의 서식밀도, 빈도, 분포 또는 사회문화적 특성이 인천시에서 중요한지에 대한 평가 |
2. 생태적 가치 - 생태적 안정성 및 항상성 유지에 기여, 생태계 회복 지표로 사용 가능성 |
3. 사회적/문화적 가치(사회성) - 해당 종이 역사적, 사회적, 문화적 측면에서 활용되는 정도의 평가 |
4. 대중의 인지도(친숙성) - 일반인이 해당 종에 대해 직·간접적으로 알고 있거나 관찰한 적이 있는지 여부 |
5. 심미적 가치 - 일반인이 해당 종의 외형적 특징에 대해 느끼는 친화력과 심미적인 가치의 평가 |
※ 설문 참여 전 아래 이미지를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
1번 문항 참고 (양서류 3종 중 1종을 선택)
1) 금개구리 | | |
---|---|---|
주요 서식지 | 강화군 송해면 당산리, 계양구 서운동 등 다수 지역 | |
생태적 가치 | 환경부 멸종위기 야생 생물 Ⅱ급, 논습지 생태계 대표종 최근 개발사업으로 인해 서식지 감소 | |
사회적 가치 | 외관상 선명한 금줄 확인, 논/공원 등 주변지역에서 관찰가능 생태학습장 등 시민 교육 연계활동 가능 | |
기대 효과 | 생활공간 주변에서 자연보전을 위한 교육활동 진행 |
2) 맹꽁이 | | |
---|---|---|
주요 서식지 | 송도, 영종, 부평지역 등 인천 전 지역 분포 | |
생태적 가치 | 환경부 멸종위기 야생 생물 Ⅱ급, 인위적인 도시개발 등 위협요인으로 생태계 교란, 서식지 파괴 및 서식지 감소 추세 | |
사회적 가치 | 여름 밤 울음소리로 쉽게 접할 수 있음. 비오는 여름밤에 들려오는 울음소리는 어른들에게 향수 제공 | |
기대 효과 | 어린이에게 친숙하여 생태교육 및 체험학습 기회로 활용 가능 |
3) 도롱뇽 | | |
---|---|---|
주요 서식지 | 검단, 계양산 등 | |
생태적 가치 | 산 계류 주변, 논습지 등에 다수 분포 | |
사회적 가치 | 도시개발에 따른 서식지 훼손으로 개체수 및 서식지가 많이 줄어들고 있음 | |
기대 효과 | 보전을 통해 서식지 보전 및 복원 기대 |
2번 문항 참고(식물 3종 중 1종을 선택)
1) 매화마름 | | |
---|---|---|
주요 서식지 | 강화군 초지리 등 | |
생태적 가치 | 환경부 멸종위기 야생 생물 Ⅱ급, 논습지 생태계 대표종, 논에서 생육하며 강화군에 대규모 군락지 분포 | |
사회적 가치 | 2000년대 초 국민신탁으로 “시민자연유산 1호”로 지정, 논습지 최초로 국제보호습지 등록, “매화마름”을 이용한 강화도 브랜드 사업 진행 (매화마름 쌀 등) | |
기대 효과 | 매화마름의 브랜드 효과 향상 및 보전에 대한 관심도를 높여 적극적인 서식지 보전과 농사문화에 대한 보전 효과 있음 |
2) 대청부채 | | |
---|---|---|
주요 서식지 | 옹진군 대청도, 백령도 등 섬지역에 다수 분포 | |
생태적 가치 | 환경부 멸종위기 야생 생물 Ⅱ급, 섬(해안) 생태계 대표종, 후보검토종 중 유일하게 인천의 지명에서 유래함 | |
사회적 가치 | 화려한 꽃으로 식별이 잘되어 관광자원 효과 있음, 지역의 이름이 포함되어 홍보효과 뛰어남 | |
기대 효과 | 적극적인 서식지 보전과 그를 위한 홍보가 진행된다면 관광자원으로서 효과가 높을 것으로 기대됨 |
3) 칠면초 | | |
---|---|---|
주요 서식지 | 영종도, 송도 등 인천 갯벌 전 지역에 분포 | |
생태적 가치 | 갯벌 생태계 주요종, 갯벌에 생육하며 다양한 생태계 보고인 갯벌의 1차 생산자 역할 함 | |
사회적 가치 | 서해안 갯벌에 널리 분포하는 갯벌생태계의 주요종으로 서해안 최대도시인 인천과 연관성 높음 | |
기대 효과 | 갯벌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종을 깃대종으로 지정 및 보호함으로써 갯벌생태계의 보호에 대한 관심을 높일 수 있음 |
3번 문항 참고(조류 3종 중 1종을 선택)
1) 저어새 | | |
---|---|---|
주요 서식지 | 인천시 해안지역 전반 | |
생태적 가치 | 환경부 멸종위기 야생 생물 Ⅰ급, 해안 생태계 대표종, 갯벌 매립, 개발로 인한 먹이 활동지 감소, 국제적 보호종, 전 세계 개체수 5천마리 이하이며, 90%이상 우리나라에서 번식 | |
사회적 가치 | 사람이 생활하고 있는 공간에서 번식하는 장소는 남동유수지가 거의 유일함, 상징적 의미와 종의 보전 측면에서 매우 중요함 | |
기대 효과 | 현재 적극적으로 보전활동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깃대종 선정시 국내외로 긍정적 효과가 이어질 것으로 기대됨. 인천이 출생지라는 점에서 보호 및 보전해야 할 가치가 높음 |
2) 검은머리갈매기 | | |
---|---|---|
주요 서식지 | 중구 운남동 일대, 남동구 논현동 일대 | |
생태적 가치 | 환경부 멸종위기 야생 생물 Ⅱ급, 해안 생태계 대표종. 영종도, 송도 매립지 등에서 번식 | |
사회적 가치 | 송도 매립 후 번식 개체가 많이 줄어듦 | |
기대 효과 | 매립 등으로 인해 줄어든 번식 개체를 보전함으로써, 건강한 갯벌 및 해안 생태계 복원 효과 기대 |
3) 노랑부리 백로 | | |
---|---|---|
주요 서식지 | 인천시 무인도서에서 번식, 강화도 인근 갯벌 | |
생태적 가치 | 환경부 멸종위기 야생 생물 Ⅰ급, 해안 생태계 대표종. 강화도 인근 갯벌이 중요한 먹이공급지이며, 둥지를 떠난 어린 개체가 처음으로 먹이활동을 하는 장소로 번식개체군 보전에 의미가 있음 | |
사회적 가치 | 최근 유인도(백령도)에서 최초 번식 사례 확인 | |
기대 효과 | 무인도서 번식지에 대한 홍보효과 |
4번 문항 참고(포유류 1종 찬성/반대 선택)
1) 점박이 물범 | | |
---|---|---|
주요 서식지 | 백령도 | |
생태적 가치 | 환경부 멸종위기 야생 생물 Ⅱ급, 해양 생태계 대표종 | |
사회적 가치 | 지역의존성과 대표성, 대중의 인지도 등 연관성 높음. 정부, 인천시 등 정책관련 관심도가 높으며, NGO, 인천시민 등 보호활동 관심도가 높음 | |
기대 효과 | 중국/북한 등 연계하여 보호에 관심이 높은 종으로, 서해의 평화와 생태계 보전을 위해 인천시에서 깃대종으로 선포해 적극적으로 보전한다면, 국제사회에 큰 호응을 받을 것으로 기대됨 |
5번 문항 참고(무척추동물 1종 찬성/반대 선택)
1) 흰발농게 | | |
---|---|---|
주요 서식지 | 영종도 갯벌 일대 | |
생태적 가치 | 환경부 멸종위기 야생 생물 Ⅱ급, 갯벌 생태계 대표종. 영종도 갯벌 등에서 번식 | |
사회적 가치 | 매립 등 서식지 파괴로 인해 개체가 많이 줄어듦. 최근 영종도 갯벌 내 흰발농게 서식지 확인되어 관심도 높음 | |
기대 효과 | 매립 등으로 인해 줄어든 서식지 및 개체를 보전함으로써, 건강한 갯벌 및 해안 생태계 복원 효과 기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