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수부, 4월 이달의 수산물로 "바지락, 멸치" 선정

해양수산부(장관 문성혁)는 봄의 절정기에 접어든 4월 이달의 수산물로 "바지락과 멸치"를 선정했다.
봄이 제철인 바지락은 우리나라 사람들이 가장 많이 먹고 즐겨 찾는 조개류 중 하나이다. 바지락은 성장이 빠르고 번식이 잘되어 우리나라 바닷가 어디서나 쉽게 만날 수 있는 저렴한 가격의 수산물이다.
영양학적으로도 우수한 바지락은 지방 함량이 적어 칼로리가 낮고, 철분과 칼슘이 다량 함유되어 빈혈 예방, 뼈 건강에 도움이 되는 건강한 다이어트 식품이며, 타우린도 풍부하여 바지락을 넣은 국이나 탕을 먹으면 숙취 해소에 좋다.
우리나라에서 연간 약 20만 톤 이상 생산되는 대표 수산물인 멸치는 4월 이달의 수산물로 선정된 것이 어색할 정도로 1년 내내 사랑받는 수산물이지만, 봄철에 잡히는 멸치는 특히 인기가 좋다. 부산등 남해 일대에서 잡히는 봄멸치는 ‘봄멸’이라고 불리는데,크기가 15cm 정도로 크고 육질이 단단해 맛이 좋다. 기장 멸치축제로 유명한 대변항에서 생산되는 대멸치가 대표적이며, 회나 멸치 쌈밥 등으로 싱싱하게 먹으면 봄 멸치의 진수를 느낄 수 있다.
또한, 멸치는 ‘칼슘의 왕’이란 별명답게 칼슘 함량이 높아 골다공증 예방에 좋고, 관절염 예방에 탁월한 비타민D가 풍부하며, DHA와 EPA 같은 오메가-3 지방산도 많아 혈전 생성을 예방하는 것으로알려져 있다.
최근 조선시대 해양생물 백과사전으로 불리는 <자산어보>를 소재로 한영화가 개봉하였는데, 저자인 정약전 선생은 ‘바지락은 살이 풍부하고 맛이 좋다’고 하였고, 멸치는 ‘국이나 젓갈을 만들며 말려서 포로도 만든다’고 말한 바 있다.
임태훈 해양수산부 유통정책과장은 “200여 년 전에도 바지락과 멸치는 우리 국민의 밥상을 책임지는 주요한 먹거리였다.”라며, “우리나라에서 생산되는 제철 바지락과 멸치로 겨우내 쌓인 피로를 날리시고, 봄을 제대로 맛보시길 바란다.”라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