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하 종묘 생산과정
생태·형태적 특징
- 학명 : Penaeus chinensis
- 분류 : 보리새우과(Family Pendaeidae) 보리새우속(Family Pendaeidae)
- 외래명 : Fleshy prawn, Chinese White Shrimp(영명), Kouraiebi 혹은 大正(Taisho: 일본명), 대하(大蝦: 중국명), 홍대나 왕새우(한국명).
- 크기 : 대하의 암수크기는 암컷이 수컷보다 훨씬 큰 것이 특징으로 수컷은 평균체장 12∼13cm, 체중 30g 내외이고 암컷은 평균체장 16∼18cm, 체중 50∼70g.
- 분포 : 북위 34° 이북의 중국 북부 및 발해만과 우리나라의 서해연안에 분포.
- 성장 : 연안과 가까운 곳에서 하며 특히 산동반도 북단에서 발해만에 인접된 연안에서 산란하며 겨울에는 외해의 깊은 곳으로 이동.
- 월동 및 교미 : 성체가 되는 9월에 수심이 깊은 장소로 이동을 시작하여 9월 중순경에 수심 18m 내외의 장소에서 교미
본 연구소에서는 대하의 자원관리를 위하여 자원관리 체계 구축을 목적으로 종묘생산․방류를 통하여 자원증강 및 관리의 기술을 개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종묘생산
1. 대하 종묘생산은 매년 5월∼6월일까지 어미확보, 방난. 부화, 유생사육, 치하 생산의 순으로 실시되었다.
2. 사용된 수조는 75ton 수조 7개, 21톤 수조 3개를 사용하였으며 어미는 전장 170±10.2, 체중 30±4.6으로 150마리를 사용하였다.
3. 대하 어미의 방난 후 세란을 실시하였으며 부화율은 78.1, 생존율은 90.3% 내외(2008년) 나타났다.
4. 유생의 사육별 관리는 유생의 탈피 단계 및 성장에 따라 차등있게 조절하였다.
5. 매년 생산된 치하는 전장 1.5∼2cm 내외로 인천관내의 강화, 영흥, 중구 해역에 자원조성을 위하여 방류하였다.
유생의 부화 사육환경 및 먹이관리
 |
대하어미 관리 |
 |
생산된 대하의 채포 |
 |
생산된 대하 |
 |
사이폰을 이용한 대하방류 |
 |
대하 방류행사 |
 |
대하 방류어선 |
방류
Stages |
Days after hatching(days) |
Survival rate(%) |
Diets |
Rearing treatments |
Nauplius(1∼6) |
1.5 |
100 |
Chlorella sp. |
지수식으로 클로렐 라만 투입함 |
Zoea 1 |
7 |
92.3 |
Brachionus spp. |
폐사유생 및 로티 퍼 찌꺼기는 Sypon으로 제거함 |
Zoea 2 |
11 |
86.3 |
Brachionus spp. |
증수시작(3cm/1일)
로티퍼 밀도(5∼9/㎖) |
Zoea 3 |
18 |
81.4 |
Brachionus spp. |
수조내 규조배양 시작 (영양염 적 정비율 첨가) |
Mysis(1∼3) |
21 |
74.5 |
Brachionus spp.
+Artemia nauplius |
증수와 환수 시작(35%이상/1일)
M3 갓 부화한 알테미아투여 |
Post larvae(1∼3) |
26 |
15.4 |
Artemia nauplius
+ 배합사료 |
환수 시작(100%이상/1일)
배합사료 투여(150∼5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