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도자료

농기계 안전사고 철저히 대비하세요

담당부서
농촌자원과 (032-440-6931)
작성일
2022-06-03
조회수
104
  • 배포일자 : 2022년 6월 3일
  • 담당부서 : 농업기술센터 농촌자원과
  • 담당자 : 스마트농업담당 T.032-440-6931
농기계 안전사고 철저히 대비하세요
- 과로 피해고 보호 장구 착용으로 안전사고 예방 -

○ 인천광역시농업기술센터(소장 조영덕)는 본격적인 봄작물 수확기를 맞아 경운기, 트랙터 등 농기계 이용이 증가함에 따른 안전사고 발생에 각별히 주의할 필요가 있음을 강조했다.


○ 최근 5년(2016~2020)동안 전국에 발생한 농기계 사고는 연 평균 1,273건 이며 농기계 안전사고로 매년 93명이 사망하고 1,009명이 다쳤다. 특기 모내기에 이용되는 농기계 숫자가 증가하고 봄작물 수확기를 맞는 시기에 사고가 집중되고 있어 주의를 요한다.


○ 지금 농촌의 현실은 농업인의 고령화가 심화되고 농촌인력의 감소로 인해 농기계의 사용이 증가 추세에 있으며, 여성들의 농작업 참여가 증가함에 따라 관련 농작업 안전사고가 증가하는 등 농기계 관련 사고가 적지 않게 발생하고 있다.


○ 농작업 관련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농가 스스로가 주의하는 것이 중요하며, 작업간에 충분한 휴식과 무리한 작업은 피하고 보호 장구도 반드시 착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 조영덕 농업기술센터 소장은 “귀농 창업과정은 귀농을 계획하고 있는 예비 농업인에게 실질적으로 필요한 교육과정으로 편성했다. 교육생들의 창업에 많은 도움이 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전했다.


○ 구체적인 농기계 안전수칙은 ▲농기계 사용전·후 반드시 점검을 실시하고 엔진이 정지한 상태에서 기름칠 등 정비 하기, ▲농기계 작업 전이나 도로운행 전에는 음주 금지, ▲기계에 말려들어 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몸에 맞는 작업복 착용 하기, ▲경사지에서는 저속으로 운행하고 클러치 페달을 밟지 않기, ▲도로 주행 시 반드시 교통법규 준수 하기, ▲경사지에 주차하는 경우 고임목을 반드시 사용하고 과도한 적재는 하지 않기 등이 있다.


○ 조영덕 농업기술센터 소장은 “농기계 관련 사고는 대부분 중대사고로 이어 질 수 있어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며 농업인 스스로 안전수칙을 준수하여 줄 것”을 당부했다.





첨부파일
보도자료_220603_농기계 안전사고.hwp 미리보기 다운로드
자료관리담당자
  • 담당부서 농업지원과
  • 문의처 032-440-6909
  • 최종업데이트 2025-03-12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