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호 보기
약시, 간단한 검사로 발견 때 놓치지 말아야
약시, 간단한 검사로 발견
때 놓치지 말아야
글. 임태형_한길안과병원 진료과장
아이들이 안과를 찾는 가장 큰 이유는 시력검사를 하기 위해서 입니다. 시력에 이상이 없는지 알고 싶어서 또는 눈을 못 맞추거나 자꾸 인상을 써서 확인하러 오곤 합니다. 학교에서 시행하는 시력검사에서 이상이 발견되어 오기도 합니다.
유소아 시절은 시력이 발달하는 시기로 이때 시력관리를 잘못하면 평생 시력이 떨어진 채 살아야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런 경우를 약시라고 하는 데 일찍만 발견하면 치료할 수 있습니다.
시력은 태어나면서부터 발달합니다. 정상적으로 3개월 정도부터 눈앞에 사물을 쳐다보고 따라 보는 것이 어느 정도 가능하나, 5개월 정도까지도 늦는 경우도 있습니다. 생후 6개월까지 눈의 초점이 이상하다면 반드시 이상이 없는지 확인을 해야 합니다.
대개 5세 전후에 시력을 담당하는 시세포들이 성인의 능력을 가지게 되므로 아무런 이상이 없어도 만 3세 늦어도 만 5세까지는 안과검진을 받아서 정상적으로 시력이 발달하고 있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이후에는 6개월 간격으로 시력을 확인하여 근시, 난시와 같은 문제들이 생기지는 않는지 평가하게 됩니다.
이러한 과정 중에서 근시, 난시, 원시와 같은 굴절이상이 심하거나 사시가 있어서 두 눈을 함께 사용하지 못하는 경우, 선천 백내장, 녹내장, 안검하수 등의 눈 질환으로 정상적인 시각 자극이 망막에 전달되지 못할 때 시력 잘 발달하지 않고 이렇게 해서 시력이 떨어지는 것을 약시라고 합니다. 이 경우에는 안경을 써도 시력이 충분히 나오지 않습니다. 대부분 시력이 발달할 수 있는 나이의 한계를 6세~12세 정도로 보고 있어서 이 시기에 약시를 발견하면 안경을 착용하거나 가림치료를 시행하여 치료할 수 있습니다.
물론 약시를 일으킨 원인이 있다면 이에 대한 치료 역시 병행해야 합니다. 하지만 이 시기 이후에 약시가 발견되면 치료가 잘 되지 않습니다. 사춘기가 지나면 성장판이 닫혀서 키가 잘 크지 않는 것처럼 시력 역시 이 시기가 지나면 발달이 잘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입니다. 그러므로 잘 보이지 않는다는 표현을 하지 않아도 가능한 한 조기(만 3세경)에 시력을 점검해 보는 것이 좋습니다.
약시가 생겨서 치료 시기를 놓쳐 버리면 그 이후에는 시력을 다시 좋게 만들 수 있는 방법이 없습니다. 심한 경우, 0.1 정도의 시력으로 평생을 살아가야 합니다. 얼마나 불편할까요. 약시는 간단한 검사를 통해 발견하고 치료할 수 있는 질환이므로 주의를 기울인다면 충분히 예방할 수 있습니다.
- 첨부파일
-
- 다음글
- ‘싸우며 건설하자’ 외
인천광역시 아이디나 소셜 계정을 이용하여 로그인하고 댓글을 남겨주세요.
전체 댓글 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