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의 대표적인 장기 미제 사건 중 하나인 ‘변호사 피살사건’의 살인 교사 피의자 김(55) 씨가 사건 당시 현장에 있었을 가능성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제주경찰청은 27일 김 씨 검찰 송치 전 이루어진 출입 기자단과의 백브리핑에서 “피의자 심문을 벌인 범죄심리분석관 3명이 ‘김 씨가 최소한 이(당시 45세) 변호사 사망현장에는 있었다’는 결론을 내렸다”고 밝혔다.
김 씨는 1999년 11월 5일 제주 특별시 삼도 2도 한 아파트 입구 인근에 주차된 승용차에서 흉기에 찔려 숨진 채 발견된 이 변호사 살해를 교사한 혐의를 받는다.
경찰은 수사 과정에서 김 씨가 진술을 계속해서 번복하자 범죄심리분석관들을 투입했다.
범죄심리분석관들은 “김 씨가 이 변호사를 직접 살해하지 않았더라도 최소한 범행 현장에는 있었다”고 결론 지었다.
김 씨는 범행에 사용된 것과 비슷한 모양의 흉기를 직접 그려서 보여주고, 이 변호사의 이동 동선과 골목의 가로등이 꺼진 정황까지 설명한 것으로 확인됐다.
따라서 경찰은 김 씨가 직접 범행을 저질렀을 가능성에도 무게를 두고 폭넓게 조사하고 있다.
이 변호사 피살 사건은 제주의 대표적인 미제 사건 중 하나로 남아 있었으나, 김 씨가 지난해 한 방송 프로그램을 통해 살인을 교사했다고 자백하는 취지의 주장을 하면서 다시 수면 위로 떠 올랐다.
제주 지역 조직 폭력배인 유탁파의 전 행동 대원 김 씨는 지난해 6월 27일 방영된 SBS ‘그것이 알고 싶다’ 인터뷰에서 1999년 10월 당시 조직 두목인 백 씨로부터 범행 지시를 받아 동갑내기손 씨를 통해 범행을 저질렀다고 주장했다.
당초 두목은 다리를 찔러 겁을 주라고 했지만, 자신의 말을 듣고 직접 행동에 나선 손 씨가 피해자가 저항하는 과정에서 살해했다는 것이 김 씨의 진술이다.
하지만 경찰은 김 씨가 백 씨의 범행 지시를 받았을 가능성은 작은 것으로 보고 있다. 김 씨가 범행 지시를 받았다고 주장하는 시기에 백 씨는 교도소에 수감 중인 상태였기 때문이다.
다만, ‘이 변호사를 왜 죽였는지’에 대한 구체적 범행 동기에 대해서는 아직 파악된 내용이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경찰은 김 씨의 범행 동기를 파헤치는 데에 수사력을 집중하고 있다.
경찰 관계자는 “피의자가 함구하고 있으나 범행 동기를 파악하기 위해 검찰 송치 후에도 계속해서 수사를 진행할 계획”이라며 “범행에 대한 정확한 실체에 다가가기 전까지는아무것도 공개할 수 없다.”고 말했다.
또 경찰은 일각에서 제기된 전 제주도지사나 도내 대형 나이트 클럽 운영자 배후설 등에 대해서도 다각도로 수사 중이다.
한편 경찰은 수사 과정에서 증거물 보관실에 이 변호사의 사망 당시 입고 있던 양복 등을 발견했고 국립과학수사연구원에 유전자 검사를 의뢰했지만, 이 변호사 외에 다른 유전자는 검출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
참고한 기사
“제주 변호사 살인교사 피의자 22년전 사건 현장에 있었다”_연합뉴스 백나용 기자
(https://www.yna.co.kr/view/AKR20210827076700056?input=1195m)
21기 이상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