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이야기
-
돈만 많으면 행복할까요 ? 문화마다 다른 행복의 기준
“돈만 많으면 행복할까?” 이 질문은 누구나 한번쯤은 해봤을 것이다.그래서 어떤 사람들은 '행복=돈'이라고 말한다.하지만 정말 '행복=돈'일까? 돈은 행복의 전부일까? 우리에게 필요한 것을 충족하고, 여유를 느끼기 위해선 여유로운 돈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그렇기에 돈은 행복을 위해 무조건 필요하다고 생각할 수 있다. 이 질문에 대해 다양한 답을 찾기 위해 다양한 문화권 사람들에게 질문을 던졌다. 싱가포르 출신의 응답자는“싱가포르는 물가가 높기에 안정적인 직업과 수입이 필수”라고 말했다.이 응답자는 전반적인 행복은 생각할 수 있는 충분한 재산이 있기에 때문이라 말했다.중국인 응답자 또한“안정적인 수입이 있는 것”이라고 했다.이처럼 경제적인 안정이 감정적인 안정으로 이어지는 사람들이 많았다. 반면에, 미국인 응답자 2명은“맛있는 음식을 먹고, 좋아하는 운동을 하는 것”에서 행복을 느낀다고 했고,이집트 출신의 응답자는“쇼핑을 할 수 있고, 맛있는 음식을 먹는 것”이 행복이라고 말했으며,한국인 응답자는“미래를 대비하기 위해 충분한 자금이 필요하다”,일본인 응답자는 자신이 좋아하는 분야에 몰입할 수 있는 여유, 편하게 잠을 잘 수 있는 시간”이 행복의 조건이라 생각한다고 했다. 우리가 좋아하는 것들의 대부분은 돈이 있어야 충족하기도 한다.원하는 것을 구매하고, 음식을 먹는 등 대부분의 활동에도 돈이 필요하다.그래서 돈은 나의 행복을 위한 수단 중 하나일 수 있다.하지만 돈을 어떻게 쓰냐에 따라 내 선택에서 진짜 행복을 느낄 수 있는 것이다. 결국 내가 진짜 행복을 느낄 수 있느냐에 대한 답은 나에게 달려있는 것이다.돈은 행복의 조건이 되
- 작성일
- 2025-04-09
- 담당부서
-
청소년 베스트셀러에 오른 책 <시한부>, 청소년이 세상을 이야기하다.
네이버에 책을 검색하고 찾던 중 청소년 베스트셀러에 눈에 띄는 책 하나가 있다. 청소년 베스트셀러 1위를 차지한, 베스트셀러라는 이름을 가진 책 이다.는 청소년 문학이며 312쪽이 되는 책이다. 이 책이 특별한 이유는 이 책을 쓴 작가가 청소년이기에 더 특별한 의미를 가졌다.책 를 쓴 작가 백은별은 이 책을 쓰게 된 계기를 '살 날을 정하고 사는 것도 시한부에 포함이 될까?'라는 생각을 가졌고 그 후에 책을 쓰기 시작했다고 말했다. 그렇기에 작가 백은별은 많은 학생들이 스스로 살 날을 정하는 자발적 시한부 인생을 살고 있다며 청소년 우울과 자살에 대한 이야기를 청소년의 입장으로 적는다.는 세상에 나온지 1년이 지나가는 시점이지만 작가의 활발한 활동과 SNS 계정을 통해 꾸준한 인기를 얻었다.청소년의 시선으로 써내려 간 대한민국 학교 현실에 '자발적 시한부'가 되어 가는 학생들의 실태를 이야기한다.나도 그녀의 책을 읽어보지는 않았지만, 그녀의 SNS 활동들을 좋아하는 한 사람으로서 같은 나이에 믿기지 않는 성숙한 사고를 가진 사람이라고 생각되었다.또한 학생만이 할 수 있는 얘기가 있다고 믿는 사람인 나는 그녀의 말들이 큰 울림을 주었다.또한 처음 낸 책이 정식 출판사로 낸 책이다보니 대단하다는 생각만 들었다. 그리고 베스트셀러를 단 것이 그치지 않고 다른 책들도 내며 활동을 이어가 총 3권의 책을 낸 것이 대단했다.앞으로의 백은별 작가의 활동을 응원하겠습니다.:참고자료:https://search.shopping.naver.com/book/catalog/45329752621?cat_id=50005708&frm=PBOKMOD&query=%EC%8B%9C%ED%95%9C%EB%B6%80&NaPm=ct%3Dm6q1kvao%7Cci%3D5850a4c191453fea4143641b9b7cd2eb97a8f771%7Ctr%3Dboknx%7Csn%3D95694%7Chk%3D48301764e80c633dee54ce9949524979ba67a41
- 작성일
- 2025-02-04
- 담당부서
-
세배의 유래와 세뱃돈에 대한 현대인의 시각
설날은 천년이 넘는 역사를 가진 우리 민족의 중요한 명절이다.그 중에서도 세배는 빼놓을 수 없는 전통 행사이다.세배의 기원은 고려 시대 사찰에서 새해를 맞아 승려들이 큰 스님께 세배를 올리던 신년 행사인 통알(通謁)에 뿌리를 두고 있다.이처럼 선조들이 오늘날까지 이어온 새해 풍습이 바로 세배이다.세배와 함께하는 중요한 요소는 세뱃돈이다.과거에는 어른에게 절을 하는 것이 자연스러웠고 이에 대한 보답으로 돈을 주지 않았으나,시간이 흐르면서 세뱃돈 문화가 생겨났다.이는 사돈지간에 외출이 자유롭지 않았던 부인들이 새해 인사를 하녀를 통해 전하며 수고비를 주었던 문안비에서 유래했거나,중국의 붉은 봉투 홍바우에 돈을 넣어주는 문화에서 영향을 받은 것으로 해석된다.그때나 지금이나 어린이들에게는 세뱃돈을 받을 수 있는 날인 설날이 용돈을 모을 수 있는 기회. 세뱃돈에 얽힌 추억은 누구나 하나쯤은 가지고 있다. 하지만 세뱃돈에 대한 인식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화해왔다.물가 상승과 경기 악화로 인해'해마다 얼마를 줘야 할까', '몇 살까지 줘야 할까'라는 갈등이 생기고,세뱃돈 지급을 꺼려하는 목소리도 증가하고 있어 세뱃돈 주기가 부담스러워 설날에 고향에 내려가기가 꺼려진다는 사람들도 생겨났다.저출산과 경기 불황,결혼 연령의 저하 등으로 인해 세뱃돈에 대한 인식은 점차 변화하고 있다.앞으로 우리가 지켜야 할 명절에 대한 관점이 어떻게 바뀔지,그리고 변화된 세뱃돈 개념을 바탕으로 명절을 어떻게 대해야 할지에 대해 귀추가 주목된다.출처 :조선시대까지 세뱃돈에 관한 기록이 없다! | 몇 살까지 세뱃돈을 줘야 할까? | #지식채널e - YouTube
- 작성일
- 2025-01-30
- 담당부서
-
설날: 한국의 가장큰 명절
설날은 한국에서 가장 중요한 명절로, 음력 1월 1일에 해당하는 새해 첫날이다. 단순히 한 해의 시작을 알리는 날이 아닌 가족과 조상을 기리고 새로운 한 해의 건강과 행복을 기원하는 의미가 담겨 있다. 설날의 기원은 정확히 밝혀지지 않았지만 삼국시대부터 명절로 지켜졌다는 기록이 있다. ‘설’이라는 단어는 ‘낯설다’에서 유래되었다는 설이 있어 새로운 마음가짐으로 한 해를 시작하는 날로 여겨진다. 대표적인 전통으로는 조상을 기리는 차례와 성묘, 어른들께 세배를 드리고 덕담을 주고받는 풍습이 있다. 차례에서는 떡국, 나물, 전, 생선 등 여러 가지 음식을 차려 조상의 은혜에 감사하며 이후 성묘를 하며 조상의 덕을 기린다. 세배는 공손하게 큰절을 올려 건강과 복을 기원하는 인사법으로, 어른들은 이에 대한 답례로 덕담을 해주고 아이들에게는 세뱃돈을 준다. 또 가족과 함께 윷놀이, 연날리기, 제기차기 등 전통 놀이를 즐기며 정을 나누고, 떡국을 먹으며 한 살을 더 먹는다는 의미를 되새긴다. 오늘날에도 설날은 가족이 한자리에 모여 정을 나누고, 전통을 이어가는 뜻깊은 명절로 자리 잡고 있다.
- 작성일
- 2025-01-29
- 담당부서
-
세계 각국의 이색 졸업식 문화, 무엇이 있을까?
요즘 2024년이 끝나고 2025년이 찾아오며 학교를 졸업함으로써 새로운 출발을 하는 사람들이 있다.나라마다졸업식에는 고유의 전통과 문화가 담겨 있으며, 일부 국가에서는 정말 독특하고 이색적인 졸업식을 한다. 흥미롭고 이색적인 졸업식을 하는 나라에는 어디가 있을까?첫 번째 나라는 일본이다. 일본은 중고등학교 졸업식에 여학생이좋아하는남학생의 교복두 번째단추를 받는 문화가 있는데, 교복의두 번째단추가 심장과 가장 가까운 위치에 있기 떄문이다. 인기가 많은 남학생의 교복 단추는 팔기도 한다.두 번째나라는 미국이다. 미국의 졸업식은 분야별로 진행되기 때문에 2~3일 정도 지속되는 경우가 많다. 정식으로 강당에 모여 졸업장을받을때는 엄숙한 분위기에서 진행되지만, 졸업식이 끝나면 고등학교졸업 무도회를일컫는 단어 'prom'이 있을 정도로 성대한졸업 파티를열어 졸업의 분위기를 함께 만끽한다.세 번째나라는 스웨덴이다. 스웨덴은 졸업식 준비에 3개월에서 6개월 정도가 소요될 정도로 졸업식을 아주 큰 행사로 여긴다. 스웨덴은 졸업식에 다른 나라에서는 볼 수 없는 특별한 옷을 입는데, 바로 마린룩이다. 마린룩은 바다와 관련된 디자인이나 스타일을 활용한 남성적인 느낌의 패션을 의미한다. 이 복장은 앞으로 펼쳐질 학생들의 인생에서 각자 자기 인생의 선장, 항해자가 되라는 특별한 의미를 담고 있다.졸업식은 단순히 학문적 성취를 축하하는 자리가 아니라, 새로운 시작을 격려하고, 그동안의 노력을 칭찬하는 중요한 행사이다. 나라마다 졸업을 기념하는 방식은다르지만새로운 시작을 응원하고 축하하는 마음만은 다르지 않다.출처 : https://hyeanjae.tistory.com/674
- 작성일
- 2025-01-24
- 담당부서
-
디즈니, 미키 마우스 한복 반응은?
누구에게나 사랑받는 디즈니의 캐릭터들, 그런 캐릭터들이 새해 인사를 한다면 어떤 반응들이 올라올까?사랑스럽고 귀여운 디즈니의 캐릭터인 미키 마우스와 미니 마우스가 새해 인사를 했는데 그것을 본 몇몇의 사람들이 디즈니랜드의 SNS 계정에 악성 댓글을 달았다면 믿음이 가십니까?디즈니랜드는 설 명절을 앞두고 디즈니랜드의 SNS 계정에 새해 인사를 올렸다.해당 릴스에는 첫번째에 Happy Lunar New Year이라고 올라오며 그 다음에 한국어, 베트남어, 중국어로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가 적힌 후 미니 마우스와 미키 마우스가 한복을 입고 있는 모습이 나오는 릴스다.그런데 그 릴스에 대한 반응은 크게 세가지로 나뉜다. 그저 Happy Lunar New Year, Happy Chinese New Year이라고만 올리는 반응과 한국의 한복을 입은 캐릭터들이 귀엽다는 반응이 나오거나 중국인으로 추정되는 이들은 음력으로 하는 새해가 중국의 것인 것처럼 한국 민족 의상인 한복도 중국 문화의 일부이다, 한푸, 중국의 설이라는 반응으로 나뉜다.이 일은 올해 뿐 아니라 지난해에도 디즈니랜드 SNS 계정 댓글에 비슷한 행동을 하기도 했다.이런 일이 또 다시는 없기를 바란다.: 참고자료 :Happy Chinese New Year: 디즈니랜드 릴스 :https://www.instagram.com/reel/DE7ol6rPPt-/?igsh=aTdsaGJ1ODE1YXdz
- 작성일
- 2025-01-22
- 담당부서
-
탄소배출권: 지구를 지키는 경제적 해법
탄소배출권(Carbon Credit)은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세계적인 정책 도구로 주목받고 있다. 이는 기업들에게 할당된 온실가스 배출량을 초과하거나 감축할 때, 시장에서 거래할 수 있도록 한 제도다.이를 통해 기후변화 문제를 해결하는 동시에 경제적 효율성을 극대화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탄소배출권 거래제는 정부가 설정한 배출량 상한(Cap) 내에서 기업들이 배출권을 사고팔 수 있도록 허용하는 제도다.한도를 초과한 기업은 초과분을 구매해야 하며, 반대로 감축에 성공한 기업은 잉여 배출권을 판매해 수익을 얻는다.이 제도는 기업들로 하여금 배출량을 자발적으로 줄이도록 유도하며, 이를 통해 전체적인 온실가스 배출량을 줄이는 효과를 기대한다.한국은 2015년 아시아 최초로 탄소배출권 거래제를 도입하며 기후변화 대응에 앞장서고 있다.현재 2030년까지 온실가스를 40% 감축하겠다는 목표를 세우고 있으며, 이를 위해 재생에너지 확대, 탄소중립 기술 개발 등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하지만 일부 기업들은 배출권 확보 비용 증가에 따른 부담을 호소하며 개선책을 요구하고 있다.탄소배출권 거래제는 환경 보호와 경제 성장을 동시에 추구할 수 있다는 점에서 긍정적인 평가를 받고 있다.그러나 시장 조작 가능성, 선진국과 개발도상국 간의 불평등 문제 등 해결해야 할 과제도 존재한다.또한, 단순히 배출권을 구매하는 방식이 아닌 실질적인 감축 노력을 강화하는 것이 중요하다.탄소배출권은 단순한 환경 규제를 넘어, 지속 가능한 경제 모델을 구축하는 데 필수적인 요소로 자리 잡았다.글로벌 협력과 정책 개선을 통해 탄소배출권 제도가 기후위기를 극복하는 핵심 수단으로 발전할 수 있을
- 작성일
- 2024-12-28
- 담당부서
-
오징어 게임 시즌 2, 글로벌 기대감 고조
넷플릭스 오리지널 시리즈 오징어 게임이 시즌 2로 돌아온다는 소식에 전 세계 팬들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2021년 공개된 시즌 1은 독창적인 설정과 강렬한 서스펜스로 글로벌 흥행에 성공하며 넷플릭스 역사상 가장 많은 시청 시간을 기록한 작품 중 하나로 자리 잡았다.황동혁 감독은 2022년 초 공식적으로 시즌 2 제작을 확정하며 주요 캐릭터들의 귀환을 예고했다.시즌 1의 마지막에서 생존한 기훈(이정재 분)의 복수를 다룰 것으로 예상되며, 새로운 참가자들과 게임의 이면을 다룬 이야기가 전개될 예정이다.황 감독은 인터뷰를 통해 시즌 2에서는 한층 더 긴장감 넘치는 게임과 예상을 뒤엎는 캐릭터들이 등장할 것이라고 밝혔다.특히, 시즌 1에서 사랑받았던 프런트맨(이병헌 분)의 과거와 조직의 내부 구조가 더욱 깊이 탐구될 가능성이 높다.또한, 게임의 설계자 역할을 했던 ‘오일남’ 캐릭터의 이야기가 회상 형식으로 등장할 수 있다는 추측도 이어지고 있다.오징어 게임 2는 현재 촬영 중으로, 2024년 하반기 공개를 목표로 하고 있다.제작진은 더 세밀한 스토리 전개와 고퀄리티 연출을 위해 시간과 노력을 아끼지 않고 있다고 전했다.황 감독은 “기다림이 길어진 만큼, 더욱 완성도 높은 작품으로 보답하겠다”고 말했다.시즌 2에 대한 기대감이 높은 만큼, 흥행에 대한 부담도 클 것으로 보인다.시즌 1이 전 세계적으로 선풍적인 인기를 끌었던 만큼, 후속작에 대한 비교와 비판도 불가피할 것으로 예상된다.하지만, 넷플릭스와 황동혁 감독은 이러한 부담을 창의적인 방향으로 승화시켜 또 한 번의 흥행을 노리고 있다.오징어 게임 시즌 2는 팬들에게 또 다른 놀라움과 감동을 선사할 준비를 하고 있
- 작성일
- 2024-12-28
- 담당부서
-
빌보드에 올라간 한국의 피아니스트, 임현정 피아니스트
임현정 피아니스트는 영국 클래식 명가인 EMI 역대 최연소로 한국인 중 첫번째로 빌보드 클래식 차트 1위에 올랐다. 그녀가 빌보드 차트 1위가 될 수 있도록 해준 앨범은 베토벤 피아노 소나타 전곡 데뷔 앨범이었다.그리고 임현정 피아니스트의 아리랑을 편곡해 연주하는 아리랑 판타지는 정말 아름다운데, 일본 리사이틀에서는 주퇴 측에서 아리랑을 연주하지 말라는 만류에도 첫번째 앙코르곡으로 아리랑 판타지를 연주하며 일본 관객들에게 곡 자체만으로 박수를 받을 수 있었다.또한 일본 주최 측이 아리랑 연주를 만류했지만 연주했을 때 연주곡과 앙코르곡은 연주자의 권한인데 주최 측에서 하지 말라고 한 것이 말도 안 되는 상황이었다며 원래 하려고 했던 아리랑 판타지를 연주했다며 그 후에는 아무도 뭐라고 하지 않았다며 그 상황을 설명해주었다.그녀는 12월 5일에 라흐마니노프 콘체르토 전곡 독주편곡 리사이틀을 끝내고서는 휴식기에 들어갔다.또한 라흐마니노프 콘체르토 전곡 독주편곡 독주회는 단 한대의 피아노로 3시간동안 독주를 했다.모든 파트를 한 대의 피아노만을 사용하여 라흐마니노프 피아노 협주곡 전곡을 연주하는 것은 기존 어디에도 존재하지 않아 의미가 깊지만 임현정 피아니스트는 그 전에 이미 만삭이였기에 아이와 함께 하는 공연이라 의미가 남다르다고 말했다.: 참고자료 :http://www.sc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44110https://lrl.kr/qoPk
- 작성일
- 2024-12-16
- 담당부서
-
인사이드 아웃의 후속작 벌써 완성되다.
인사이드 아웃 2가 나온지 얼마 되지 않은 것 같은데 디즈니는 또 다시 인사이드 아웃의 후속작을 공개하려고 한다.인사이드 아웃의 후속작의 제목은 '드림 프로덕션'이며, 인사이드 아웃 시리즈의 주인공 '라일리'가 잠들면 꿈 제작소에서 펼쳐지는 이야기를 담았다고 한다.2024년 11월 30일을 기준으로 공개예정이며 11일 후에 공개가 된다.곧 나오기에 공식 예고편이 공개되었다. 두 개가 공개되었는데 하나는 드림 프로덕션의 대한 내용만이 보이는 예고편이고 다른 한 편은 드림 프로덕션과 다른 시리즈의 영화를 함께 소개하는 내용이었다.예고편의 내용에서는 라일리의 감정 본부의 감정들도 나오고 꿈을 만들기 위해 일하는 모습들도 보인다.후속작이라고 하는데 꿈에 관련된 내용이라 감정 본부의 감정들은 나오지 않겠다고 생각했지만 예고편으로만 본다면 감정들도 꽤나 나올 것 같았다.드림 프로덕션이 12월 11일에 공개하니 개봉일까지 기다리다가 예고편을 보려고 했지만 궁금함을 참지 못해서 봤다. 인사이드 아웃이 임펙트가 워낙 커 후속편이 묻히지 않을까? 싶었지만 묻히지는 않을 것 같다. 예고편 하나로도 많은 일들이 있던 것 같아 기대된다.: 참고자료 :https://search.naver.com/search.naver?where=nexearch&sm=tab_etc&mra=blFB&x_csa=%7B%22tab%22%3A%22default%22%2C%22pkid%22%3A%22356%22%7D&pkid=356&os=35250576&qvt=0&query=%EB%93%9C%EB%A6%BC%20%ED%94%84%EB%A1%9C%EB%8D%95%EC%85%98
- 작성일
- 2024-11-30
- 담당부서
- 자료관리담당자
-
- 담당부서 청소년정책과
- 문의처 032-440-2922
- 최종업데이트 2025-03-12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