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사회이야기

청소년이 생각하는 대한민국의 교육 방식

작성자
이승연
작성일
2022-05-26

현재 정권이 교체되고 새학기에 적응한 고등학생들에게 현재 우리나라의 교육방식에 대해 물었다. 인천의 고등학교에 재학중인 오 군(17세) 에게 물어보았다 그는 "자신의 목표를 이루기 위해 힘든 과적을 거쳐서 그 목표에 도달하겠금 하는 교육 방식은 좋은거같지만 자신의 꿈을 생각하기보다는 자신의 학업을 더 많이 생각하는 학교 시스템이 너무 별로라서 지금은 진로와 학업이 2:8이라 하면 5:5에 학교 교육과정 시스템으로 변했으면 좋겠다고 생각합니다." 라고 현재의 시스템의 부족한 점을 지적하며 평가했다. 대구 거주중인 김 군(17세)는 "내신이 지역마다 차이가 심합니다. 학구열이 너무 차이나서 어떤지역은 문제집 3-4권씩 풀어도 1등급 안나오는 학교가 있는 반면에 그 지역 외곽학교에서는 문제집 한권만 풀어도 1등급이 나옴 시험 난이도랑 애들 수준이 차이가 심하다는 건데 우리나라는 블라인드 채용이라면서 학구열높은 1등급이랑 외곽학교 1등급이랑 같은 취급을 당합니다. 이걸 구별하려고 수능최저가 있는데 유명학교도 수능최저 없는학과가 있어서 그 과에 들어가도 학생들 수준차이가 있을수밖에 없는거 같습니다." 라며 현재의 교육 시스템보다 입시 시스템을 비판하며 불평등한 입시 상태로 인해 당연히 교육에서의 불평등 함도 존재할수 없다고 밝혔습니다. 교육의 주체가 되는 청소년들의 의견은 교육정책에서 무시할수 없으며, 이러한 청소년들의 의견을 주의깊게 듣고 정책 수립에 잘 활용해주길 바라는 바이다.

공공누리
OPEN 공공누리 출처표시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이 게시물은 "공공누리"의 자유이용허락 표시제도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전글
등록된 게시물이 없습니다.
다음글
등록된 게시물이 없습니다.
자료관리담당자
  • 담당부서 청소년정책과
  • 문의처 032-440-2922
  • 최종업데이트 2025-03-12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