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도시가스 안전점검원들이 서울시에 면담을 요청하며 서울시청 별관 로비에서 농성을 하다가 경찰에 의해 강제로 끌려 나갔다. 이 과정에서 일부 안전점검원들이 뇌진탕 증세를 보이거나 깁스를 하는 등 부상을 입어 논란이 일었다.
지난 24일 오후 2시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 공공운수노조 서울도시가스분회(이하 노조) 소속 가스 안전점검원들은 온전한 인건비 보장을 위해 도시가스 공급사 관리‧감독을 요구하며, 서울시청 별관 앞에서 서울시를 규탄하는 결의대회를 열었다.
이어 담당 부서인 녹색 에너지과 면담을 위해 시청 별관에 들어가려는 과정에서 경찰과의 대치가 벌어지면서 김윤숙 분회장을 비롯해 별관 출입문으로 들어가려던 점검원들이 경찰의 진압으로 부상을 입었다.
노조는 인건비 보장을 책임져야 하는 서울시가 면담을 거부하고 오히려 경찰을 부르면서 ‘인권침해’를 야기했다고 강조하며, 25일 오전 서울시를 규탄하는 긴급 기자회견을 열었다.
이들은 “재선에만 눈이 멀어서 청사 앞에서 밤을 지낸 안전점검원 노동자들을 방치하고 있는 서울시장이 다시 당선 되면 어떤 시정을 펼칠지 뻔하지 않은가. 서울시가 끝끝내 문제 해결을 거부한다면 더 큰 분노와 저항에 직면하게 될 것이다”라고 강조했다.
현재 서울시로부터 도시 가스 공급권을 허가 받아 도시 가스를 공급하는 5개사가 있고, 이중 가스 안전 점검 업무는 5개사가 외주화 하여 각 고객센터에 위탁을 주고 있다.
노조는 “2021년도 검침‧점검원 인건비를 210만 3800원으로 산정했으나, 실제 점검원들이 받는 급여는 7만 1800원이 적으며, 이 과정에서 한 회사당 9억 2900만 원 정도가 사라지고 있다. 시간 외 수당, 퇴직금 적립금, 연차수당 등을 고려하면 1년 동안 사라진 임금이 (1인당) 200만원 가까이 된다”고 주장했다.
노조는 서울시에 왜 노동자들에게 산정된 임금이 지급되지 않고 있는지에 대해 관리‧감독을 요구하며, 네 차례에 걸쳐 공문을 보내고 서울시와 면담을 진행하기도 했다. 하지만 노조 측의 요구에 대해 분명한 답변은 듣지 못했다.
이날 기자회견에서 김윤숙 분회장은 “경찰이 저를 낚아채서 바닥에 패대기를 쳤다. 병원에 가니까 목이 꺾이고 뇌진탕 증세가 있다. 근육이완제도 추가로 처방 받았다. 17년 일한 도시 가스 점검 노동자로서 우리 급여를 이제는 제대로 받아야 해서 왔다. 서울 시장님께 면담 요청했던 것밖에 없다”고 밝혔다.
김 분회장은 “일은 다 하고 급여 달라는 게 무슨 큰 죄입니까. 저희가 폭도입니까, 간첩입니까,. 서울시가 이런 식으로 대처하면 안 된다. 서울시가 제대로 (도시가스 공급사) 관리‧감독해주고, 이렇게 많은 사람들이 다쳤으니 사과하라”고 강조했다.
오현미 조합원 역시 “우리가 산정된 임금을 제대로 지급 받기 위해서 온 것뿐이다. 서울시와 싸우려고 온 것도 아니었다. 별다른 것도 한 거 없고 저희가 원하는 바를 외쳤을 뿐인데도 경찰이 진압했다. 저희가 무엇을 잘못했다고 이런 일을 벌이는지 알 수가 없다”라고 밝혔다.
명숙 인권네트워크 바람 활동가는 연대 발언을 통해 “지방 선거 기간에 지자체가 비정규직 여성 노동자에게 폭력을 행사한 것인데 사과조차 하지 않는다. 간접 고용 비정규직 노동자는 서울시의 정책 대상이 아니라는 말인가”라며 비판했다.
이러한 경찰에 대해서도 “(강제력을 행사하기 전에) 안전 조치나 협의 등이 전혀 없었다. 여성 노동자이기 때문에 여경을 불러야 되는데 그조차 부를 생각을 하지 않았다. 정작 경찰이 해야 할 ‘인권 보호 업무’를 하지 않았고, 권력기관 (지키기)에만 충실하지 않은가”라고 지적했다.
노조 측 주장에 대해 서울시 녹색에너지과 관계자는 “서울시는 사업을 허가하고, 서울도시가스 등의 회사는 검침 업무를 할 수 있는 고객센터 등에 위탁 계약을 한다. 안전점검원들이 근로 계약을 맺은 것은 고객센터의 ‘장’이다. 그들에게 지도‧감독의 권한이 있고 서울시는 사업을 허가해준 곳일 뿐이다”라고 반박했다.
이어 “(2021년) 서울시는 최저임금보다 높고 생활 임금을 상회하는 수준으로 기준을 잡아서 210만 3800원으로 결정했다”라며 “그런데 이 금액은 1인당 평균 금액이기 때문에 개인에게 모두 이 금액이 지급된다는 것이다. 고객센터 측에서는 직책수당, 건강검진비, 생일을 맞은 노동자를 챙기는 일 등에 비용을 쓰고 있다고 한다. 기준 금액보다 덜 받는 사람도 있고 더 받는 사람도 있는 것이다”라고 밝혔다.
그는 “현재 고객센터 65개소 중 62개소는 임금 협상이 타결됐고 3개소만 교섭이 결렬된 것이다”라고 덧붙였다.
이후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서울지역공공서비스지부는 25일 “서울시가 (요구안에 대해) 전향적으로 검토해 27일까지 결론을 내겠다는 내용의 합의문을 받았다. 이번에는 꼭 약속이 지켜지길 바란다”고 전했다.
이어 “경찰과 있었던 충돌에 대해서도 이후 내부 논의를 거쳐 대응책을 마련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참고한 기사
가스 점검원들 “서울시 면담 요청했다 경찰에 끌려 나와”_박정훈 기자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2838164&CMPT_CD=P0010&utm_source=naver&utm_medium=newsearch&utm_campaign=naver_news)
도시가스 점검원들 농성 종료...“서울시 약속 지켜야”_이승연 기자
(https://www.yna.co.kr/view/AKR20220525065052004?input=1195m)
22기 기자 이상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