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사회이야기

한국 뮤지컬 티켓 값이 천정부지로 오르는 이유, '이것' 때문이다

작성자
김다현
작성일
2024-11-23

요즈음 연말이 다가오면서 뮤지컬을 관람할 계획을 세우는 사람이 많을것이다.


그런데 나날이 다달히 천정부지로 오르는 티켓값 때문에 뮤지컬 관람에 대한 부담이 커지고 진입장벽 또한 높아지고 있는 상황이다.


이러한 뮤지컬 가격 상승에 대한 원인은 크게 4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첫번째 원인은 비용 질병이다.


비용질병이란 생산성 증가율이 전혀 없거나 거의 없는 산업 부문에서도 임금이 상승하는 현상을 말한다.


뮤지컬은 공연이라는 장르의 특성 상 완전한 자동화가 어렵고 자동화하더라도 불가피한 인건비 지출이 있기 때문에 비용질병을 피하기 어렵다.


공연 제작사 측에서는 이러한 비용질병으로 비롯된 손해를 티켓값을 통해 메꾸려 하기 때문에 티켓 가격에 대한 부담은 고스란히 관객이 짊어지게 되는 것이다.


두번째 원인은 스타캐스팅이라고 할 수 있다.


한국 뮤지컬은 어떤 배우를 기용하느냐에 따라서 티켓값이 크게 좌지우지되곤 한다.


많은 관객을 유치하기 위해선 어쩔 수 없이 수많은 팬을 거느린 이른바 '스타배우'를 캐스팅 할 수 밖에 없는 것이다.


그러나 이런 스타배우를 캐스팅하면 그 유명세 만큼의 개런티를 지급해야 하기 때문에 제작사에게 큰 재정적 부담을 안겨준다.


세번째 원인은 더블 캐스팅이다.


뮤지컬 산업이 활성화 되어 있는 미국, 영국, 일본과 비교해보면 한명의 배우가 대부분의 공연에 오르고 상황에 따라 커버 배우가 공연을 진행하는 위 세나라와 달리 우리나라는 한 배역에 더블 캐스팅, 트리플 캐스팅을 진행하고 있다.


그리고 한국에서는 같은 배역에 캐스팅 되었어도 배우마다 다른 개런티를 받는다.


그러나 한국의 뮤지컬 티켓 가격은 대체로 통일되어 있기 때문에 스타배우와 비교적 티켓파워가 약한 배우의 공연이 같은 가격으로 판매된다.


따라서 많은 관객들은 스타배우의 공연을 더 선호하게 되고 배우간의 티켓파워 양극화가 더 심화되어 스타배우 의존도가 갈수록 증가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마지막 원인은 낮은 가격 탄력성이다.


가격 탄력성이란 수요와 공급에 맞춰 가격을 조정하는 것을 말하는데 한국 뮤지컬 가격은 대체로 고정되어 있고 그 가격이 상당히 높은 편에 속한다.


 이를 뮤지컬 산업이 활성화된 영국과 비교해 보자면 영국의 뮤지컬 티켓 가격은 탄력성이 굉장히 높다.


주말과 평일, 세분화된 좌석 등급에 따라 다양하게 티켓가격을 책정하곤 한다.


그러나 한국은 평일과 주말을 구분하지 않고 좌석의 등급을 세분화해서 티켓 가격을 책정하지 않는다


따라서 스타 캐스팅 의존도는 갈수록 높아지고 가격 탄력성은 갈수록 낮아지기 때문에 뮤지컬 티켓 값이 올라가는 것이라고 정리 할 수 있다.


그렇다면 티켓 가격을 낮출 수 있는 방법으로는 무엇이 있을까?


먼저, 공연을 녹화하고 녹음하여 영상과 음원을 파는 것이다.


이 방법을 채택하였을때 비용질병은 잘 일어나지 않으나 뮤지컬이라는 공연 특성 상 진입장벽이 높기 때문에 수요가 많지 않아 잘 활용되지는 않는다.


두번째 방법으로는 공연을 여러번 하는 것이다. 뮤지컬의 사전 제작비를 낮추기 위해선 장기공연을 진행하면 된다.


이 때문에 많은 공연 제작사들은 흥행이 보증된 작품이라면 6개월에서 길면 1년동안 장기공연을 하곤한다.


 하지만 이 방법을 활용하더라도 배우들의 인건비는 줄일 수 없기 때문에 '스타캐스팅'을 한다면 뚜렷한 효과를 보이지 못 할 것이다.


따라서 건강한 뮤지컬 산업을 구축하기 위해선 제작사는 합리적인 티켓 가격을 책정하기 위해 노력해야 하고 대중들은 스타배우의 공연만을 선호하기 보단 실력있지만 아직 빛을 보지 못한 신예 배우들의 공연도 감상해 보는 것이 좋겠다.


공공누리
OPEN 공공누리 출처표시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이 게시물은 "공공누리"의 자유이용허락 표시제도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전글
등록된 게시물이 없습니다.
다음글
등록된 게시물이 없습니다.
자료관리담당자
  • 담당부서 청소년정책과
  • 문의처 032-440-2922
  • 최종업데이트 2025-03-12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