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교육이야기

변화된 교육과정, 신입생들에게는 부담이 되기도 한다.

작성자
최연서

중학교에 입학하는 것은 많은 1학년 학생들에게 큰 도전이다. 

초등학교와는 전혀 다른 학습 환경과 제도들이 기다리고 있기 때문이다. 


동아리 가입, 주제 선택, 봉사 시간, 수행평가 등 다양한 활동들이 학생들에게 새로운 경험을 선사하지만, 그중에서도 가장 많은 학생들이 혼란스러워하는 제도는 바로 '자유학기제'이다.

중학교에 입학하면서 학생들은 동아리 가입부터 시작해 많은 변화를 겪는다. 

초등학교 때는 동아리 활동이 거의 없었기 때문에, 다양한 동아리 중에서 자신이 원하는 활동을 선택해야 하는 중학교는 생소하고 부담스럽게 다가올 수 있다. 


또한, 봉사 시간도 중요한 과제이다. 

학업 외에도 봉사 활동을 진행해야 하므로, 학생들에게는 시간 관리가 큰 도전이 된다. 

이런 봉사활동은 일부 학생들에게는 목표하는 고등학교에 진학하기 위한 가산점을 획득하는 방법으로 쓰일 수 있는데, 사전에 안내 없이 봉사 활동을 정하면 학생에 따라 불이익을 당할 수도 있다. 


마지막으로 수행평가는 시험 대신 학생들의 활동이나 발표를 평가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이로 인해 자신이 얼마나 준비했는지에 따라 성적이 달라지고, 지필평가 대신 진행되는 수행평가는 학생들의 진로나 고교 진학에 직접적인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에 학생들에게 충분한 안내를 해 주는 것이 필수적이지만, 대부분의 학생들은 제대로 알지 못해 혼란스러워하기도 한다.


이 모든 제도 중에서도 가장 많은 학생들이 혼란스러워하는 부분은 바로 자유학기제이다. 

자유학기제는 학생들이 한 학기 동안 시험 대신 다양한 체험 활동을 통해 배울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제도이다. 

이 제도는 학생들에게 학업 스트레스를 줄이고, 진로 탐색의 기회를 제공하는 긍정적인 목적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많은 1학년 학생들은 이 제도를 처음 접하면서 큰 혼란을 겪는다.


자유학기제는 기존의 시험 중심 학습에서 벗어나 체험 중심으로 학습을 진행하는 방식이다. 

예를 들어, 학생들은 다양한 분야에서 실습을 하거나, 창의적인 프로젝트를 진행하게 된다. 

하지만 시험을 보지 않기 때문에 학생들은 어떻게 준비하고 평가받을지에 대해 불안감을 느낀다. 

또한, 자유학기제는 자기 주도적인 학습을 요구하는데, 처음에는 이 점에서 어려움을 겪는 학생들이 많다. 

프로젝트나 발표 중심의 평가가 시험보다는 더 어려운 일이라고 느끼는 학생도 많고, 주어진 시간을 어떻게 효율적으로 사용할지 몰라 고민하는 경우도 많다.


이러한 변화는 분명 학생들에게 많은 도전이 된다. 

자유학기제와 같은 제도가 학생들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기 위해서는, 학생들이 어떻게 준비하고 무엇을 해야 하는지 명확히 이해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지원이 필요하다. 

예를 들어, 수행평가의 과정이나 프로젝트 진행 방법에 대한 구체적인 안내가 이루어져야 하며, 학생들이 부담감을 덜고 체험 활동에 집중할 수 있는 환경이 마련되어야 한다. 

또한, 제도의 발전 과정에서 학생들의 의견을 더 반영한다면, 보다 실용적이고 학생 친화적인 제도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모든 중학교 1학년들에게 중학교에 처음 입학하는 것은 큰 도전이 될 수밖에 없다. 

새로운 교육 제도와 환경에 적응하는 과정에서 많은 어려움이 있지만, 이를 통해 학생들은 성장할 수 있는 기회를 얻게 된다. 

자유학기제를 비롯한 다양한 변화가 학생들에게 더 나은 교육 환경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학생들의 목소리가 더 많이 반영되어, 진정으로 학생들에게 실용적이고 친화적인 제도가 되기를 바란다.

작성일
2025-03-21
공공누리
OPEN 공공누리 출처표시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이 게시물은 "공공누리"의 자유이용허락 표시제도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자료관리담당자
  • 담당부서 청소년정책과
  • 문의처 032-440-2922
  • 최종업데이트 2025-03-12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