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2025년부터고교학점제, 선택 과목 등 개정 교육 과정이 많이바뀌었다. 그 중 초중고 모든 곳에 영향을 줄 AI 디지털교과서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자. AI 디지털 교과서(AIDT)란인공지능을 활용해 학생의 수준에 맞는 맞춤형 학습을 제공하는 교과서이다. 우리가 지금까지 알고있었던 일반적인 디지털 교과서와는 전혀 다른 것으로 볼 수 있다. 교육부에 따르면 AI 디지털 교과서는 일부 초중고(초3,4,중1, 고1)영어, 수학, 정보(특수 교육대상자) 과목들부터 단계적으로 도입하여 2028년까지 모든학년으로 확대할 예정이라고 한다.
교실에 AI 디지털 교과서를 도입할 경우, 학생들은 더 많이 질문하고, 더 많이 토론하며, 더 많이 협력하는 교실로 변화할 수 있을 것이다. 학생들은 AI 디지털 교과서의 수준별 지원을 통해 기본적인 개념을 학습하고, 개념에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수업설계 전문가인 교사가 설계한 토론, 협력 프로젝트 학습 등을 하며 창의성, 인성 등 핵심 미래 역량을 키우게 될 것이다. AI 디지털교과서 도입으로 교사의 역할이 줄어드는 것이 아닌가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은데, 교사의 역할은 AI 디지털 교과서 도입으로 인해 더 중요해진다. 교사는 학생들의수업을 설계함과 동시에 학생의 사회적 정서를 지도하는 멘토이자 코치로서의 역할이 강화될 것이다.
AI 디지털 교과서로 학생들의 학습 효과는 극대화될 것이고, 학부모가자녀의 학습 활동 정보를 확인함으로써 자녀를 이해할 수 있는 환경도 만들어줄 수 있다. 그러나 언제나장점만 있을 순 없다. 현재 AI 디지털 도입을 반대하는측에선 방대한 양의 학생 데이터 수집과 분석이 필요해 개인 정보 유출의 우려, 디지털 기기 중독, AI 디지털 교과서 외의 수업 집중도 저하 등의단점들을 제시하고 있다. 실제 학교를 다니는 학생들의 의견을 듣고 싶어 학생들을 대상으로 AI 디지털 교과서에 관해 취재해보았다.
초등학생 및 중학생 약 20여명을 대상으로 AI 디지털 교과서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 정도, 찬반 의견 등을 취재를해보았는데, 올해가 자율적 도입 첫해이기 때문인지 우리 학교 뿐만 아니라 주변에 AI 디지털 교과서가 도입된 학교를 아직은 찾을 수 없어 AI 디지털교과서로 인한 교육 현장의 변화를 취재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었다. AI 디지털 교과서에 대한 관심도부분에서는 올해부터 AI 디지털 교과서가 자율적으로 도입되는 중1, 초3,4 학생들보다는 도입 대상이 아닌 중2, 중3 학생들이 학원에서 제공하는 교육정보를 듣거나 알고리즘(뉴스) 등을 통해 더 많이 알고 있어 놀라웠다. AI 디지털 교과서 도입에대해서는, 반대 측 의견이 더 많았는데, 문해력 저하, 시력 저하 등을 반대사유로 꼽았고, 찬성 측은 학생 수준별 맞춤형학습이 가능하고 종이책으로 수업하는 것보다 디지털이 더 흥미도가 높다는 의견이었다.
AI 디지털교과서는 맞춤형 학습이 가능해 주변에서 많은 호응을 받고 있다. 하지만 단점들도 있기에 앞에서 말한단점들을 보완할 수 있는 대안도 있으면 좋겠는 바람이다. 또 취재를 하면서 아직은 대다수의 학생들이AI 디지털 교과서에 대해 정확하게 잘 알지 못하고 있다는 것을 느낀 만큼, 학교나 뉴스 등에서 더 많이 홍보하여 알릴 필요가 있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