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82년 미국과의 통상조약 체결을 시작으로 인천항에는 일본과 청은 물론 독일, 영국,미국 등의 외국 상사들이 진출하여 무역경쟁이 치열하였다 그 중에 석유는 전기가 들어오기까지 가정의 필수품으로 일본 상인들이 독점하여 수입하고 있었다 1895년 미국계 타운젠트 상사는 미국 스탠다드 석유회사와 수입독점 계약을 맺고는 월미도 동쪽 해안의 터를 사들여 등유(Kerosese Oil)50만 상자를 저장할 수 있는 석유저장창고를 지었다
이 석유는 송함석유란 간판을 붙이고는 이미 판매망을 확보한 일본 상인을 통하여 전국으로 독점판매되었다 이러한 독점 판매는 1903년 화란과 영국 등지에서 석유가 수입되면서 무너지기는 하였으나 여전히 큰 몫으로 석유시장을 장악하여 많은 이익을 남겼다
러일전쟁 이후 상권이 점차 일본으로 이동하면서 조선을 떠날때까지 이들에 의한 경제적 침투는 조선의 자주적인 경제발전을 저지하는데 결정적인 요인이 되었다
위 지도는 인천부내도에 표시된 스탠다드 석유회사 저유창고(1925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