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
-
IncheON : 미학도시 인천
빛은 경계를기억한다2025 인천국제현대사진기획전경계를 넘어,바다와 뭍의 사이間를품은 도시글. 정경숙 본지 편집위원한 사람이 바다에 서 있다.인천 앞바다, 송도 수평선 너머.빛과 안개, 물결이 겹치는 순간, 실체인지 환영인지 모호해진다.보이는 것과 보이지 않는 것.물과 도시, 바다와 문명.경계의 가장자리에서 스스로의 윤곽을 그린다.이 도시는 늘 경계에 있었다.바다와 뭍이 맞닿고,동양과 서양이 뒤섞이며,과거와 미래가 교차하는 자리.인천은 그 흔들림 속에서 스스로를 세워왔다.상처를 딛고 단절을 넘어서.2025년 인천국제현대사진기획전은그 ‘사이間’의 빛을 비춘다.인천의 원형 - 바다가 기억하는 시간갯벌 위에 새겨진 발자국사진은 기억의 표면이다.그 위로 시간이 내려앉는다.밀물처럼 스며드는 숨결.모래 속에 묻힌 이름들.소달구지가 빙판 위를 지난다.집으로 돌아가는 어부들, 줄지어 찍힌 발자국.그림자가 겨울 갯벌에 길게 드리운다.송도 갯벌 위엔 도시가 들어섰고,어민들의 삶은 지도에서 사라졌다.남은 것은 흑백 사진 한 장.‘이 땅은 누구의 것이었는가.’그가 남긴 것은살아 있던 사람들의 숨결, 그들이 견딘 시간의 깊이다.바다를 꿈꾸는 눈빛비닐 아래 검은 눈동자들이 겹겹이 포개져 있다.숨이 멎은 생들이지만,그 눈엔 여전히 바다의 염기가 남아 있다.“바다는 얼마나 깊을까.”국민학교 5학년, 친구는 그렇게 묻고다시는 돌아오지 않았다.칠십을 넘긴 지금, 작가는 소주 한 잔 앞에 두고그날의 바다를 꺼낸다.침묵은 고요하지 않다.그 안엔 꿈의 소리와 생의 기억,그리고 아직 끝나지 않은 바다가 있다.Special Section | Legend Incheon인천 현대사진의 뿌리를 기리다제1회 ‘레전
2025-11-04 2025년 11월호 -
나의 인천 : 김유정 작가
인천에서 피워낸 예술의 시간김유정 작가바다 냄새와 항구의 불빛 속에서 자란 작가 김유정. 그는 인천이라는 도시가 품은 시간과 사람들의 온기를 예술로 되살리고 있다. 월미도의 바람, 연안부두의 파도, 재래시장의 손끝을 끊임없이 포착하고 있는 그가 인천 시민들에게 한 통의 편지를 보내왔다.글·사진. 김유정 작가‘2023 소마미술관개인전’을 준비하면서안녕하세요.저는 인천에서 태어나 지금도 인천에서 작업을 이어가고 있는 작가 김유정입니다. 어린 시절, 제게 인천은 그저 일상의 배경에 지나지 않았습니다. 너무 익숙해서 그 특별함이 눈에 보이지 않았거든요. 바다 냄새는 늘 코끝에 머물렀고, 항구의 불빛도 언제나 그 자리에 있었으니까요.하지만 먼 나라, 바다가 없는 도시에서 지내보니 알게 되었습니다. 인천의 하늘빛, 물결 소리, 그리고 사람들의 따뜻한 온기가 제 삶의 결을 이루고 있었다는 사실을요. 지금의 저는 그 익숙했던 풍경과 사람들의 온기를 작업 속에 담으며 살아가고 있습니다.최근 저의 작업은 ‘주변의 미학’에서 출발합니다. 버려진 사물, 이름 없는 식물, 경계에 선 사람들처럼 세상 가장 변두리에 있는 것들을 다시 바라보며 기능을 잃은 사물과 공간에 새로운 숨결을 불어 넣으려 합니다. 작업을 하다 보면 한때 제 역할을 다하고 잊힌 것들이 얽히고설켜 서로의 호흡을 나누는 순간이 있습니다. 그 순간, 저는 ‘공존’이라는 단어의 의미를 체감합니다.혹시 인천 곳곳에도 이런 ‘공존’의 장면들이 숨어 있다는 거 아시나요? 저는 월미도의 바람, 연안부두의 활기, 재래시장의 분주한 손끝 속에서 사람과 사람, 자연과 인간이 이어져 있음을 느끼곤 합니다. 이처럼
2025-11-04 2025년 11월호
- 자료관리담당자
-
- 담당부서 콘텐츠기획관
- 문의처 032-440-8302
- 최종업데이트 2025-08-28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