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다 도시 인천 : 석모도 칠면초 군락지
바다 위에서 만나는 붉은 단풍석모도 칠면초 군락지단풍이 점점 진하게 물들어간다. 1년을 꼬박 기다려 만난 추색秋色. 가을은 도심을 지나 산과 숲을 물들이고, 끝내는 바다마저도 붉은빛으로 물들인다. 바다는 더 이상 여름의 전유물이 아니다. 늦가을, 또 다른 풍경을 품고 있는 바다로 떠나보자.사진. 이대원 포토디렉터갯벌에 핀 붉은 단풍가을이 절정에 이르면 붉게 타오르는 풍경은 더 이상 산에만 머물지 않는다. 서해안과 남해안의 갯벌에도 특별한 가을 빛이 내려앉는다. 그 중심에는 바다 위 단풍이라 불리는 ‘칠면초七面草’가 있다. 칠면초는 염생식물로 소금기 많은 갯벌에 서 자라는 강인한 식물이다. 퉁퉁마디(함초), 나문재 등과 함께 자라며, 가을이 깊어질수록 짙은 자주색에 가까운 붉은 빛으로 변신한다. 봄에는 연둣빛, 여름에는 초록빛을 띠다 가을이 오면 또 색을 바꿔 최종적으로 강렬한 붉은빛을 선사하는 데, 한 해 7번 정도 색깔이 변한다고 해 ‘칠면초’라는 이름이 붙었다고 한다.앞서 말했듯, 칠면초의 절정은 9월부터 10월 중순 사이로, 이 시기 갯벌은 마치 누군가의 손에 의해 붓칠 된 듯 붉은색으로 뒤덮인다. 바다의 푸름과 어우러진 색채의 대비는 보는 이의 감탄을 자아내기에 충분하다. 사람들은 단풍을 흔히 산에서만 즐길 수 있다고 생각하지만, 칠면초는 갯벌에서도 가을의 정취를 만끽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대표 식물이다. 그 아름다움만큼이나 칠면초는 생태적으로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칠게, 농게, 망둥어 같은 생물들의 서식지가 되어 주고, 뿌리는 갯벌을 단단히 붙잡아 해안 침식을 막는다. 오염된 물을 정화하고, 이산화탄소를 흡수해 탄소를 저장하는 ‘블루
2025-11-04
2025년 11월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