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정
-
신년사
시장 메시지시민이 행복한 세계 초일류도시를 만들겠습니다존경하는 300만 인천시민 여러분!2023년 계묘년癸卯年 새해가 밝았습니다. 새해에는 시민 여러분 모두 검은 토끼의 지혜를 받아 새롭게 도약하는 희망의 한 해가 되길 기원합니다. 민선 8기 인천시는 지난 6개월간 균형, 창조, 소통 3대 가치를 바탕으로 시정 전반에 대한 정책과 행정을 살펴보고, 세심한 검토와 치열한 논의를 통해 미래 도약을 준비했습니다. 무엇보다 시민 행복과 민생 회복을 정책의 최우선 과제로 삼아 시민의 삶을 지키는 데 역량을 집중하며, 변화와 혁신의 디딤돌을 마련했습니다. 이제 신발 끈을 조여 매고 인천의 꿈, 대한민국의 미래를 향해 힘차게 도약할 시간입니다. 오직 시민, 오직 인천, 오직 미래만 바라보며, 시민이 행복한 세계 초일류도시를 목표로 흔들림 없이 함께 나아가겠습니다.첫째, 제물포 르네상스, All ways INCHEON 2.0 프로젝트를 통해 모두가 잘 사는 균형도시를 만들겠습니다. 제물포 르네상스 프로젝트 추진과 동시에 원도심의 역세권 64곳 활성화 방안을 우선 수립해 미래를 현재로 끌어오겠습니다. 2025년 인천발 KTX 개통을 비롯해 모든 길을 편리하게 연결하는 All ways INCHEON 2.0 시대를 열겠습니다.둘째, 대한민국 제2의 도시, 100조 경제 시대는 꿈이 아닙니다. 꿈이 실현되는 세계도시를 향해 나아가겠습니다. 재외동포청 유치로 인천시민 300만 명과 재외동포 750만 명이 하나가 되어 세계시민 1,000만의 초일류도시로 비상할 것입니다. 불필요한 제도와 규제를 덜고, 선도적 정책 추진으로 경제 현장에 힘을 더하겠습니다. 올해 2월 뉴홍콩시티 비전 선포식으로 정책 의지를 실현할 것입니다.셋째, 공감복지 2.0
2023-01-09 2023년 1월호 -
새해 이렇게 달라져요
2023 변화하는 주요 정책과 제도새해, 우리 시 이렇게 달라집니다우리 시가 시민 행복은 더 높이고 민생경제에는 훈풍을 불어넣는 생활 밀착형 사업을 2023년 적극 추진한다. 올해 달라지는 주요 정책과 새롭게 지원, 확대되는 사업을 일목요연하게 정리했다.아동·청소년·여성24개월까지 아동의 ‘부모급여’ 지원2022년 1월 1일 이후 출생한 아동을 양육하는 부모에게 최대 24개월간 부모급여를 지원한다. 기존 영아 수당에서 부모급여로 명칭을 변경하고 만 0세는 월 70만 원, 만 1세는 월 35만 원을 지급할 방침이다.문의: 시 영유아정책과 032-440-2894어린이집 치료사 순회 지원어린이집에 치료사를 파견해 장애를 가진 영유아와 경계선상에 있는 영유아의 건강한 성장을 적극 지원한다.문의: 시 영유아정책과 032-440-3413소년소녀가정 및 가정위탁아동 양육비 인상소년소녀가정이나 가정위탁아동의 양육비를 인상한다. 만 7세 미만은 월 30만 원, 만 7세에서 만 13세 미만은 월 40만 원, 만 13세 이상은 월 50만 원으로 높여 경제적 부담 없이 자랄 수 있게 돕는다.문의: 시 아동정책과 032-440-2855부모 빚 대물림 방지 법률 지원아동·청소년이 부모가 남긴 빚으로 경제적 어려움을 겪지 않도록 1인당 200만 원 범위 안에서 인지대, 송달료, 소송비용 등을 지원한다.문의: 시 아동정책과 032-440-4902취약계층 청소년 해외 연수 지원2005년부터 2010년에 태어난 취약계층 청소년에게 해외 역사문화 체험 기회를 제공해 차별 없는 글로벌 인재로 성장시키고자 한다.문의: 시 청소년정책과 032-440-2842여성 1인 가구·점포, 안심 서비스 제공여성 대상 범죄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안심 서비스를 제공한다. 여성 1인 가구에는 현관문 보조키,
2023-01-09 2023년 1월호 -
시민이 행복한 세계 초일류도시로의 도약2023-01-09 2023년 1월호
-
시정 뉴스 - 수소 대중교통 체계 진입 본격화
수소 대중교통 체계 진입 본격화우리 시는 전국 최초로 수소 대중교통 체계 진입을 본격화할 계획이다. 100% 저상버스로 교통약자의 불편을 해소하는 수소 버스 119대를 포함해 승용차, 화물차, 청소차 등 총 2,127대의 수소 자동차를 보급한다. 또 수소 자동차 보급에 걸림돌이었던 수소 충전소도 14개소로 확대한다. 수소 충전소는 현재 6개소가 운영 중이며, 올해 8개소가 완공됨에 따라 총 14개소가 되어 수소 시대로의 전환을 가속화할 방침이다.시 에너지정책과 032-440-4302인천유나이티드FC 축구센터 개관인천유나이티드FC 축구센터가 개관했다. 연수구 선학동에 위치한 인천유나이티드FC 축구센터는 연면적 3,332㎡에 지상 3층 규모로 2019년 착공해 2년 만에 준공했다. 프로 선수와 유소년 선수의 숙소, 감독실, 코치실, 치료실, 체력단련실 등을 갖춘 클럽하우스 1개동과 훈련구장 2면을 갖췄다. 그동안 프로 축구 1부 리그 구단 중 클럽하우스가 없던 인천유나이티드FC는 창단 19년 만에 오랜 염원을 이루게 됐다.시 체육진흥과 032-440-4072인천청년벤처스타트업협회(ISA) 출범청년 창업자의 커뮤니티 플랫폼인 인천청년벤처스타트업협회(ISA. Incheon Startup Association)가 12월 26일 정식 출범했다. 우리 시에서 활동 중인 예비 및 기창업 청년들로 구성된 최초의 기구로 우리 시와 글로벌 액셀러레이터 재단법인 넥스트챌린지아시아가 협업해 체계적인 액셀러레이팅, IR 데모데이 및 투자, 컨퍼런스 참여, 전문가 멘토링 등 다양한 지원을 할 예정이다.시 산업진흥과 032-440-4922투명 페트병, 환경미화원 안전 조끼로 재탄생단독주택 및 상가 지역에서 올바르게 분리 배출된 투명 페트병 1만 800개가 환경미화원 안전 조끼 1,200매
2023-01-09 2023년 1월호
- 자료관리담당자
-
- 담당부서 콘텐츠기획관
- 문의처 032-440-8302
- 최종업데이트 2025-03-12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