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
-
바다 도시 인천 : 제6회 인천국제해양포럼
“해양에서 미래를 묻다”제6회 인천국제해양포럼격변하는 세계 경제 속, 해양산업은 다시금 전환의 물결을 맞고 있다. 더 이상 단순한 교역의 통로에 머무르지 않는 바다는 산업의 경계를 넘어 새로운 역할을 요구받고 있다. 다가올 미래를 준비하는 다층적인 논의의 장인 ‘제6회 인천국제해양포럼’이 7월, 송도국제도시에서 열렸다.사진. 시 공보담당관실해양 중심의 문명 전환해양산업의 전환점을 모색하는 ‘인천국제해양포럼’이 올해로 6회째를 맞았다. 7월 3일부터 4일까지 이틀간 송도컨벤시아에서 열린 이번 포럼은 국내외 해양 전문가와 산업 관계자, 시민이 함께 참여해 해양산업의 지속가능한 발전 방향을 모색하고 소통하는 장으로 마련됐다.올해 ‘인천국제해양포럼’의 주제는 ‘격동하는 세계 경제, 다시 도약하는 해양산업’으로 인천항만공사는 다양한 산업계 이슈를 반영한 주제별 세션과 부대 프로그램을 통해 관람객에게 더욱 가까이에서 소통할 기회를 제공했다. 기조연설자로는 세계적 경제·사회 석학인 제러미 리프킨이 참여했다. 『플래닛 아쿠아』의 저자이자 워싱턴 경제동향연구재단(FOET) 이사장인 그는 플래닛 아쿠아를 통해 지구를 ‘물의 행성’으로 규정하고 해양 생태계 회복과 물 순환 시스템의 회복 없이는 인류의 생존도 지속될 수 없다고 주장해 왔다. 이에 이번 포럼에서 바다의 전략적 가치를 설명하면서 국제사회가 나아가야 할 실천 방향을 제시했다. 이 외에도 국내외 석학과 산업계 전문가들이 한자리에 모여 해양산업의 전환 전략을 다각도로 논의했다.해양의 확장된 가치를 논하다올해 ‘인천국제해양포럼’은 해양산업의 다양한 지형을 입체적으로 살
2025-07-15 2025년 7월호 -
길 위의 인문학 : 기후 위기
더 이상 기후변화 아닌 기후 위기이며 비상 행동이 필요하다글. 김성배 문화비평가GCF(Green Climate Fund, 녹색기후금융)가 소재한 송도G타워 1층 로비에 있는 「기후변화를 걱정하는 인간의 고뇌」상이다. (박승모, 로뎅의 ’생각하는 사람‘, 알리늄와이어, 화이버글라스, 2013) (사진 : 심현우 작가)4년 33일 09시 45분! 2025년 6월 19일 15시 14분(사진 촬영 기준). 현재 전 지구의 평균 온도가 산업화 이전(1850~1900년)과 비교해 1.5℃ 상승까지 우리에게 남아 있는 시간이다. 그런데 유엔 산하 세계기상기구(WMO)가 지난 3월 2024년 지구 평균 온도가 1.55℃(±0.13℃ 오차) 상승했다고 발표했다. 그렇다면 기후위기시계가 알려준 남은 시간과 지난해 기록을 어떻게 해석해야 할까. 안토니우 구테흐스 UN 사무총장은 1.55℃ 상승에 대해 1.5℃ 이하로 제한하는 게 아직 가능하다고 했다. 이는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 협의체(IPCC)가 2021년 발간한 『6차 평가보고서(AR6)』에서 지구 기온 상승 폭을 ‘20년 평균으로 한다’라는 정의에 따른 해석으로 보인다. 국제사회는 2015년 제21차 유엔 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 21, 파리)에서 지구의 평균 기온 상승 폭을 1.5℃ 이하로 억제하기로 했다. 지금까지 세계 곳곳에서 맞닥뜨리고 있는 극한기후로 인한 ‘○○○년만의 폭염, 폭우, 폭설, 산불, 가뭄 등’은 지난해 기록을 제외하면 모두 지구 평균 기온이 1.5℃ 이하의 상승에서 일어난 일이다. 그러니 우리가 이미 겪은 극한의 기상 이변은 인류가 아주 가까운 미래에 겪어야 할 기후 재앙의 예고편에 불과하다.당연히 국제사회의 인식변화와 그에 상응하는 구속력 있는 대응이 필요하지만 지금까지 보아온 바로는 비관적인 게 사실이다. 또
2025-07-11 2025년 7월호
- 자료관리담당자
-
- 담당부서 콘텐츠기획관
- 문의처 032-440-8302
- 최종업데이트 2025-03-12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