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사회이야기

특수학급, 사라진다.

작성자
이다영
작성일
2022-03-09

출처: https://blog.naver.com/thevom/222615387224

 

한영고 정상절차 협의 요구 뒤엔 특수학급 반대

전국 특수학급 설치한 사립학교는 2.47%

분통 터진 장애인 부모들 집 앞 학교도 못 가

농어촌, 장애학생 1명 있는 특수학급 폐지 분위기

통합교육? 언제나 제자리. 청와대,교육부 나서 달라!

 

한영고 교사 비장애학생 중증장애 이해 부족, 부모도 반발특수학급 설치 반대

한영고가 서울시교육청에 제출한 의견서에 따르면 특수학급 설치에 대해 사전 학교 법인이나 구성원들의 의견수렴도 없었고, 시설 문제나 중증장애 학생에 대한 교사와 학생들의 이해부족 등 준비과정 없이 선정됐다고 반대 이유를 들었다.

 

누구나 통합교육을 말하지만, 현실은 동떨어져 있다. 통합교육을 지향하면서도 특수학교 건립과 특수학급 설치 요구가 높은 이유는 장애학생에 대한 우리 사회의 배제적 환경 탓이 크다. 지역사회 주민들이 특수학교 설립을 반대하고, 교육기관마저 장애학생을 배제하는 분위기는 이미 오래다.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 제 172

특수교육대상자를 배치할 때는 그 대상자의 장애정도.능력.보호자의 의견을 종합 거주지에서 가장 가까운 곳에 배치해야 한다고 규정돼 있다.

 

교육부의 2021 특수교육통계에 따르면 전국의 특수교육 대상은  98147명,  이 중 72.2%7864명이 일반학교 [일반학급 16592명 특수학급 54272]를 다니고 있다. 나머지는 특수교육지원센터나 특수학교를 이용한다.

유치원 포함 전국의 특수학급을 설치한 학교는 전국의 872997% 이상이 국공립학교에 편중됐다. 서울 시내 고등학교는 모두 95곳에 설치됐다. 이중 사립학교는 11[11.6%]에 불과하다. 또 단계별 진학을 살펴보면 특수학급 설치 비율은 고등학교로 갈수록 줄어든다.

 

심지어 특수학급이 폐지되는 일도 있다. 강원도교육청은 고성의 한 중학교 특수학급에 입학할 장애학생이 1명이라는 이유로 폐지를 결정했다.

강원도교육청은 그 이유로 1인 특수학급이 40개지만 도심 소재 특수학교나 특수학급은 47곳이 과밀학급으로 운영돼 교원 정원이 늘어나지 않는 한 1인 이하 특수학급 폐지가 불가피하다고 밝혔다.

 

특수학급이 없어진다면, 남은 장애인학생들은 어디로 가서 교육을 받아야 하나? 특수학급은 사라지면 안된다. 교육통합을 하려면 장애인과 비장애인 함께 더불어 가야한다장애인 학생들이 마음 편히 공부할 수 있는 사회를 꿈꾼다.

공공누리
OPEN 공공누리 출처표시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이 게시물은 "공공누리"의 자유이용허락 표시제도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자료관리담당자
  • 담당부서 청소년정책과
  • 문의처 032-440-2923
  • 최종업데이트 2023-08-23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