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석에는 많은 양의 음식을 조리하는 과정에서 음식을 조리하던 어른들과 주변에 있던 아이들이 화상을 입는 경우가 흔하다. 실제로 작년 추석 연휴 응급의료센터 방문자를 분석해보니 화상을 입은 환자가 평소보다 많았다.
보건복지부가 지난 28일 발표한 '2019년 추석연휴 응급의료센터 내원 환자 분석'을 보면 추석 당일과 다음날 응급실을 찾는 사람이 가장 많았다. 평일과 비교하면 2배가 넘는 수였다.
특히 응급실을 찾는 이유 중 음식 조리 과정에서 화상을 입은 경우는 평소보다 3배 이상 늘었다.
화상의 원인은 탕국물, 뜨거운 물, 커피 등의 열탕 화상이 많았고, 전기 그릴, 뜨거운 음식, 프라이팬, 냄비 등에 피부가 닿아 발생하는 접촉 화상도 적지 않았다. 주부들의 경우 전 요리를 하다 기름이 피부에 튀어 화상을 입는 사례가 많이 보고됐는데, 기름은 피부 표면에 달라붙어 잘 제거되지 않고, 화기가 깊이 전달돼 피부의 진피 층까지 손상될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
만약 화상을 입었다면 차가운 물로 재빨리 환부를 식혀야 한다. 상처가 번지는 것을 막기 위해서 최소한 20분 이상은 식혀야 한다. 이 과정은 화상으로 인한 통증을 줄일 뿐만 아니라 세포 손상을 줄이고 부종과 염증 반응을 낮출 수 있다. 단, 수압이 너무 세면 화상 부위 피부가 손상될 수 있다.
만약 옷을 입은 상태로 화상을 당했다면 옷을 벗으려 하지 말고 그 상태로 찬물을 끼얹는다. 화상 정도를 모르는 상황에서 무리하게 옷을 벗으려 하다가는 피부까지 벗겨질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찬 물로 환부를 식혔는데도 붉은 기가 가라앉지 않는다면 음식 포장용 랩으로 환부를 가볍게 감싼 뒤 병원에 가야 한다. 또한 화상으로 수포가 생겼을 시 세균 감염이 될 수 있으므로 함부로 수포를 터뜨리거나 벗기면 안된다.
한편, 화상 부위에 소주나 얼음, 된장 등을 바르는 민간 요법은 삼가야 한다. 특히 얼음을 사용하면 혈관이 수축돼 피가 잘 순환하지 못하게 되고, 결국 회복을 더 더디게 할 수 있다. 된장 등의 음식물 역시 화상 부위를 감염시켜 치료를 더디게 할 뿐만 아니라 더 많은 흉터를 남길 수 있으므로 자가 치료 등으로 화상 상처를 악화시키지 말고 빨리 병원을 찾는 것이 좋다.
출처
코메디닷컴-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hm&sid1=103&oid=296&aid=0000046635
20기 박은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