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하루 '이것' 어떠신가요?
'이것'은 무엇일까?
1. 전교 1등의 학생들이 중간 성적의 학생들보다 평균 2.5배 이상 자주 한다는 '이것'
2. 오바마 미국 대통령이 백악관에 입성하면 가장 먼저 하고 싶다고 밝힌 '이것'
3. 스타벅스의 전 CEO인 짐 도널스가 중요시한다는 '이것'
4. 만 3세 아이들이 무려 1,000단어나 배울 수 있는 '이것'
'이것'이 무엇인지 짐작이 가는가?
'이것'은 바로 가족 식사이다. 서로 바쁘게 살아가고 자신이 해야 할 일을 하고 바쁘게 살아가는 현대의 사회 속에서 우리는 가족들이 어떤 생각을 하면서 살아가고, 무슨 걱정을 안고 살아가는지 관심을 가지고 말을 하지 못할 때가 많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가족 식사는 가족끼리 서로 얘기도 나누고 식사도 하면서 가족 간의 끈끈한 정을 나눌 수 있는 자리이다.
가족 식사가 도움이 될 때는 '가족 식사 3단계'에 맞춰서 가족 식사를 했을 때이다. '가족 식사 3단계'란 '식사 전 차리기→식사하며 이야기 나누기→식사 후 정리하기'이다. 이 3단계를 통해 가족들은 서로 협동심도 기를 수 있으며, 가족 간의 대화를 통해 가족 사랑과 인성을 기를 수 있다.
가족 식사의 이점은 연구로도 밝혀졌다. 미국 컬럼비아 대학 연구진의 연구결과에 따르면, 가족 식사를 하는 학생들은 하지 않는 학생들에 비해 알코올 섭취 비율은 40%, 흡연 비율은 50% 낮았다고 밝혔다.
그렇다면 우리 주위에 청소년들은 가족 식사를 일주일에 며칠이나 할까? 필자가 주위의 청소년 5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한 결과, 37명의 청소년이 일주일에 4일 미만이라고 답하였다. 이렇게 대부분의 청소년이 가족식사를 많이 하지 않고 있다.
그렇다면 왜 요즘 청소년들은 가족식사를 하지 않을까? 가장 큰 이유로는 청소년들의 학원 같은 바쁜 일정 때문이라고 밝혔다. 청소년들이 학교가 끝나자마자 바로 학원으로 가는 등 바쁜 일정으로 인해서 집에서 가족과 밥 한 끼 먹기 어렵다고 한다. 그다음 이유로는 부모님 모두가 직장에 나가셔서 늦게 오시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맞벌이하시는 부모님이 일을 마치고 집에 돌아오시면 늦기 때문에 부모님과 같이 식사를 하기 힘들다고 말하였다.
기술이 발달하면서 스마트폰과 화상통화 등 여러 가지를 통해 멀리 있는 지인 가족들과 조금 가까워지기는 했지만, 가족 식사야 말로 지금 내 옆에 있는 가족들과 진정으로 가까워지는 방법이다. 오늘 가족들과 밥상에 마주앉아 밥 한끼 어떤가?
15기 이호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