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사회이야기

성남시 청년배당, 포퓰리즘인가? 복지의 발전인가?

작성자
이호진
작성일
2016-01-17
성남시 청년배당, 포퓰리즘인가? 복지의 발전인가?

성남시는 성남시에 3년 이상 주민 등록되어 있고, 실제로 거주하는 만 19세에서 24세 청년에게 1인당 분기별 25만원 이내의 배당금을 지원한다는 청년배당 정책을 발표했다. 1년에 약 100만원에 가까운 돈을 지원받는 것이다. 청년배당 정책의 핵심은 과연 이 정책이 포퓰리즘이냐, 아니냐는 것이다. 먼저, 포퓰리즘이란, 정책의 현실성이나 다양한 가치적 문제 등을 고려한 본래의 목적을 외면하고, 대중의 인기에만 매달리는 정치 행태를 일컫는다. 그렇다면, 과연 성남시의 청년배당은 포퓰리즘일까?

먼저, 포퓰리즘이라고 주장하는 측의 근거는 다음과 같다. 첫째로, 본래의 목적을 이루기 힘들다는 것이다. 청년배당의 목적은 능력 계발을 통한 청년 취업난 극복이다. 하지만 분기별 25만원, 한 달에 8만원 남짓한 돈으로 어떻게 계발을 해서 취업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지에 대해 의문점을 가지는 것이다. 이에 대해서, 대학생의 65%가 청년실업 해결의 근본적인 원인이 아니라는 이유로 이 정책에 대해 반대하기도 했다.

다음은, 정책의 한계 문제다. 이 정책을 반대하는 측의 입장은 성남시의 재정적 한계로 인해서 정책이 제대로 이루어지기 힘들다고 말한다. 청년배당은 한 개인에게 1년에 100만원 남짓한 돈을 쓰지만, 이것이 모이면 엄청난 돈이 된다. 약 600억 정도의 예산이 필요할 것으로 예상되는 상황이다. 이 돈을 과연 성남시가 감당할 수 있느냐는 것이다. 실제로, 성남시는 아직 약 1,000억 원의 부채가 존재하는 상황이다.

반대로, 성남시의 청년배당 정책을 찬성하는 측의 입장은 다음과 같다. 처음으로, ‘청년’이라는 세대에 대한 한 줄기 희망을 줄 수 있다는 것이다. 대한민국의 청년들은 가장 힘든 시기를 보내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청년실업, 무한경쟁, 3포 세대 등 다양한 문제에 치이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국가가 관심을 가지고, 희망의 끈을 쥐여 줄 정책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

다음은, 민주주의의 발전을 꾀할 수 있다고 말한다. 즉, 청년배당 정책의 실시가 우리나라 민주주의 발전에 자양분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 제도가 잘 정착되어서, 청년을 위해 지속될 경우, 정치형태의 발전을 불러일으킬 수 있다. 만약 반대로 정책이 실패한다면, 그것에 대한 보완점을 찾고, 대한민국의 청년을 위해서 새로운 정책을 연구하여 민주주의의 발전을 꾀할 수 있다는 것이다.

지금 21세기를 살아가는 대한민국의 청년세대는 대한민국을 두고, 자조적인 의미를 띠는 “헬조선”이라는 단어를 심심치 않게 사용한다. 팍팍하고, 힘든 삶 속에서 청년들의 마음을 대변할 수 있는 단어이기 때문이다. 현재 상황 속에서, 한 지방자치단체가 청년을 위한 정책을 편다는 것. 어떻게 보면 참 좋은 일 아닐까? 물론, 진정으로 청년을 위한다면, 청년 문제의 근본적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노력해보는 것이 병행된다면 좋지 않을까.

사진 출처:중부일보
16기 이호진 기자

공공누리
OPEN 공공누리 출처표시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이 게시물은 "공공누리"의 자유이용허락 표시제도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자료관리담당자
  • 담당부서 청소년정책과
  • 문의처 032-440-2923
  • 최종업데이트 2023-08-23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