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사회이야기

언어생활 속 성차별 (1)

작성자
김규리
작성일
2017-05-06
언어, 언어라는 것은 인간과 인간이 생활하는 영역에 있어서 많은 영향을 끼친다. 실제로 ‘언어’라는 것을 들여다보면 한 사람의 생각을 알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한 집단이 쓰는 언어의 경우 그 집단의 특징 또는 사상이나 문화 같은 것을 알 수 있다고 한다. 우리나라를 예로 들어보자면 이렇다. 한국인들은 명사의 경우 ‘사람’, ‘한국’ 등을 가장 많이 사용한다고 한다. 이를 통해 우리나라는 기본적으로 ‘사람’ 즉 인간을 중시한다는 것과 우리나라를 중요시 여기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여기서 한 발자국 더 나아가 본다면 언어를 통해 본 우리나라의 특징은 곧 우리나라 사상의 뿌리로 연결된다. 우리나라는 ‘홍익인간’ 사상을 바탕으로 건국되지 않았나. 이 ‘홍익인간’의 의미에는 ‘널리 인간세계를 이롭게 한다.’ 라는 뜻이 담겨있다. 즉, 인간을 중시한다는 말이다. 글쓴이가 이 사례를 통해 하고 싶은 말은, 우리가 내뱉는 말들은 단순한 의미만을 갖는 것이 아니라, 어떠한 깊은 생각이나 이념들을 담고 있다는 것이다. 하지만 우리는 말 한마디를 할 때마다 이런 것들에 대해서 일일이 생각하고 말을 하는 것은 아니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가 내뱉는 단어들이 잠재적인 어떤 의미를 담고 있을 수 있다. 그것이 부정적인 것이든, 긍정적인 것이든 말이다.

우리나라는 고려 말에 ‘성리학’ 즉, 유교를 받아들인 나라다. 그것이 받아들여짐과 동시에 나라 곳곳에서 가부장적인 모습을 볼 수 있었다. 그러한 풍습들이 전해지고 전해져서 내려온 형태가 지금의 우리 사회 모습이 아닐까 싶다. 많은 사람들이 그러한 남녀 차별적인 제도가 없어졌다고는 말하지만 아직 우리 사회에 있어서 양성평등이라는 것은 부족한 것이 사실이다. 실제로 우리는 회사라던가, 가정에서라던가, 의외로 일상생활에서 흔히 성차별적인 모습을 볼 수 있다.

그렇다면 글쓴이가 앞서 언급한 언어와 성차별의 상관관계는 무엇일까. 우리가 사용하는 단어에는 단순함 그 이상의 의미를 담고 있다고 했다. 그렇다, 우리는 우리가 아무렇지도 않게 쓰는 언어에서 성차별적인 의미들이 담겨있는 것을 발견할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보면, 이런 것들이 있다. ‘여의사, 여직원, 여교수’ 등 여성이 어떤 직업을 맡게 될 경우 ‘여’자를 붙이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위 단어에 남성을 뜻하는 ‘남’자를 반대로 적용시켜보면 ‘남의사, 남직원, 남교수’로 상당히 어색한 것을 알 수 있다. 우리가 저런 말들을 많이 쓰는데도 불구하고 그것이 차별적인 말들이라는 것을 깨닫는 경우는 사실 거의 없다고 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보자. 우리 moo독자 여러분들은 ‘여류문학’이라는 단어를 들어본 적이 있으신가? ‘여류문학’이라는 것은 네이버 두산 백과에 따르면 남녀의 성격차를 반영하여 섬세한 감정, 풍부한 정서, 미묘한 심리의 표출이 볼만하다고 한다. 즉 여류문학은 대체로 감성적인 시나, 소설, 수필 등 문학작품을 의미하는 것이다. 여기서도 은근한 성차별을 목격할 수 있다. 왜 섬세하거나 감성적인 작품들에는 ‘여류’라는 부가적인 의미가 들어가는 것인가? 이는 여성의 고정적인 이미지를 나타내는 것이다. 남성도 충분히 꼼꼼하고, 감성적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여성들도 강인하고, 굳센 이미지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여류문학이라는 것은 또 다른 의미도 내포하고 있다. 기존 문학세계는 남성작가들이 많았다. 그렇기 때문에 여성작가들이 뛰어드는 것을 특별히 여겨 이들을 구분하기 위해 ‘여류’라는 단어를 사용한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여류문학 • 여류작가에 반대되는 ‘남류문학 • 남류작가’라는 단어는 존재하지 않는다. 이 시점에서 독자 여러분들은 이 기사를 읽고 무엇을 느끼시는지 궁금하다.
이 기사는 2편으로 이어지니, 한 번 깊게 고민해보고 다음 편을 보러 와주시면 어떨까 한다.
공공누리
OPEN 공공누리 출처표시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이 게시물은 "공공누리"의 자유이용허락 표시제도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자료관리담당자
  • 담당부서 청소년정책과
  • 문의처 032-440-2922
  • 최종업데이트 2025-03-12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