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정부가 주요 7개국(G7)을 확대해 한국을 포함시키자는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의 구상에 반대 의사를 표명했다고 교도통신이 복수의 미, 일 외교 관계자의 발언을 근거로 28일 보도하였다.
교도통신은 "한국 정부는 G7 참여를 환영하고 있어 반발이 예상된다"며 역사 문제 등으로 갈등을 빚고 있는 한일 관계가 더 악화될 것으로 전망했다.
보도에 따르면 일본 정부는 트럼프 대통령이 "G7은 낡은 체제"라며 한국 등을 초대해 G7을 확대하자는 구상을 밝혀 이 사안이 주목받게 된 이후 한국의 참가를 반대한다는 의사를 미국 정부에 전달하였다.
미국은 2020년 G7 의장국으로, 트럼프 대통령은 이번달 개최 예정이던 G7 정상회의를 9월달 무렵으로 연기할 생각이며 한국과 러시아, 호주, 인도 등을 새롭게 참여시키고 싶다는 뜻을 밝힌 바 있다. G7 정상회의에는 미국, 영국, 프랑스, 독일, 캐나다, 이탈리아, 일본이 참여한다.
일본 정부는 중국이나 북한을 대하는 한국의 태도가 G7 국가들과는 다르다며 기존 G7의 틀을 계속 유지해야 한다는 의사를 미국 정부에 밝혔다. 일본 정부는 문재인 정부가 남북 화홰를 우선시하며 친중국 성향을 보인다고 문제 삼았으며, 이는 미국이 중국과 대립하고 있는 상황을 염두에 둔 것이라고 교도통신은 전했다.
일본 측 입장 전달에 미국 측은 "트럼프 대통령이 최종 판단을 할 것"이라고 전했다.
모테기 도시미쓰 일본 외무상도 이날 NHK에 출연해 "G7의 틀 그 자체를 유지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이것이 전체의 콘센선스(합의)가 아닐까 생각한다."라고 했다. 트럼프 대통령의 G7 확대 구상에 부정적인 입장을 밝힌 것이다.
그동안 일본 정부는 트럼프 대통령의 G7 확대 구상에 공식적인 반대 의사를 표명하지는 않았다. 스가 요시히데 일본 관방장관은 지난 1일 브리핑에서 "올해 G7 정상회의 일정과 개최 형태에 대해서는 의장국인 미국이 현재 검토중인 것으로 알고 있다"라고만 했다.
일본이 한국의 참가에 반대한 것에는 아시아 유일의 G7 국가라는 외교적 우위를 유지하고 싶은 아베 신조 총리의 의향이 영향을 미친 것 같다고 교도통신은 분석했다. 한국이 국제무대에서 역사 문제를 제기할 것도 경계한 것으로 보인다.
다만 일본 정부는 G7 의장국이 G7 회원국 외의 국가를 초대하는 이른바 '아웃리치' 형태로 한국을 일시 참석시키는 것에 대해서는 반대하지 않는다고 산케이신문이 외무성 고위 관료의 말을 인용하여 지난 1일 보도했다. 일본 외무성 안팎에서는 G7을 확대하는 것 자체가 비현실적이며, 트럼프 대통령이 4개국을 언급한 것은 중국에 대항하기 위한 국제 협력을 강조하기 위해서라는 해석이 나오고 있다.
출처
경향신문-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hm&sid1=100&oid=032&aid=0003017440
20기 박은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