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문화이야기

보이지 않는 곳, 하지만 보여야만 하는 곳-‘밀레니얼 칠드런’

작성자
주가은
작성일
2017-09-10
밀레니얼 칠드런. 영어로 되어 있는 제목 탓에 이 책을 읽고 나서도 밀레니얼이 도대체 무슨 의미를 띄고 있는 것일까 싶었다. 솔직하게 이야기하면 이 기사를 쓰고 있는 지금도 이 제목이 왜 붙었는지 그 의미는 잘 모르겠다. 그러나 한 가지, 이 책에 대해 가장 자신있게 말할 수 있는 것이 있다. 바로, 이 책은 현재의 우리를 다루고 있다는 것이다.

이 책을 읽어본 사람이라면, ‘이 스토리가 어딜 봐서 현재지? 이 책 앞부분에서부터 인류는 진보를 이룩했다고 나오는데? 미래의 얘기를 다루고 있는 것 아닐까?’하고 생각할 것이다. 물론 맞는 말이다. 배경 자체는 미래이다. 그러나 작가가 풍자하고 싶은 대상은 우리인 것이다. 이 책은, 저출산과 고령화로 인한 문제에서 야기된 결과로부터 시작된다. 인간이 점점 많아지자 나라는 자식을 못 낳게 했고, 자식을 낳아 기르고 싶으면 엄청난 세금을 내야한다는 것. 자식세를 내지 않고 몰래 기르다 적발되면, 그 부모는 감옥으로 끌려가고 그 자식은 수용소와 같은 학교로 끌려간다. 이 책의 주인공인 문도새벽은 부모님이 갑작스러운 교통사고로 돌아가시는 바람에 학교로 가게 된다. 그 학교라는 곳에 있는 아이들은 모두 부모가 몰래 기르다 적발되어 왔거나 처음부터 그곳에 살았던 아이들이었다. 문도새벽처럼 오게 된 경우는 매우 드문 경우였던 것이다. 자식세를 내면서 자식을 기를만큼 경제적 여유를 갖추고 있던 부모님이 계셨기에 이 ‘학교’라는 것을 경험할 길이 없었던 문도새벽은 첫날부터 공포에 사로잡히게 된다. 선생님이 강요하는 부당한 요구, 성적으로 차별하는 학교의 모습 등... 이 책은 ‘문도새벽’ 뿐만 아니라 모든 사람이 역겨움을 느낄 만큼 이 세상에 있는 모든 차별과 편견의 종합체를 보여주는 듯하다. 같은 입장에 처해 있음에도 편을 갈라 싸우는 아이들의 모습. 인간 본성의 최악을 보여준다. 하지만 그 속에서도 우리는 희망을 발견할 수 있다. 하나 둘씩 부당한 사회 시스템에 맞서 싸우기 시작하는 모습에서, 열린 결말로 끝나 끝을 정확히 알 수는 없지만 아마도 그들의 미래는 희망적일 것이라는 대부분 사람들의 생각에서 말이다.

우리 사회가 이 책에서 묘사하고 있는 ‘학교’라는 곳과 무엇이 다른가? 차별, 편견 이 세상에 퍼져있는 것들을 이 책은 학교라는 좁은 장소에 모아놓았을 뿐이다. 학교의 모습을 보며 우리나라 학교를 비판하고 있다고 생각할 수도 있다. 또한 맞는 말이나 넓게 생각하자. 작가는 현재를 살아가며 곧 닥쳐올 미래의 모습을 상상해 그걸 토대로 현재를 비판하고자 하는 것이다. 현재와 미래. 이 두 가지는 광활한 시간의 차이를 두고 있다. 그러나 또한 광활한 시간의 공통점을 지니고 있다. 그러므로 현재가 바뀌면 미래가 바뀌어간다.

명심하자. 현재가 바뀌면, 미래가 바뀌어간다. 내가 행동하면, 달라진다.

17기 주가은 기자
공공누리
OPEN 공공누리 출처표시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이 게시물은 "공공누리"의 자유이용허락 표시제도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자료관리담당자
  • 담당부서 청소년정책과
  • 문의처 032-440-2922
  • 최종업데이트 2025-03-12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