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일은 몇시까지이며,혹 토요일도하는지 궁금합니다.MARGIN: 0pt; COLOR: #000000; TEXT-INDENT: 0pt; LINE-HEIGHT: 160%; FONT-FAMILY: '돋움'; TEXT-ALIGN: justify">
취업난이 심화되면서 공기업에 대한 구직자들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고 합니다. 특히, 고용불안이 심각해지면서 고용안정성도 구직자의 중요한 기업선택요소가 되어가고 있습니다. 이 때문에 일반기업에 비해 안정성이 높은 공기업에 대한 경쟁률이 상당히 높다고 합니다. 오늘은 공기업의 취업을 위한 준비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공기업 경쟁률이 상당하다죠?
네 그렇습니다. 취업난이 심화되면서 경쟁률이 계속 치솟고 있는데요. 특히 고용안정이 보장되는 공기업의 경우는 특히 경쟁률이 훨씬 더 높습니다. 작년 10월 공개채용을 실시한 한국가스안전공사는 253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고, 한국관광공사 159대1, 예금보험공사 184대 1의 경쟁률을 보였습니다. 특히 한국전기안전공사 5명을 뽑는 사무직에 5102명이 지원해 1020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습니다.
2. 경쟁률이 1000대 1 이라니 어마어마하군요. 이렇게 공기업 경쟁률이 높아지고 있는 이유는 무엇입니까?
근본적인 이유는 심각한 취업난입니다. 게다가 최근 공기업 공채 전형시 학력과 연령제한 조건을 철폐한 것이 주된 요인인데요. 대학2,3년생부터 석박사학위를 가진 고학력자들의 대거 몰렸기 때문입니다. 또한, 오륙도, 삼팔선 등 고용불안이 야기되면서 안정성이 상당히 부각되어, 공기업 선호 현상이 갈수록 뚜렷해지고 있습니다.
3. 공기업이라면 일반기업과 입사전형이 많이 다른가요?
아니요, 그렇지 않습니다. 입사전형은 서로 유사한데요. 보통 1차 서류전형, 2차 필기시험, 3차 인적성 검사, 4차 면접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4. 여러 단계가 있는데 어디에 중점을 두어야 하나요?
보통 4차 관문을 통과하는 과정을 거치다 보니 모든 단계가 중요합니다. 일단 1차 서류전형에 통과해야 할 텐데요. 서류에서는 어학능력과 학점이 중요합니다. 영어 이외에 일본어, 중국어 등 제 2외국어 능력이 있으면 도움이 됩니다. 영어는 대부분 토익 점수 700점 이상으로 자격제한을 두고 있습니다. 그러나, 워낙 공기업 지원자들의 수준이 높기 때문에 합격을 위한 점수는 제한수준보다 상당히 높은데요. 한 공기업 인사담당자에 따르면 사무직 서류전형 합격자는 토익 점수가 보통 900점 대라고 합니다.
5. 어학점수가 중요하군요. 어학점수에 자신이 없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어학점수에 자신이 없다면 특정분야의 자격증을 보완하는 것도 좋습니다. 대부분의 공기업들은 각 직무 별로 가산점을 부여 받을 수 있는 자격증을 정해놓고 있으며, 자격증 별로 가산점을 달리하고 있습니다. 일부 공기업에서는 관련 자격증 소지를 지원자격요건을 정해놓고 있는 경우도 있습니다.
또한, 공모전 참가경험을 쌓는 것도 도움되는데요. 공모전은 일반기업에 원서 넣을 때도 도움되므로 취업희망분야와 관련한 공모전에 참여하는 것도 좋습니다. 대한주택공사는 광고공모전, 주택설계 공모전 등 운영하고 있습니다.
6. 영어점수와 자격증 이외의 상식, 전공 등 필기시험은 어떻게 준비해야 하나요.
상식은 시중에서 구할 수 있는 상식책 외에 신문, 잡지 등의 매체를 이용해 최근의 사회, 경제 동향을 파악하고 있어야 합니다.
전공분야는 지원 분야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과 능력을 평가하기 위한 전형이기 때문에, 전공과 지원분야에 대한 보다 심층적인 대비가 필요합니다.
이 외에도 희망하는 기업과 직무가 어떤 필기전형을 실시하는 지에 대한 정보를 파악해서 상식 및 전공분야와 함께 준비를 해놓아야 할 것입니다
7. 면접은 어떻게 준비해야 하나요?
면접의 비중이 강화되고 있는데요. 개별면접 외에도 집단토론면접, 프레젠테이션 면접, 영어면접, 블라인드 면접 등 다양하게 진행됩니다.
기본적으로 웹사이트, 사보, 신문기사를 통해 지원 공기업에 대한 정보와 주요현안에 대해 파악해야 합니다. 온라인 취업카페를 통해 입사선배나 다른 취업 준비생이 올려놓은 면접 정보 등도 도움이 됩니다.
8. 공기업 채용에 대한 정보는 어디서 얻어야 하나요?
공기업은 정부나 지방자치단체에서 출자, 투자, 출연한 기업을 총징 하는데요. 국내에 모두 314개가 있습니다. 그렇다고 모든 공기업에 지원할 수는 없습니다. 공채를 할 때 공기업들이 같은 날 동시에 시험을 치르는 경우가 많기 때문인데요. 지난 해 채용공고 일정과 전형과정 살펴보고 자신의 적성과 가능성을 따져본 뒤 몇 명 공기업을 집중 공략하는 것이 좋습니다. 공공기관에 대한 정보는 인터넷 홈페이지 정부 기획예산처 (www.mpb.go.kr)에 가면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