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별 접수현황
사업접수
- 사업분야
- 보건복지
- 제안진행단계
- 사업검토
- 담당부서
- 청년정책담당관
- 사업비(백만원)
- 사업기간
- 사업위치
- 사업명
- (서구-28) 인천형 청년친화도시 지정 및 지원 사업
- 제안배경 및 제안내용
-
○ 필요성
인천시의 각 기초자치단체별 청년 예산의 삭감과 적은 예산의 배정으로 지역별로 청년 세대 성장 동력의 감소와 같은 수도권인 서울시와 경기권으로의 청년 인구 유출의 가능성이 상존하는 상태에서, ‘광역자치단체’ 차원에서 각 기초자치단체에 대한 ‘청년 예산’ 지원이 필요하다고 여겨짐.
○ 사업내용
- 각 지역구별로 청년예산을 훑어보면 23년도 예산 대비 24년도에 증감 차이가 있음.
(강화군, 옹진군, 중구, 동구, 연수구, 부평구는 증가한 반면, 미추홀구, 남동구, 계양구 서구는 감소함. 특히 계양구와 서구는 약 50~60%의 예산이 삭감되어 청년 관련 예산이 현저하게 줄어든 상태임. 그리고 미추홀구의 경우 약 4천만원 수준으로 매우 적은 청년 예산이 배정되어 있음.)
- 적은 청년 예산의 배정과 삭감은 미래 주역으로서의 청년 세대의 성장 동력을 감소(청년 자립 능력 감소, 청년 공동체 및 네트워킹 감소로 사회적 단절 발생, 청년 삶의 질 감소 등)시킬 수 있으며, 같은 수도권인 서울과 경기권으로의 청년 인구 유출로 인천시의 미래 동력 또한 축소시키는 계기가 될 것임.
- 실제 경상남도에서는 수년전부터 광역자치단체차원에서 ‘기초자치단체’를 대상으로 ‘청년친화도시’를 지정하여 청년예산을 지원하는 사업을 수행하고 있으며, 이로 말미암아 지역별 특성에 맞는 청년 사업의 수행으로 청년 세대의 성장과 청년인구의 유출을 예방하고 있음.
- 이에 광역자치단체인 ‘인천광역시’ 또한 경상남도의 사례처럼 기초자치단체의 청년 지원의 한 방안으로서 ‘인천형 청년친화도시’ 지정 및 그에 따른 지원을 제안드림.
○ 기대효과
기초자치단체별 청년 사업이 활성화 되어 지역 내 청년 세대의 성장을 꾀할 수 있으며(청년네트워크 활성화, 청년 자립 능력 강화 등), 서울시와 경기권으로의 청년 인구 유출을 예방할 수 있음.
- 첨부파일
부서검토
-
제안명 제안자명 추정사업비 제안내용 통합된 사업이 없습니다. - 담당자
- 검토의견
- 인천연구원컨설팅의견
- 자료관리담당자
-
- 담당부서 예산담당관
- 문의처 032-440-2243
- 최종업데이트 2025-03-12
전체 댓글 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