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朝鲜时代的代表性烹饪古书《饮食知味方》(1670)《闺合丛书》(1809)还有《东国岁时记》(1849)记载了山楂片的薄切制作方法。山楂是蔷薇科落叶乔木,晚秋时分把熟透的果实摘下来晒干,再加入白糖或蜂蜜熬煮、凝固,就可以得到书中记载的山楂片了。这里的“片”,指的是口感与今天的果冻或者凉粉类似的一种传统点心。
山楂片不仅酸甜可口,还兼有助消化、改善血液循环之效,自古以来就是婚宴等宴席桌上的常客,主要作为饭后解腻的点心登场。朝鲜时代的士大夫家族用山楂片招待府上贵客,冬季还用它来制作零食或药用辅膳。《闺合丛书》记载,“煮山楂取汁后,去渣复熬成膏,色润而味爽”,可见当时人们制作茶点的技术已经相当成熟。
二十世纪以后,山楂片便在韩国鲜少出现,而在中国,“山楂”加工品仍然是普及度非常高的大众健康零食。无论是在大型超市,还是在传统市场,都随处可见“山楂饼”、“山楂糖”等不同形态的山楂美食,男女老少至今视它为优质的传统助消化小食。
조선의 대표적인 고조리서인 《음식디미방(飮食知味方, 1670)》, 《규합총서(閨閤叢書, 1809)》, 《동국세시기(東國歲時記, 1849)》에는 ‘산사(山楂)’ 열매, 즉 아가위를 얇게 썰어 만든 ‘산사편(山楂片)’의 조리법이 전해진다. 산사는 장미과에 속하는 낙엽관목으로, 늦가을 붉게 익은 열매를 말린 뒤 설탕이나 꿀과 함께 졸여 굳히면 산사편이 된다. 여기서 ‘편(片)’은 오늘날 젤리나 묵과 비슷한 식감의 전통 과자를 의미한다.
산사편은 새콤달콤한 맛뿐 아니라 소화를 돕고 혈액순환을 개선하는 효능이 있어, 예로부터 연회나 잔치상에서, 특히 기름진 음식을 먹은 뒤 후식으로 자주 올랐다. 조선 시대 사대부가에서는 산사편을 귀한 손님 접대용으로 준비했으며, 동절기 간식이나 약용 보조식품으로도 활용했다. 《규합총서》에는 “아가위를 고아 즙을 내고, 찌꺼기는 버린 뒤 다시 고아 굳히면 빛이 곱고 맛이 상쾌하다”고 기록되어 있어, 당시 이미 세련된 과자 제조 기술이 발달했음을 보여준다.
하지만 20세기 이후 한국에서는 산사편이 거의 자취를 감추었다. 반면 중국에서는 ‘산자(山楂)’ 가공품이 여전히 대중적인 건강 간식으로 자리 잡고 있다. ‘산자빙(山楂餅)’, ‘산자탕(山楂糖)’ 등은 현대에도 대형 마트와 재래시장에서 쉽게 구할 수 있으며, 남녀노소에게 사랑받는 소화제 겸 전통 간식이다.
此外,还有一种以山楂为原料的零食——糖葫芦。据记载,糖葫芦原是约800年前宋朝时期在北京、天津等华北地区民间流传的冬季街头小吃。传统的糖葫芦咬一口下去,便能够同时感受到酥脆的糖衣和酸甜的山楂香从口中溢出来,甜味中和酸味,对消化系统也非常友好。近年来糖葫芦家族还壮大了不少,以草莓、葡萄、猕猴桃、菠萝等多种水果制作的糖葫芦纷纷走入了大众的视野。
进入二十一世纪后,结合缤纷色彩与酥脆声响(ASMR)的糖葫芦视频内容以韩国社交平台为中心迅速风靡,糖葫芦也由此晋升为同时提供视觉与听觉满足的潮流街头美食。也就是说,糖葫芦从简单的街头小吃摇身一变,成为了集“观赏乐趣”与“拍摄乐趣”于一身的文化符号。
Instagram、TikTok、YouTube Shorts等短视频平台上那些亮晶晶的糖衣与糖衣碎裂时发出的脆响结合的视频播放量骤增,进一步助推了糖葫芦的流行风潮。受此类以社交媒体为中心的"病毒式营销"效应影响,自本世纪20年代初开始糖葫芦专营店如雨后春笋般在全国各地涌现,发展到今天,其市场规模已经庞大到单是连锁门店就超过400家的程度。
한편, 산사 열매로 만든 또 하나의 간식이 있다. 바로 탕후루다. 기록에 따르면 탕후루는 약 800년 전 송나라 시기, 북경과 천진 등 화북 지역 서민들 사이에서 즐기던 겨울철 길거리 간식으로 시작되었다. 전통적인 탕후루는 한 입 베어 물면 바삭한 설탕 껍질과 함께 산사의 새콤달콤한 맛이 동시에 퍼지며, 단맛이 신맛을 중화해 소화에도 좋다고 여겨졌다. 최근에는 딸기, 포도, 키위, 파인애플 등 다양한 과일을 활용한 탕후루도 등장하며 그 영역을 넓히고 있다.
21세기 들어 한국에서는 알록달록한 색감과 바삭한 사운드(ASMR)를 결합한 영상 콘텐츠가 SNS를 중심으로 폭발적인 인기를 끌면서, 탕후루는 시각적 즐거움과 청각적 만족을 동시에 주는 트렌디한 거리 음식으로 자리 잡는다. 단순한 길거리 간식을 넘어 ‘보는 재미’와 ‘찍는 재미’를 제공하는 문화 아이콘이 된 것이다.
특히 인스타그램, 틱톡, 유튜브 쇼츠 등 숏폼 플랫폼에서는 반짝이는 설탕 코팅과 바삭하게 부서지는 소리가 결합된 짧은 영상들이 대량으로 소비되며 유행 확산에 불을 지폈다. 이러한 SNS 중심의 ‘바이럴 마케팅’ 효과로, 2020년대 초반 이후 탕후루 전문점은 전국 각지에 우후죽순 생겨나 현재는 프랜차이즈 매장만 400곳이 넘는 거대한 시장으로 성장했다.
整个糖葫芦家族也随之迅速进化。早期品类主要以山楂、葡萄、草莓、猕猴桃、菠萝等传统水果串为主,但商家们为了满足消费者的猎奇心态,陆续推出了“黄瓜糖葫芦”“糖葫芦马卡龙”“糖葫芦拿铁”还有“糖葫芦嗨棒”等新奇组合,有些还进入了咖啡馆、甜品店甚至酒吧。
有趣的是,20世纪初的韩国街头也曾出现过抹蜜山楂串“Agawi Sanjeok”。“Agawi”就是山楂树的果实,“Sanjeok”指串,在此基础上抹上蜂蜜,即融化了的冰糖,便是20世纪20年代最美味的零食“山楂豆糖”。诗人卢天命在她的随笔《乡巴佬》中写到,“记得小时候在首尔买了一串5分钱的‘山楂豆糖’吃”,有篇贴吧文章也记录到“当时的糖最初就是'山楂豆糖'。山楂是山楂树的果实,味道酸甜。卖糕点的中国小贩用木棍挑着两个篮子,边走边喊'山楂豆糖嘞!’”
外科医生兼仁川乡土史研究学者慎兑范先生在其著作《仁川一世纪》中回忆道,"我至今记得那个清朝人高声吆喝'山楂豆糖嘞!’的模样。他把红色的山楂果和黄色的橘子瓣漂漂亮亮地交替串在大竹签上,然后把裹上糖稀的山楂豆糖和切成菱形的花生糖等等零食装在提篮里,像卖麦芽糖的小贩那样挎着篮子走街串巷地叫卖。"
메뉴 역시 빠르게 진화했다. 초기에는 아가위, 포도, 딸기, 키위, 파인애플 등 비교적 전통적인 과일꼬치가 주를 이루었으나, 소비자의 호기심과 새로운 경험을 추구하는 욕구에 맞춰 ‘오이 탕후루’, ‘탕후루 마카롱’, ‘탕후루 라떼’, ‘탕후루 하이볼’ 등 이색 조합이 카페·디저트 전문점, 심지어 주점까지 진출하게 되었다.
흥미로운 점은, 20세기 초 한국 거리에서도 꿀을 바른 아가위 산적이 있었다는 것이다. 아가위는 산사나무의 열매, 산적은 꼬치를 뜻하며, 여기에 꿀, 즉 녹인 빙탕(氷糖)을 바르면 1920년대 최고의 군것질거리였던 ‘아가위 콩사탕’이 완성된다. 시인 노천명의 수필 『시골뜨기』에는 “어린 시절 서울에서 한 꼬치에 5전 하는 ‘아가위 콩사탕’을 사 먹던 기억”이 생생하게 담겨 있다. 한 인터넷 카페 기록에는 “당시 사탕이라고는 처음에 ‘아가위 콩사탕’이 있었다. 아가위는 산사나무 열매였는데 맛이 새콤했다. 중국인 과자장수가 광주리 두 개를 나무 막대로 들고 다니며 ‘아가위 콩사탕!’이라고 외쳤다.”라고 전한다.
외과의사이자 인천 향토사 연구가인 신태범은 자신의 저서 『인천 한 세기』에서 “‘아가위 콩사탕’이라고 큰소리로 외치며 돌아다니던 청인 장사의 모습이 생각난다. 빨간 아가위 열매와 노란 귤 조각을 하나씩 꿰어 대꼬치에 예쁘게 배열하고, 엿옷을 입힌 것과 땅콩엿을 마름모꼴로 자른 것 등을 담은 등바구니를 팔에 걸고 엿장사처럼 사방을 누비며 팔았다.”라고 회상한다.
可见糖葫芦早在一个世纪前就已经出现在了韩国街头,俘获了很多人的喜爱,后面消失了一阵,到本世纪才借助社交媒体和现代美学的影响力重新回到韩国甜品文化中。
可以说这样的糖葫芦早已不再是普普通通的街头小吃了。它走过了朝鲜时代山楂片所象征的中韩饮食文化交流期,把20世纪20年代的山楂豆糖和21世纪“网红”零食串联起来,成了历史与文化长河中韩国甜品文化的标志性符号之一。
虽然在今天的韩国,我们只能通过古籍文献与记录一窥山楂片的发展脉络,但它仍是展现朝鲜时代中韩饮食文化交流与传统糕点制作工艺的珍贵文化遗产。糖葫芦在继承昔日山楂豆糖的同时,又吸收了现代审美与社交媒体文化,以短暂却足够强烈的体验为整个餐饮行业提供了新的营销模式与文化象征。
如今,糖葫芦以超越“零食”本身的历史与文化意义,成为了跨越世代连接韩国人饮食文化与感官幸福的桥梁。
즉, 탕후루는 한 세기 전 이미 한국 거리에서도 사랑받던 길거리 간식이었다. 이후 한동안 사라졌다가, 21세기 들어 SNS와 현대적 감각을 더해 다시 한국인의 디저트 문화 속으로 돌아온 것이다.
결국 탕후루는 단순한 길거리 간식을 넘어, 조선 시대 산사편을 통한 한·중 식문화 교류, 1920년대 아가위 콩사탕, 그리고 21세기 SNS 트렌디 간식까지 이어지는 긴 역사와 문화적 흐름 속에서 한국 디저트 문화의 상징적 아이콘으로 자리 잡게 된다.
오늘날 한국에서는 고문헌과 기록 속에서만 산사편의 명맥을 확인할 수 있지만, 이는 조선 시대 한·중 간 음식 교류와 전통 과자 제조법을 보여주는 귀중한 문화유산이며 탕후루는 과거의 아가위 콩사탕을 계승하면서도 현대적 감각과 SNS 문화를 결합해, 짧지만 강렬한 경험을 제공하며 식음료·외식 산업 전반에 새로운 마케팅 모델과 문화적 상징을 제시하고 있다.
이처럼 탕후루에 담긴 역사와 문화적 의미는 단순한 ‘간식’ 이상의 가치를 지니며, 세대를 넘어 한국인의 식문화와 감각적 즐거움을 이어주는 다리 역할을 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