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목길 TMI 화수·화평동
골목을 걷는 것은 동시대를 기억하는 가장 다정한 방식이다. 그 안에 우리네 삶의 오늘과 내일, 어제가 있다. ‘골목길 TMI’는 골목의 새로운 변화와 그 속에서도 변하지 않은 사람들의 살아가는 이야기다. 이번 호에는 인천의 서쪽 끝 마을, 화수·화평동花水·花平洞의 추억을 따라 걸었다. 부두와 공업단지 노동자들의 애환이 밴 오래된 골목엔 옛것을 애틋하게 지키고 근사하게 가꾸려 애쓰는 사람들이 살고 있었다.글 최은정 본지 편집위원│사진 유승현 포토 디렉터세숫대야 냉면’의 고향 ‘화평동 냉면 거리’.허기진 마음까지 채워주는 푸짐한 한 그릇은 예나 지금이나 한결같다.노동자를 위한 푸짐한 한 그릇동구에는 일찍이 일제가 설립한 공장이 즐비했다. 조선 기계 제작소, 정미소, 성냥 공장, 대규모 기숙사 등이 수두룩했다. 이는 광복 후 1990년대 초까지 한국기계공업, 일진전기, 두산중공업, 현대제철, 동일방직 등 굵직한 기업으로 이어졌다.화도고개와 화평운교, 화수부두를 중심으로 다양한 형태의 가옥과 상권이 자리하며 화수·화평동은 이들 공장을 위한 배후 주거 마을로 자리를 잡았다. 일자리를 찾아 흘러 들어온 이들이 함께 모여 살며 북적거렸고, 고된 생활에도 삶의 터전으로 삼았다.동인천역 인근 ‘화평동 냉면 거리’의 역사는 1970년대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가난하고 배고프던 시절, 먹성 좋은 노동자들은 사리를 추가로 요청하는 경우가 많았다. 철길 아래서 처음 냉면집을 시작한 ‘아저씨냉면’ 1대 사장 김용만(71) 씨가 아예 지름이 30cm에 가까운 큰 그릇을 개발해 푸짐하게 담아냈다. 화평동의 ‘세숫대야 냉면’은 그렇게 탄생했다.1990년대 초 인천역∼주안역의 경인전
2023-11-02
2023년 11월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