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
인천 지명-서구의 옛 이름 ‘서곶’
인천 지명
서구의 옛 이름 ‘서곶’

1988년 1월, 북구에서 서구가 떨어져 나와 새로운 구區로 독립했다. 서구라는 이름을 갖게 되기 전에는 흔히 ‘서곶’으로 불렸다. 서곶이란 ‘서쪽에 있는 곶’이라는 뜻이다. 이 일대의 행정 중심지였던 부평을 기준으로 했을 때 서쪽이기 때문이다. 지금의 서구도 인천시 전체로 볼 때는 북서쪽에 자리 잡고 있지만, 북서구가 아니라 서구라고 부른다. 이 역시 북구에서 떨어져 나온 구이고, 지금의 부평과 계양인 북구를 기준으로 보면 서쪽에 있기에 붙인 이름이다. 우리말 땅 이름에서 많이 볼 수 있는 ‘곶’은 ‘바다나 호수 등을 향해 뾰족하게 내민 땅’을 나타내는 말이다. 사전적인 의미로는 이렇지만 땅 이름에서는 물가뿐 아니라 육지 안에서 ‘산줄기가 길게 뻗어 내려온 곳’에도 종종 ‘곶’이라는 표현이 쓰인다. 한마디로 ‘길고 삐죽하게 내민 땅’을 곶이라고 한다. 한자로는 串이라 쓰며, 岬(갑)이라는 한자도 곶을 의미한다. 따라서 서곶을 다시 정리하면, 부평 중심지를 기준으로 봤을 때 서쪽으로 길게 뻗어나간 곶 동네라는 뜻이 된다. 지금은 청라국제도시를 비롯한 대규모 매립 사업으로 모양이 완전히 달라졌지만, 원래 서곶은 계양산에서 천마산과 원적산으로 이어지는 산맥이 황해 바다를 향해 완만하게 늘어져 내려온 곳이었기 때문이다. 이처럼 서곶은 사람들이 오랫동안 쓴 이름이었기에 1988년 서구가 북구에서 독립할 때 ‘서구’가 아니라 ‘서곶구’로 부르자는 의견도 꽤 많았다고 한다. 또한 서구로 이름이 정해진 지 오래인 지금도 서곶초등학교 등의 이름에 남아 여전히 그 생명을 이어가고 있다.

인천 소사
2001. 11. 15 영흥대교 개통
선재도와 영흥도를 방문하기 위해서는 선재대교와 영흥대교를 건너야 한다. 선재대교는 육지와 섬을, 영흥대교는 섬과 섬을 이어준다. 선재대교는 2000년 11월 17일, 영흥대교는 이듬해 11월 15일 각각 개통했다. 두 다리는 한국남동발전이 영흥도에 석탄화력발전소 건설과 영흥면 주민의 교통 편의를 목적으로 건설해 인천시에 기부 채납했다. 두 다리의 개통으로 영흥면에는 변화의 바람이 일었다. 이동의 편리성 향상은 기본, 교육적 혜택과 지역 발전 효과까지 더해지며 두 개의 다리는 두 개의 섬이 세상과 더 가까워지는 매개가 됐다.
그때, 11월의 인천은…
1889. 11. 01 대불호텔 개업
1896. 11. 04 답동성당 축성식 거행
1945. 11. 15 인천 최초의 시의회 개최
1952. 11. 30 인천시교육청 개청
1984. 11. 15 새얼문화재단 ‘제1회 가곡의 밤’ 개최
1992. 11. 12 인천국제공항 기공식 거행
1994. 11. 30 인천종합터미널 기공식 거행
2000. 11. 20 인천국제공항 고속도로 개통
- 첨부파일
-
- 이전글
- 仁生 사진관-낭만에 대하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