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역사

인천 문화재 이야기⑫ 보문사 마애관음좌상

2021-11-29 2021년 12월호

‘올 한 해도 열심히 사느라 수고 많았다’
바위에 새겨진 부처님의 미소


글·사진 김진국 본지 편집장




2021 보문사의 마애관음좌상


강화도의 형제 섬인 석모도 ‘보문사’에 가면 반드시 찾아야 할 곳이 ‘마애관음좌상’(인천시 유형문화재 제29호)이다. 낙가산 중턱 눈썹바위 아래 비스듬히 경사진 바위 표면에 돌을 깎고 쪼아 새긴 마애관음좌상은 높이 9.2m, 너비 3.3m의 거석 불상이다.
마애관음좌상이 이 자리에 오신 건 1928년이다. 당시 주지였던 배선주 스님은 금강산 ‘표훈사’ 이화응 주지 스님과 함께 이 거대한 불상을 조성한다. 배선주 스님의 첫째 아들인 배정만(91) 옹은 “아버지가 주지로 부임한 뒤 매일 눈썹바위에 올라가 아래를 내려다보며 무언가를 구상했다고 어머니가 말씀해 주셨다. 그러던 어느 날 화응 선사와 함께 바위에 부처님을 새기기 시작해 3년 만에 완성했다”고 말했다. 그는 “전기도 없고 아무것도 없던 시절 오직 석공의 손으로만 새긴 것”이라며 “석공의 후손들이 아직까지 석모도에 살고 있다”고 덧붙였다.
마애관음좌상은 머리에 보관寶冠을 쓰고 두 손을 모아 정병淨甁을 받쳐 든 채 연화 대좌 위에 앉아 있는 모습이다. 턱까지 내려온 긴 귀와 두툼한 코에선 부처님의 자비가 뚝뚝 떨어져 내리는 것만 같다. 마애관음좌상을 덮고 있는 거석은 ‘눈썹바위’다. 마치 고인돌의 덮개돌처럼 생긴 이 바위는 사람의 눈썹처럼 생겼다 해서 눈썹바위란 이름이 붙었다.
목청이 좋고 불경을 잘 외웠던 배선주 스님이 보문사 주지로 오자 보문사는 신도들로 넘쳐나기 시작했다. 강화군 길상면 온수리 출생인 배선주 스님은 아버지를 일찍 여의고 16살에 전등사로 출가했다. 이후 의정부 ‘원통암’으로 갔다가 35살 되던 해 당시 전등사 말사였던 보문사 주지로 부임했다.
보문사는 양양 ‘낙산사’, 금산 ‘보리암’과 함께 ‘우리나라 3대 해상 관음 도량’으로 알려졌다. 신라 선덕여왕 4년(635) 회정 대사가 창건한 ‘1400년 고찰’ 보문사에선 석굴 법당 ‘나한전’, ‘와불전’ 등을 만날 수 있다. 나한전엔 22구의 나한상이 자리하고 있는데 이 나한상은 신라 시대 석모도에 살았던 고 씨 어부가 바다에서 건져낸 걸 모신 것이라 전한다.
석굴 법당 왼편 위쪽 ‘와불전’엔 거대한 부처님이 누워 있다. 너비 13.5m, 높이 2m의 와불은 열반하는 부처의 누워 있는 모습을 형상화했다. 손의 모양, 옷과 주름 등이 섬세하게 조각된 와불상은 대웅전 왼편에 있던 큰바위 ‘천인대’를 깎아 새긴 부처님이다. 보문사 창건 당시 인도의 한 큰스님이 불상을 모시고 날아와 법회를 연 장소로 ‘1,000명은 능히 앉을 수 있다’는 뜻에서 천인대란 이름이 붙여졌다. 1980년대 조성을 시작해 2009년에 완성한 불상이다.
우리 가족 건강하게 지켜주소서, 우리 아이 좋은 대학에 합격하게 해주소서. 어느 가을날, 마애관음좌상 앞에서 소원 성취를 빌며 절하는 사람들의 표정이 간절해 보인다. 대중들의 기도에 일일이 화답하는 것처럼 마애관음좌상의 미소가 초겨울 하늘에 번져 나간다.



첨부파일
OPEN 공공누리 출처표시 변경금지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이 게시물은 "공공누리"의 자유이용허락 표시제도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자료관리담당자
  • 담당부서 홍보기획관
  • 문의처 032-440-8304
  • 최종업데이트 2024-01-10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