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
-
영화 속 첫 장면처럼 : 제13회 디아스포라 영화제
경계를 넘어 시작된 장면들 속으로‘2025 인천 디아스포라 영화제’ 개막식 현장5월 16일부터 20일까지회색으로 물든 하늘, 거센 바람, 굵은 빗줄기. 그러나 그것도 잠시, 비에 젖은 거리와 건물은 마치 새로운 축제를 알리듯, 색다른 분위기로 설렘을 자아냈다. 인천아트플랫폼 거리에는 영화제를 찾은 이들의 흥겨운 발걸음이 이어졌고, 영화와 문화를 향한 뜨거운 열정이 그곳을 채웠다. 우산을 걷어내고, 우비를 입은 채 서로에게 기대어 함께 즐기는 사람들. 그저 이 순간을 온전히 만끽하는 이들이 모인 ‘2025 인천 디아스포라 영화제’ 개막식은 마치 영화 속 첫 장면처럼, 낭만 속에서 시작됐다글. 윤은혜 본지 편집위원 사진. 박시홍 포토디렉터화합과 공존의 가치를 내세우며 시작된 영화제. 영화제에 참여한 시민들이 환대의 광장에서 영화를 관람하고 있다.인천 하버파크호텔에서 열린 개막식에 참석한 관계자들거센 비에도 꺼지지 않은 열정개막식인천아트플랫폼 광장에서 열릴 예정이었던 개막식은 예상치 못한 폭우로 인해 급히 장소를 변경해야 했다. 하지만 거센 비바람에도 불구하고, 실내 개막식 장소에 모인 영화인들과 관계자들은 서로를 반기며 따뜻한 축하의 시간을 보냈고, 인천 대표 영화제의 시작을 기대하는 웃음소리가 공간을 가득 채웠다.개막식은 하병필 인천시 행정부시장의 환영사로 문을 열었다. 이어 디아스포라 영화제의 의미를 되새기며 개막작 소개와 감독·배우 인터뷰가 차분하게 이어졌다. 궂은 날씨도 영화제의 시작을 막을 수 없었다.가수 십센치의 축하 공연을 관람하는 관객들축하 무대에 오른 가수 십센치빗속에 울려 퍼진 멜로디축하공연무섭게 쏟아지던 비가 잦
2025-06-17 2025년 6월호 -
인천형 K 콘텐츠 : I-디자인 세미나
인천이 그리는 K-콘텐츠의 미래콘텐츠를 직접 창조하고담론을 주도하는 도시,그 중심에 인천이 있다지방정부가 주도하는 콘텐츠 담론은 좀처럼 찾아보기 어렵다.그런데 도시 정책이 학계, 산업과 손잡고 문화정책의 언어를 다시 쓴다면? ‘ I-디자인 세미나: K-콘텐츠’는 그 자체로 실험이자 선언이다.우리 시가 꿈꾸는 K-콘텐츠 허브의 밑그림, 그 첫 장면 속으로 들어가 보았다.글. 시 콘텐츠기획관 콘텐츠기획팀 사진. 김경수 포토디렉터5월 22일 조지메이슨대학교에서 인천형 K-콘텐츠 관련 간담회가 열렸다.I-디자인 세미나의 시작을 알리는 조슈아 박 대표의 축사도시는콘텐츠가 될 수 있는가?“해석하고, 실행하고, 설계하라.” 5월 22일 오전 11시, 인천글로벌캠퍼스 한국조지메이슨대학교 106호 강의실. ‘ -디자인 세미나: K-콘텐츠’라는 이름 아래, 우리 시와 조지메이슨대학 교수진, 국내 콘텐츠 산업의 현장 전문가들이 모였다. 공간을 가득 메운 공기에는 기대와 실험 그리고 도시 정책이 콘텐츠가 될 수 있다는 믿음이 섞여 있었다. 행사는 단순한 학술세미나를 넘었다. 정책과 학문, 산업이 한자리에 앉아 하나의 질문을 공유했다.‘인천이 콘텐츠가 될 수 있는가?’ 이날의 주어는 분명했다. 도시 그 자체, 인천이었다. 오프닝에서 우리 시 콘텐츠기획팀은 이 자리가 단발성 행사가 아닌, 인천형 콘텐츠 전략의 출발점이자 실험적 구조를 현실화하는 시도라고 강조했다. 조지메이슨대학교 한국캠퍼스 조슈아 박 대표는 “도시는 콘텐츠입니다. 그리고 콘텐츠는 연결과 담론으로 자랍니다”라며, 도시와 콘텐츠 사이의 관계를 재정의했다.인천형 K-콘텐츠의 가능성을 함께 고민하는 참석자들왼쪽 부
2025-06-17 2025년 6월호 -
시민의 詩선 : 호국보훈의 달
호국의 길목에서 시를 읊다오늘, 시민의 시선은 어디를 향했을까요? 누군가는 빛나는 아침 햇살을, 또 누군가는 고요히 흐르는 시간을 눈에 담았습니다. 시민들이 포착한 특별한 순간과 그 안에 깃든 이야기를 소개합니다. 그들의 시선이 머문 곳에서 시작된 ‘호국보훈의 달’을확인해 보세요.※ ‘폰카시’란? 스마트폰 카메라와 시詩를 합친 말로, 일상 속 풍경을 스마트폰 카메라로 촬영하고 이를 짧은 시로 표현하는 것입니다.저편 어딘가에당신이 있습니다.돌아서면 흐려지는 풍경 속에서 나는 기다리는 쪽에 서 있습니다. 바람은 조용히 말합니다.평화는 그리움에서 시작된다고.신동민(남동구 청능대로)강화평화전망대올해도 어김없이꽃은 피었습니다.꽃처럼 웃던 그 얼굴들이기억 속에 피어납니다.당신들이 지켜낸 이 길 위에서 우리는 오늘을 살아갑니다. 잊지 않겠습니다. 그날의 용기를.김달희(계양구 봉오대로)수봉공원붉은 꽃 사이로그의 굳센 의지가 보인다. 총칼이 멈춘 자리에서 평화를 지키는 눈빛 하나. 기억하자,그의 발걸음 위에우리가 서 있다는 것을.여인혁(부평구 굴포로)자유공원빛이 땅을 덮는다.누군가의 발자국,그 위에 쌓인 시간들.고요한 나무들 사이로 숨죽인 역사가 흐르고, 바닥에 물든 색은말 없는 헌화를 대신한다.구윤혜(미추홀구 경인로)수봉공원고요한 돌비(碑)마다 이름 없는 숨결이 잠들고, 그 침묵 위에 우리는 서 있다.꽃이 피고 질 때마다 우리는 묻는다.그대가 지킨 오늘을 우린 잘 살아내고 있는가.이상현(연수구 아카데미로)강화전쟁박물관‘폰카시 詩’에도전해 보세요!주제 : 인천의 여름날참여 방법1. 주제에 맞는 순간을 포착해 사진으로 찍는다.2. QR코드
2025-06-09 2025년 6월호 -
컬러링 인천 : 도시농업 현장 체험프로그램
일상에 색을 더하다행복을 그리다밝은 오늘, 더 행복한 미래를 위한 순간이 여기 있습니다.캔버스 위에 펼쳐진 인천의 하루를 시민 여러분의 빛으로 물들여 주세요.시민의 색을 덧입힐수록 인천의 미래가 더욱 풍성해집니다.도심에서 즐기는 초록빛 힐링도시농업 현장 체험프로그램도시농업의 매력을 오감으로 느낄 수 있는 6월, 인천의 도시농업체험포가 시민들의 일상에 초록빛 쉼표를 더한다. 참여 시민들은 도심 한가운데 조성된 텃밭에서 작물을 관찰하고, 전문가의 설명을 들으며 자연과 가까워지는 시간을 갖는다. 여기에 다육이 화분 만들기처럼 손으로 흙을 만지고 식물을 가꾸는 원예 실습도 이뤄져 작은 생명을 돌보는 기쁨까지 누릴 수 있다. 건강한 여가와 마음의 여유를 선사하는 이번 프로그램은 6월 23일까지 운영된다.강희정(서구 모월곶로)표경숙(서구 이음4로)최명련(미추홀구 용정공원로)박나연(중구 은하수로)박명숙(부평구 부흥로)여러분의 감성으로 인천의 색을 칠해주세요!보내는 방법우편 : 우)21554 인천광역시 남동구 정각로 29 인천광역시청 콘텐츠기획관실 담당자 앞메일 : gmincheon@korea.kr 기간 : 6월 17일까지 문의 : 031-247-5141※ 컬러링 작품을 보내주신 시민 작가께는 추첨을 통해 소정의 상품권을 드립니다. 응모 시, 성명과 연락처, 주소를 꼭 기재해주세요.도시농업 프로그램이 이뤄지는 텃밭 ⓒ 인천광역시농업기술센터
2025-06-08 2025년 6월호 -
인천의 초상肖像 : 호국보훈의 달
그날의 조각,오늘의 숨결 가변크기, 종이에 아크릴 채색 후 디지털 콜라주, 2020얇고 가느다란 경계 앞에서 사라진 풍경의 조각들이 겹친다.그 사이를 유영하는 기억들 위로 물은 흐른다.사라지고, 흩어지고, 머물고, 다시 살아나는이름 없는 것들처럼 무언가 조용히 다시 피어난다.김푸르나 작가김푸르나는 주로 사회적인 이슈나 환경, ‘변화하는 다양한 몸’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소재를 수집하고 재조합하여 이를 패턴화 된 이미지로 제작하는 작업에 주목한다. 그리고 작품을 이용해 공간으로 확장하거나 작곡가, 퍼포머, 극작가 등 다양한 분야의 예술가와 협업을 시도하고 있다. 현재는 인천을 기반으로 지역 연구와 시각예술 프로젝트, 프로그램 기획에 집중하고 있다. , , 등의 개인전을 기획하였으며, CAI PROJECT A.I.R.(2021, 스페인), OCI미술관 창작스튜디오(2017), 인천아트플랫폼(2016) 입주 작가로 활동하였다. 현재는 의 대표로 시각예술 콘텐츠 기획, 지역연구 기반의 공간디자인 프로젝트 및 콘셉트 개발 등에 참여하며 다양한 활동을 이어 나가고 있다.QR코드를 스캔하시면 김푸르나 시각예술가의 홈페이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2025-06-08 2025년 6월호
- 자료관리담당자
-
- 담당부서 콘텐츠기획관
- 문의처 032-440-8302
- 최종업데이트 2025-03-12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