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
-
김영승의 시선(詩선)
김영승의 시선(詩선)섬정현종(鄭玄宗 ; 1939 - ) 사람들 사이에 섬이 있다그 섬에 가고 싶다글 김영승빵빵! 두 방을 맞았다. 뼈가 으스러지는 것 같았다. 팔뚝을 보니 빨간 당구알 같이 빨갛게 부어올랐다. 대낮인데도, 폭죽 그 유산탄이 터지는 것 같았다. 민박집 할아버지가 에프킬라를 갖고 나와 뿌렸다. 툭툭 떨어져 내렸다. 말벌이었다. 작년에 자기는 이 말벌에 쏘여 헬기로 인천까지 이송되었단다. 여기저기 전화를 했으나 계속 불통이었다. 어? 고개를 갸우뚱했다. 지금쯤이면 의식을 잃고 쓰러져야 하는데 안 쓰러지다니 이상하다는 표정이었다. 팔뚝을 보니 당구알 만하던 것이 자두알 만해졌다. 걱정할까봐 아들한테는 말을 안 했었다. 어릴 적 나는 빨개벗은 채 닭장 안에 들어갔다가 하도 벌에 쏘여 면역이 생겼나보다 했다. 굴업도에서의 일이다. 해변으로 나갔다. 녹말가루 같은, 이게 모래인지, 곱게 빻은 금강석 분(粉)인지, 피전 블러드 루비 분(粉)을 섞고, 금분, 은분을 또 섞어, 그 어떤 거룩한 손길이 미장이의 흙손처럼 흙손질을 해놓은 듯한, 세상에 이러한 백사장은 하늘 아래 없으리…… 그 모래밭에 저녁노을이 깔리고 곧 은하수가 펑펑 쏟아져 내렸다. 실신은 말벌들 때문이 아니라 별들 때문 같았다. 나는 아들이 중3때까지 소위 여름휴가라는 것을 거의 다 인천 앞바다의 섬들로 갔었다. 아들이 훈련을 마치고 자대 배치 받은 후 보낸 육필 편지엔 그 섬들의 추억이 마치 영사(映寫)되듯 묘사되어 있었다. 아들은 그러한 아버지한테 감사를 하고 있어 감사했다. 아니 그 서해의 바다가 이토록 쪽빛이라니, 승봉도의 바다를 보고 한 탄식이다. 대이작도 선착장에서 낚시를 마치고 가로등이 도
2021-07-30 2021년 8월호 -
뮤직 인천- 2021 인천시티팝
인천이 만들고 인천이 부르는, 인천의 노래찬란한 도시를 수놓는 BGM1988년 조용필은 ‘서울’을 노래했고, 1980년 프랭크 시나트라는 ‘New York’을 찬양했다. 그리고 2021년, 인천이 마이크를 시민에게 넘긴다. ‘2021 인천시티팝’, 인천시가 주최하고 루비레코드가 주관하는 제1회 인천시민음악창작가요축제가 개최된다. 인천을 널리 알리고, 뮤지션의 독창적 창작 활동을 지원하기 위한 인천만의 음악 이벤트다. 주제는 ‘찬란한 도시를 수놓는 BGM’이다. 지하철 1호선, 연안부두 등 시민들이 쉽게 따라 부르고 공감할 수 있는 도시의 일상과 사랑 이야기를 다룬 순수 창작곡이라면 누구나 참여할 수 있다. 대중성과 독창성을 갖췄다면 금상첨화. 인천과 관련된 노래이거나 인천 출신 또는 거주 뮤지션에게는 가점이 부여된다. 작곡이 어렵다면 노래로 승부를 봐도 좋다. 가창력을 뽐낼 수 있는 가창 부문은 커버곡으로 참여할 수 있다. 작곡, 싱어송라이터, 가창 세 부문으로 진행되는 이번 공모 수상자에게는 분야별로 소정의 곡·가창 비용과 음원·음반·영상 제작, 주관사에서 진행하는 페스티벌 무대와 라디오, 유튜브 채널 출연 등 다양한 활동 기회가 주어진다.공모 신청 마감은 8월 22일 오후 6시까지다. 개인 SNS 또는 유튜브 계정에 직접 창작곡이나 커버곡 영상을 ‘#인천시티팝’이라는 태그와 함께 업로드하면 된다. 업로드 후에는 구글폼(https://bit.ly/3w5mvGV)으로 신청서를 작성, 응모한 음원과 가사를 첨부하면 신청이 완료된다. 관련 소식은 인천시티팝 페이스북 페이지를 통해 순차적으로 공개된다.2021 인천시티팝주제 : 찬란한 도시를 수놓는 BGM대상 : 대한민국 국민 누구나마감 : 8월 22일 오후 6
2021-07-30 2021년 8월호 -
문학산 음악회
여름밤을 물들일 재즈 음악의 향연집에서 즐기는 시네마 재즈 공연 비류가 백제를 세우며 미추홀의 시작을 알렸던 문학산. 2015년 10월 15일, 문학산 정상이 50년 만에 시민에게 개방됐다. 이를 기념하며 이듬해부터 1년에 한번, 문학산 정상의 밤이 감미로운 선율로 물들었다. 그리고 우리 시는 문학산 확대 개방에 대한 시민의 꿈과 염원을 담아, 2020년 10월 17일 문학산 정상부를 확대개방하게 된다. 음악회도 올해부터 사계절(봄·여름·가을·겨울) 음악회로 확대됐다. 5월 30일, 봄을 노래했던 제6회 문학산 음악회 봄 공연에 이어 여름 공연이 펼쳐진다. 8월 7일 오후 7시, 장소는 중구 신포로에 위치한 라이브 카페 버텀라인이다. 버텀라인은 100년이 넘은 개화기 근대 건축물로, 1983년 오픈해 김광민, 웅산, 윈터플레이 등 실력 있는 뮤지션들이 무대에 오른 인천 재즈 역사의 산실로 평가받는 곳이다. 이번 공연은 코로나19 확산 방지 차원에서 비대면으로 진행되며 유튜브로 생중계된다. 주제는 ‘한여름 밤의 시네마 재즈 콘서트’다. 공연은 국내 재즈 1.5세대로 구성된 최용민 재즈 밴드의 연주와 트럼펫 신동으로 화제를 모았던 곽다경의 협연으로 진행된다. 오즈의 마법사와 니모를 찾아서, 하울의 움직이는 성에서부터 태양은 가득히, 대부, 빠삐용 등 남녀노소 모두가 즐길 수 있는 영화 음악의 아름다운 향연이 펼쳐진다. 가을과 겨울에는 현장에서 생생한 감동을 느낄 수 있기를 기대하며, 올여름은 안전한 방구석 콘서트로 문학산 음악회를 즐기자.제6회 문학산 음악회 여름 음악회일시 : 8월 7일 오후 7시장소 : 버텀라인(비대면 공연)접속 : 유튜브에 ‘제6회 문학산 음악회’ 검색출연 : 최용민 재즈
2021-07-30 2021년 8월호 -
공간인천 - 누들플랫폼
쫄깃한 재미를 후루룩~국내 유일 면을 테마로 한 복합 문화 공간입학식과 졸업식 때 맛볼 수 있었던 짜장면과 소풍날 친구들과 나눠 먹던 쫄면. 인천은 우리나라 면 음식 역사의 시작점이다. 그런 점에서 국내 유일 면을 테마로 한 특별한 공간의 탄생은 이미 예견됐던 일인지도 모른다. 지난 7월 1일, 중구 관동에 ‘누들플랫폼’이 문을 열었다. 국토교통부 ‘도시활력증진지역개발사업’의 일환으로 지하 2층~지상 3층 규모로 들어섰다. 누들플랫폼은 면을 주제로 전시와 체험, 교육이 한데 어우러지는 복합 문화 공간이다. 1층은 인천 누들의 역사와 누들 테마 거리 속 면 요리, 드라마와 영화, 음악 속 다양한 누들 이야기, 고전 문학 작품에 비친 누들 등을 전시하는 공간과 소극장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한 계단 올라 2층으로 가면 다채로운 체험이 펼쳐진다. 오색제면, 젤리국수, 나만의 컵누들 등을 직접 만들어볼 수 있다. 3층은 누구나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는 요리 공간과 공유 주방으로 꾸며졌다. 지역 상인들과 예비 창업자들이 모여 누들 레시피를 개발, 테스트하고 수준별 전문 교육을 통해 창업도 지원한다. 중구는 대한민국 근대 누들 문화를 형성한 역사를 품은 곳이다. 누들플랫폼은 이러한 가치를 널리 전파하고, 월미관광특구를 대표하는 새로운 문화 관광 시설로 자리매김하고자 개관했다. 우리 시는 130여 년의 역사를 간직하고 있는 개항장의 근대 역사 문화 자산과 지역 상권을 연계해 지역 경제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도록 누들플랫폼을 국내 최고의 관광 명소로 육성시켜 나갈 계획이다.인천누들거리를 재현한 전시 공간.아이들이 면 뽑기 체험을 하고 있다.누들플랫폼위치 :
2021-07-30 2021년 8월호 -
컬러링 인천 - 강화도
인천의 자연, 시민의 색으로 물들다‘환경특별시’ 인천은 168개 섬을 비롯한 천혜의 자연을 품고 있습니다.삶에 쉼표를 찍는 여유와 다채로운 매력이 살아 숨 쉬는 인천의 자연. 인천 작가의 스케치에 시민 여러분의 색과 빛을 입혀주세요.이달의 드로잉 강화도 동막해변강화 남쪽 끄트머리, 청춘의 한 장면이 일렁이고 가족과의 추억이 넘실대는 동막해변이 펼쳐져 있다. 폭 10m, 길이 200m의 해변은 강화에서 가장 큰 모래톱을 자랑한다. 인천 사람들에게는 너무나도 친근한 장소지만, 이곳이 세계 5대 갯벌 중 하나로 꼽힌다는 사실을 아는 이는 흔치 않다. 그만큼 갯벌 체험하기 좋은 곳이 바로 동막해변이다. 백사장 뒤로는 수백 년 묵은 노송들이 늘어서 시원한 그늘을 드리운다. 썰물 때는 각종 조개를 비롯해 칠게, 가무락, 갯지렁이 등의 바다 생물을 구경할 수 있다. 군데군데 휴식을 즐기는 갈매기들의 모습도 한가롭다. 동막해변 인근에는 분오리돈대가 있는데, 해질녘 바라보는 일몰이 장관을 이룬다.정동준 작가인천 태생으로 시각 디자인을 전공했다. 그래피티 아트로 작가 활동을 시작했으며, 인천문화재단 지원 사업 등 다수의 지역 공공 미술 프로젝트를 기획하고 참여했다. 2018년에는 그간의 활동 기록물을 모아 ‘공간 이전의 기록’이라는 제목의 개인전도 열었다. 현재는 물리적 공간과 몸(감각) 그리고 사물을 주제로 다양하게 작품 세계를 확장하고 있다.정동준 작가의 채색 가이드▹7월의 시민 작가를 소개합니다!신지안 부평구 길주남로김은숙 연수구 원인재로심온 옹진군 백령면김유민 서구 천마로이현정 남동구 구월로▹컬러링 작품을 보내주신 시민에게는 추첨을 통해 소정의 상
2021-07-30 2021년 8월호
- 자료관리담당자
-
- 담당부서 콘텐츠기획관
- 문의처 032-440-8302
- 최종업데이트 2025-03-12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