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관광

숲, 골목, 시장에서 ' 책’을 만나다

2015-02-04 2015년 2월호


숲, 골목, 시장에서 ' 책’을 만나다

동네 사랑방 같은 작은 도서관. 엄마와 아이들이 걸어서 갈 수 있는 곳,
아이가 돌아다닌다고 눈치 보지 않아도 되는 곳, 엄마가 아기를 안고 편안하게 동화책을 읽어줄 수 있는 곳이다. 작은 도서관이어서 가능하고, 작은 도서관에서만 볼 수 있는 친근한 풍경이다. 작은 도서관은 책을 통해 동네 주민들을 만나고 소통하는 교류의 공간이다.
글 이용남 본지 편집위원  사진 유창호 자유사진가


☞ 관련 동영상 보기 클릭




숲에서 그림책을 보고 느끼다
바람숲그림책도서관

따뜻하고 부드러운 바람이 책갈피로 스며든다. 강화도 ‘바람숲그림책도서관’은 아이 어른 할 것 없이 모두가 좋아하는 그림책을 모아둔 그림책 전문 도서관이다. 아름답고 풍요로운 강화의 풍광 안에 둥지를 틀고 그림책과 자연의 교감을 시도한다. 아이들은 도서관에서 나무의 일생이 담긴 그림책을 본 뒤 곧바로 뒷산으로 달려가 나무를 만져보고 나무의 생태를 머릿속에 그려본다. 국내 최초의 그림책 도서관이다.
이곳에 소장된 그림책은 누구나 자유롭게 볼 수 있다. 그림책이 어린이들만 보는 책이라는 생각은 오해다. 그림책에는 삶과 자연을 대하는 철학이 녹아 있어 어른들에게도 힐링이 된다. 자연의 모습을 생생히 그린 책부터 아이들의 상상력을 자극하는 그림까지, 그림책 하나하나가 진귀한 보물이다. 이 도서관은 우리나라에 그림책 도서관을 만들어 보겠다며 15년 동안 그림책을 모아온 최지혜 관장의 꿈의 실현이다. 그림책은 자연생태, 창작, 인물, 옛이야기, 역사 분야로 나누어진다. 2천500여 권의 장서가 서가를 장식하고 있다.
도서관에서 그림책만 보는 것은 아니다. 강화의 자연을 활용한 다양한 체험활동 프로그램이 아이들을 기다린다. 그림자극, 책을 여는 음악회, 나를 찾아서, 곤충 이야기, 함께 사는 우리 등 자연을 배우고, 마음을 키우는 프로그램들이 즐비하다. 도서관 오픈은 수요일~일요일, 시간은 오전 10시부터 오후 5시까지다. 체험 프로그램에 개인 및 단체의 참여를 기다리고 있다. 위치 강화도 불은면  문의 070-4109-6280

책, 시장 골목으로 들어갔다
골목도서관

시장 바닥 한가운데에 도서관이 있다고? 인천 동구 송현동 송현시장에 가면 시장 구경도 하고  책도 마음껏 볼 수 있는 골목도서관이 있다. 2011년 문을 연 이 도서관은 걸어서 10분 거리에 있어 지역주민들의 발길이 잦다.    
이 도서관의 가장 대표적인 프로그램은 ‘찾아가는 책수레’ 서비스다. 시장 상인들에게 책을 대출해주는 프로그램으로, 매주 금요일 오전 도서관 직원들이 수레에 책을 싣고 직접 상인들에게 책을 전달한다.
도서관은 시민들이 재래시장 이용을 활성화하고, 아이들과 상인들이 친해질 수 있는 기회를 만들어주기 위해 ‘시장체험 프로젝트’도 운영한다. 일명 ‘시장골목탐험대’라는 이 프로젝트를 통해, 아이들은 직접 시장을 보면서 우리 동네 시장에 어떤 가게들이 있는지 알아본다. 이 밖에도 전래놀이, 전통 요리, 인문학 수업 등 체험 프로그램을 수시로 열어, 회원은 물론 동네 주민, 시장 상인들과 끊임없이 소통하고 있다.
위치 동구 송현동 송현시장 내  문의 766-3092




미디어로 세상과 소통한다
풀뿌리미디어도서관

책 냄새가 물씬 풍기지만, 사람 냄새가 더 진한 도서관. 이 도서관은 책을 보는 곳이라기보다 마을 사랑방에 가깝다. 
풀뿌리미디어도서관에 가면 우리가 사는 동네 이야기를 읽고 들을 수 있다. 동네 사람들과 소통하고 어울리며 자연스럽게 동네를 공부하고 동네 사랑을 키워간다.
이 도서관이 가장 자랑하는 프로그램은 미디어 도서관답게 초등학교 고학년과 중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영화 제작 활동이다. 아이들이 시나리오를 쓰고 영상을 찍고 직접 출연까지 하며 단편영화를 만들어 낸다. 지난해 9월에는 인천어린이영상페스티벌에 출전해 특별상을 받기도 했다. ‘자연과 함께하는 생태미술’도 이 도서관의 인기 프로그램이다. 풀뿌리미디어도서관은 평일 오전 10시부터 오후 6시까지 운영하며, 토요일에는 부모와 함께하는 ‘주말놀이터’가 운영된다.
인천 서구에 있고, 마을에 사는 주부 4명이 모여 만들었다. 올해로 설립 4년째를 맞고 있다.
위치 서구 연희동 727-7  문의 582-3080



가족 대출 ‘삐삐의 책가방’ 인기
늘푸른어린이도서관

이 도서관은 작년 ‘삐삐의 책가방’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동네 주민들로부터 큰 호응을 얻었다. ‘삐삐의 책가방’에는 말괄량이 삐삐가 그려진 천 가방에 아이들이 좋아하는 이야기책 4권, 퍼즐, 산가지 놀이, ‘호랑이와 곶감’ 전래동화 놀이가 그려진 그림자놀이 기구, 인형 등이 담겨 있다. 이 프로젝트는 가족 단위 대출 서비스로, 가족이 함께 책을 읽고 놀이를 하며 소통하자는 취지에서 기획됐다.
이 도서관은 또, 어머니들이 선정한 좋은 도서를 초등학교 저학년들에게 읽어주는 ‘백 권 클럽’을 운영하고 있다. 초등학교 저학년들에게 책 읽는 습관과 사고력을 길러주자는 취지다. 이 밖에도 24개월 미만 유아들이 책을 가지고 놀며 친해지는 ‘달토끼마을’, 그림책을 공부하는 모임인 ‘얘기보따리’ 등의 모임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늘푸른어린이도서관은 작은 도서관이지만, 관록과 풍부한 운영 경험을 자랑한다. 1998년 열어 어린이뿐 아니라 성인을 위한 장서를 많이 보유하고 있다.
위치 연수구 연수동  문의 818-0645



문화와 책 접목한 ‘책을 타고 슝슝’
와글와글작은도서관

인천 남동구 만수동에 위치한 와글와글작은도서관은 책을 매개로 지역의 주민들과 만나고 소통하는 공간이다. 회원들이 직접 도배하고 공간을 꾸며 2013년 10월 개관했다, 약 5천권의 장서를 보유하고 있다.
특기할 프로그램으로는 ‘책을 타고 슝슝’이라는 책 놀이이다. 요리와 만들기, 전래놀이 등 다양한 문화를 활용하여 책을 읽고 함께 활동하는 프로젝트다. ‘와글와글놀이터’는 영유아들이 책과 친해지도록 기획됐다. 도시에서 농업을 체험하고 배우는 ‘도토리농부학교’, 전래놀이, 지역 주민, 상인들이 함께 모여 축제를 여는 ‘와글와글골목축제’ 등도 열어 지역을 시끌벅적하게 만들고 있다.
여름방학 기간에는 초등학생들을 대상으로 ‘도서관에서 하룻밤 자기’ 프로젝트를 진행한다. 조를 이뤄 협동 게임도 진행하고 각자 밥도 직접 지어 먹고 밤에 영화 보며 보물 찾기, 미션 수행 등을 통해 도서관을 충분히 활용하고 있다. 
위치 남동구 만수동  문의 466-4865

 
또 다른 작은 도서관
 
짱뚱이어린이도서관 _ 얘들아, 물고기처럼 잘 놀아라
도서관은, 지나가다 물 한 모금 마시고 잠시 쉬었다 갈 수 있는 주민들의 쉼터가 되어야 한다는 것이 짱뚱이어린이도서관의 모토다. 짱뚱이라는 이름은 짱뚱어라는 물고기가 활발하게 잘 노는 것이 어린이들과 닮았다고 해서 지어진 것이다. 짱뚱이에서는 고아원이나 중증장애 어린이집 어린이들을 찾아가 책을 읽어주는 ‘오른발, 왼발 동아리’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마을역사 북아트’는 인천의 역사를 배우고 책으로 만드는 프로그램으로, 초등학교 3, 4학년이 대상이다.
위치 연수구 청학동  문의 814-0377

콩세알어린이도서관 _ 지역 주민의 ‘문화 요람’
옛 선조들이 콩 세 알이 있으면, 하나는 날짐승을 주고, 또 하나는 사람이 먹고, 다른 하나는 미래를 위해 보관했다는 이야기에서 이름을 딴 콩세알어린이도서관. 푸른생협에서 출발했다. 다세대주택 등이 많은 낙후지역에 위치하고 있어, 지역 주민들의 ‘문화 요람’ 역할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엄마들의 역사 공부 모임인 ‘뿌리깊은 나무’, 고전을 읽고 토론하는 ‘고전수다’와 함께, 아이들을 위한 책읽기 프로그램인 독서놀이, NIE 신문교육, 책놀이 등을 진행하고 있다.
위치 남동구 만수동  문의 464-2348

청개구리어린이도서관 _ 자연과 교감 ‘생태교실’ 인기
청개구리어린이도서관은 ‘우리 동네에도 괜찮은 도서관 하나 있었으면 좋겠다’는 꿈을 가졌던 동네 주민들이 자발적으로 만든 도서관이다. 집에서 쓰던 책장과 의자를 가져오고, 서가에서 잠자던 책들을 기증하면서 만들어졌다. 그야말로 주민들에 의한, 주민들을 위한 공간이다.
특화 프로그램인 ‘어린이 생태교실’은 매월 1회 외부 강사와 함께 생태 환경이 좋은 장소를 찾아 생태 놀이, 생태 감수성 키우기 활동 등을 한다. 초등학교 저학년과 유치원생을 대상으로 운영하고 있다.
위치 부평구 산곡3동  문의 521-2040

 

첨부파일
OPEN 공공누리 출처표시 상업용금지 변경금지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이 게시물은 "공공누리"의 자유이용허락 표시제도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자료관리담당자
  • 담당부서 콘텐츠기획관
  • 문의처 032-440-8302
  • 최종업데이트 2025-03-12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