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관광

Q&A

2003-04-09 2003년 4월호

무통 치료가 있다는데 정말로 하나도 안 아픈 치료인가요?


완벽하게 통증이 없는 치료는 존재하지 않습니다. 치료받는 입장에서는 아프다는 것과 불편하다는 것을 동일하게 느낄 수 있기 때문입니다. 감각의 인지 정도에는 개인차가 많으며, 특히 통증을 느끼는 수준은 일률적이지 않습니다. 따라서 똑 같은 치료를 받아도 어떤 사람은 아프다고 느끼지만 어떤 사람은 그렇지 않을 수 있지요.


스케일링만으로도 이가 하얗게 바뀌나요?


스케일링은 이 표면의 플라크와 니코틴, 치석을 제거하는 것입니다.  니코틴이 많이 착색된 이는 니코틴을 제거하면 하얗게 보이기도 하지만, 스케일링은 미백 치료와는 약간 다른 클린싱 차원이므로 이 속에 색소가 쌓여 색깔이 변한 경우라면 미백 효과를 기대할 수 없습니다.


잇몸 질환을 약으로 치료할 수는 없나요?


약을 먹으면 일시적으로 증상이 사라져 잇몸 질환이 치료된 것으로 착각하기 쉬운데, 증상은 없어도 염증은 계속 진행됩니다. 그러므로 약으로만 치료하겠다는 생각은 버리는 것이 좋습니다. 물론 적절한 치료와 더불어 의사가 처방하는 약을 복용한다면 효과적으로 잇몸 건강을 회복할 수 있습니다.


담배도 잇몸 질환을 일으키나요?


담배에 들어 있는 유해 물질들은 우리 몸의 방어 기능을 약화시킵니다. 따라서 잇몸 질환을 더욱 빠르게 진행시켜서 수년 내에 이를 뺄 수밖에 없는 지경에 이르게 합니다. 또 치료 결과에도 악영향을 줍니다. 치료 후 담배를 피우면 우리 몸이 잇몸을 구성하는 물질을 원활하게 만들어 내지 못해 치유가 완전하지 않거나 속도가 지연되며 잇몸 질환을 재발시키기도 합니다.

 

이가 썩는 것도 유전인가요? 같은 음식을 먹고 같은 시간에 칫솔질을 해도 큰 아이는 충치가 없는데 작은아이는 많아요.

충치에 대한 저항력과 관련된 유전적 기질은 입증하기가 힘든 게 사실입니다. 하지만 대부분의 연구자들은 유전적 기질이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열심히 칫솔질을 하고 불소 도포와 실런트를 하여 충치에 대한 방어를 최대화한다면 작은 아이도 충치를 줄일 수 있을 것입니다.


아기의 입에서 냄새가 나기 시작합니다. 젖니가 난지 얼마 되지 않았는데, 왜 그런가요?

어린 아기들은 콧속에 이물질이 끼거나 염증이 생겼을 때, 편도가 크거나 염증이 생겼을 때, 편도 주름 사이에 이물질이 생겼을 때 입 냄새가 나는 경우가 많습니다.


아이가 손가락을 빠는 버릇을 쉽게 고치기 어려워서 고민입니다. 치과에서는 어떤 장치를 하나요?

병원에서 만들어 주는 장치는 손가락을 입에 넣었을 때 불편한 느낌을 주도록 고안된 것입니다. 앞니 뒤쪽의 입천장에 붙여서, 손가락을 입에 넣으면 우둘투둘하거나 뾰족한 느낌이 들도록 하는 것이지요. 타일러도 소용이 없거나 낮에도 손가락을 심하게 빨 때는 고정 장치를 이용하고, 잘 때만 손가락을 빤다면 끼웠다 뺐다 할 수 있는 장치를 이용합니다.

첨부파일
OPEN 공공누리 출처표시 상업용금지 변경금지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이 게시물은 "공공누리"의 자유이용허락 표시제도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자료관리담당자
  • 담당부서 콘텐츠기획관
  • 문의처 032-440-8302
  • 최종업데이트 2025-08-28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