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관광

인천시민들이 거는 기대와 시의원의 자세

2003-05-07 2003년 5월호

인천광역시가 경제적·사회적으로 발전해 가는 대표적인 광역도시라는 사실이 최근 추진되고 있는 개발정책과 앞으로 추진될 계획안에서 속속 밝혀지고 있다.
과거 인천은 유동인구가 많고, 머무는 도시가 아닌 떠나는 도시로 인식되어 왔다. 더욱이 인천에서 나고 자란 인재들마저 다른 지역으로 내몰 수밖에 없는 환경이었다. 하지만 지금은 입장이 역전될 수 있는 호기를 맞고 있다. 인천국제공항 개항으로 허브도시로서의 기능을 갖추어가고 있고, 송도신도시를 포함한 대규모 단지계획과 투자유치는 인천시민들뿐만 아니라 전 국민들에게 원대한 비전을 심어주기에 충분하다.
하늘과 바다, 그리고 육지를 연결하는 교통과 물류의 중심지, 정보·금융의 중심지가 될 수 있는 무한한 잠재력이 인천국제공항과 인천항, 송도 벌과 서북부지역 등 인천이라는 거대한 도시를 구성하고 있는 각종 기반에서 현실화되고 있는 것이다. 
하지만 한가지 짚고 넘어갈 것은 투자와 개발, 그리고 발전이라는 기대감이 앞선 나머지 짧은 기간 내에 많은 것들을 이루려 한다는 점이다. 머나먼 미래에 우리의 후손들에게 ‘난개발’이었다는 비판의 목소리를 듣지 않으려면 무엇보다 차분히 계획을 수립하고 검증하는 등 절차를 준수해야 할 것이다.
또한 260만 인천시민들의 의사를 반영한 개발이 되어야 한다. 중앙정부 주도의 추진이어서도 안되겠고, 인천시의 지역 이기적인 사업추진이 되어서도 안 될 것이다. 이제 인천은 인천만의 광역시가 아니라, 동북아의 허브도시로 태동하려 첫 걸음을 내딛고 있기 때문이다.
아울러 개발과 보존의 양대 과제를 동일하게 충족시켜야 한다. 한 예로 해양수산부와 인천시가 최근 인천 북항 건설과 항만운영을 위해 영종도 준설토 투기장을 조성, 해양생태공원을 만드는데 570억 원이라는 막대한 예산을 투자하기로 밝힌 바 있다. 하늘 길과 더불어 바닷길 또한 동북아 허브도시로의 역할을 제대로 수행할 수 있게 하기 위한 행정당국의 계획이다. 하지만, 인천의 지도를 바꾸는 이러한 대규모 투자에 뒤따르는 해양환경의 생태적 변화와 그에 대한 대가를 반드시 예측해야 할 것이다.
반드시 전개해야 할 사업이라면 그에 뒤따르는 해양생태계 변화를 미리 염두에 두고, 당초 해양수산부가 계획했던 대로 해양생태공원을 조성한다는 약속을 엄수해야 할 것이다. 즉, 개발에 따른 생태계 변화가 필요악(惡)이라면 그에 따른 보존대책도 토지이용계획에 반드시 포함시켜 진행해야 한다.
각종 공해 유발 업체가 많은 우리 인천의 산업기반을 본다면 환경보전의 중요성을 느끼게 된다. 2002년 환경백서에서는 인천시가 7대 광역시중 대기오염도가 가장 높은  도시임을 밝히고 있다. 사실일까 싶지만, 사실이다.
‘동북아 허브도시’라는 거대한 비전에 걸 맞는 이미지를 가지려면 이런 오명도 하루 빨리 벗어야 한다. 우리 스스로는 동북아 허브도시라 자찬한다 하더라도 삶의 조건이 갖추어지지 않은, 환경파괴가 난무한 도시의 이미지가 남는다면 수 천, 수 조원에 달하는 기반투자를 한다 하더라도 제 빛을 잃을 것이다.
건설교통위원회에서 상임위 활동을 하고 있는 본 의원은 막중한 책임감을 느끼지 않을 수 없다. 본 의원의 조례안 결정 하나가, 계획결정 하나가 이러한 인천의 비전에 큰 타격을 줄 수도 있다는 걱정 때문이다. 특히, 현재 인천에서 전개되는 대부분의 대규모 사업이 본 의원이 소속된 상임위 활동과 직접 관련이 있어 노심초사하지 않을 수 없다.
다행인 것은 인천시민들이 본 의원을 포함한 동료의원들에게 올곧은 소리를 해준다는 것이다. 자치구 혹은 동별로 성향은 다르겠으나, 거시적인 안목으로 우리 인천시의 발전에 큰 도움이 되는 조언은 한 목소리를 내며 여러 경로를 통해 본 의원에게 전해지고 있다.
본 의원은 의정활동 전개 초기부터 시민들과 가까이 다가서기 위해 노력해왔다고 자부한다. 또한, 그들의 목소리를 시정에 반영하기 위해 나름대로 공부도 했다. 그

첨부파일
OPEN 공공누리 출처표시 상업용금지 변경금지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이 게시물은 "공공누리"의 자유이용허락 표시제도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자료관리담당자
  • 담당부서 콘텐츠기획관
  • 문의처 032-440-8302
  • 최종업데이트 2025-08-28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