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관광

“어르신들의 행복한 노년을 지원합니다”

2017-05-04 2017년 5월호


“어르신들의 행복한 노년을 지원합니다”

지난해 기준 우리나라 65세 이상 노인 인구는 699만 5천652명으로 전체 인구의 13.5%를 차지했다. 통계청의 장래 인구 추계에 따르면, 노인 인구는 2020년 15.54%로 늘어나며, 2060년이면 5명중 2명(43.10%)이 노인이 된다. 인천시는 노인 복지를 위한 다양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건강한 노후를 위한 취미생활은 물론, 노인의 사회 참여 욕구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현실에 따라, 우리 시는 노인일자리 창출·확대 및 사회 활동 지원 사업을 중점적으로 추진한다.
글 김윤경 본지 편집위원



100세 시대, 일자리를 찾고 싶다
일단 가까운 노인인력개발센터의 문을 두드려보자. 우리 시는 올해 527억 원을 투입해 노인 일자리 2만4천 개를 창출하는 데 주력한다. 그동안 시는 전국 최초 프랜차이즈 (주)미추홀카페를 고령자 친화기업으로 자립시켰으며, 각 구의 실버카페 사업과 민간기업과의 협업을 통한 실버택배 사업, 환경공단과의 협력을 통한 송도 캠핑장 노인 일자리 사업 등 인천만의 특성을 살린 일자리 사업을 꾸준히 개발해 지역 특화 사업으로 정착시켜 왔다. 이로 인해 시는 공익형사업 3년 연속 ‘대상’을 수상했고, 시장형 사업의 경우 2년 연속 ‘우수상’을 수상했다.
각 구별로 운영되는 노인인력개발센터에서는 노인 일자리에 대한 자세한 정보와 참여 방법을 안내받을 수 있다.
문의 : 시 노인정책과 ☎440-2812

•인천노인인력개발센터 : 886-1855 •중구노인인력개발센터 : 762-2288•동구노인인력개발센터 : 214-570 •남구노인인력개발센터 : 888-8260
•연수구노인인력개발센터 : 818-2111 •남동구노인인력개발센터 : 466-8836 •부평구노인인력개발센터 : 528-6080 •계양구시니어클럽 : 555-
6330 •서구노인인력개발센터 : 569-1363 •강화군 복지지원실 : 930-3343 •옹진군 복지지원실 : 899-2333

더 다양한 노인 일자리는 없을까?
우리 시는 올해부터 노인의 경험과 지식을 활용해 아동 학대 예방과 홍보 강화를 도모하고자 ‘어르신 아동지킴이 사업’을 확대 추진한다. 이 사업은 지역아동센터 도우미, 초등학교 급식 도우미, 스쿨존 교통지원 등으로 22개 수행 기관에서 5천 명 이상의 노인이 참여할 수 있
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아울러 민간 및 공공 부문 협력을 통해 조경원, 요양보호사, 주유원,
경비원 직종에 대해 어르신을 파견하는 인력 파견 사업(1천 명)과 만60세 이상 어르신을 인턴으로 고용하는 기업(업체)을 대상으로 비용일부를 국가가 지원하는 시니어 인턴십 사업 추진을 통해 400개의 노인일자리를 추가로 창출할 예정이다.
문의 : 시 노인정책과 ☎440-2813

누군가의 도움이 필요하다
이럴 땐 ‘노인돌봄서비스’를 신청해보자. 우리 시는 혼자 힘으로 일상생활을 하기 어려운 어르신에게 가사·활동 지원 또는 주간 보호 서비스를 제공하는 ‘노인돌봄종합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또 홀로 사는 어르신의 안부 및 일상생활을 돌보는 ‘노인돌봄기본서비스’외에도, 실시간 어르신들의 안부를 확인하고 말벗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랑의 안심폰’을 지원한다. 사랑의 안심폰은 어르신이 버튼 하나만 누르면 돌보미에게 연결되는 긴급 연락 기능과 움직임 감지센서, 영상 확인 기능 등을 갖추고 있다. 신청은 주소지 주민센터에서 접수하면 된다.
문의 : 시 노인정책과 ☎440-2814

몸이 아픈데, 진료 및 치료비가 걱정이다
우리 시는 저소득 어르신을 대상으로 노인 의치(틀니) 시술 및 사후관리비를 지원하고, 노인 실명을 예방하기 위한 무료 검진 서비스를 실시한다. 또 무릎 인공 관절 수술도 지원한다.
의치 사업 대상자는 계양구 관내에 거주하는 만 65세 이상 기초 생활수급자와 차상위 건강보험전환자로, 거주지 보건소에 문의하면 된다. 또 만 60세 이상 노인이면 무료 안(眼) 검진을 받을 수 있는데, 검진 결과 백내장, 녹내장, 망막질환 등 안질환이 발견된 저소득층 노인들에 대해 개안 수술비를 지원한다. 이 외에도 만65세 이상 노인 중 전국 가구 중위 소득 50% 이하인 경우 ‘인공 관절치환술(슬관절)’ 인정 기준에 준하는 질환 대상자에 한해 무릎 인공 관절 수술비를 지원한다.
문의 : 시 건강증진과 ☎440-1594, 노인정책과 ☎440-2817

여가를 누릴만한 곳은 어디 없을까?
노인들에게 있어 일자리만큼 중요한 것은 여가를 즐기는 일이다. 우리 시는 노인종합문화회관과 9곳의 노인문화센터를 운영 중이다. 이곳에서는 정보통신, 컴퓨터 활용, 요가, 생활체조, 교양, 외국어 교육, 가야금, 서예, 미술, 종이접기 등의 다양한 프로그램을 진행한다.
이 외에도 만 55세 이상을 대상으로 한 ‘고령층 정보화교육’도 무료로 진행한다. 컴퓨터 기초는 물론, 인터넷, 한글, 홈페이지 제작까지 무료로 배울 수 있다.(www.itstudy.or.kr)
문의 : 시 노인정책과 ☎440-2812

갑자기 목돈이 필요한데, 어떡하지?
갑작스럽게 생활 자금이 필요할 땐 당황하지 말고 ‘노후 긴급자금대부’ 제도를 이용해보자. 노후 긴급 자금 대부 ‘실버론’은 국민연금기금을 활용해 금융 사각지대에 놓인 60세 이상 수급자에게 전·월세 자금, 의료비, 배우자 장례 보조비, 재해 복구비 등의 용도로 긴급 생활 안정 자금을 저리로 빌려주는 서민 금융 사업이다. 대부 한도는 연간 연금 수령액의 2배 이내에 최고 750만 원까지 가능하며, 초기 원금 상환의 부담을 덜어주고, 상환 시기에 대한 선택권을 주기 위해 1년 또는 2년의 거치 기간을 설정할 수도 있다.
문의 : 국민연금공단 ☎1355

 

첨부파일
OPEN 공공누리 출처표시 상업용금지 변경금지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이 게시물은 "공공누리"의 자유이용허락 표시제도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자료관리담당자
  • 담당부서 콘텐츠기획관
  • 문의처 032-440-8302
  • 최종업데이트 2025-03-12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