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관광

‘해양의 도시, 인천’전 그 뒷이야기

2017-09-29 2017년 10월호



‘해양의 도시, 인천’전 그 뒷이야기

박물관 특별 전시는 늦어도 1년 전에 주제가 확정된다. 하지만 지난 9월 12일 개막해 10월 29일까지 진행되는 ‘해양의 도시, 인천’전은 다른 전시에 비해 준비 기간이 턱없이 부족했다. 애초에 기획했던 전시가 부득이한 이유로 무산된 탓에 주제를 다시 선정해야 했기 때문이다.

글 배성수 시립박물관 컴팩스마트시티부장 사진 인천시립박물관


D-71
7월 3일

이번 전시의 주제를 ‘해양’으로 확정지었다. 박물관에 주어진 시간은 71일 남짓이었다. 부족한 시간만큼 기획자의 머릿속은 복잡했다. ‘해양’이라는 막연하고 광범위한 주제 속에 개항 이후 인천에 설치된 해양 관련 시설을 부각시키는 것으로 큰 틀을 잡고 준비에 들어갔다. 전시 준비의 첫걸음은 전시의 구성이다. ‘세계와의 조우’ ‘바다를 향한 외침’ ‘바다의 정원’으로 세부 주제를 나눈 뒤, 그 안에서 각 시설 또는 제도별로 다시 내용을 구분했다.

D-26
8월 17일


국립등대박물관에서 대여 유물을 포장하는 광경

주제와 구성이 확정된 후 전시에 출품할 유물을 선별하는 작업이 시작됐다. 1차적으로 박물관 소장품 중에서 선별하지만, 경우에 따라 외부 기관의 유물을 대여해야 한다. 해양 관련 소장품은 박물관에서 어느 정도 확보하고 있었다. 그러나 박물관에 없는 등대 관련 자료를 비롯해 몇몇 유물은 국립등대박물관 등의 협조를 구해야 했다. 유물 대여 기관이 전국적으로 분포하고 있는 까닭에 서울, 경기 지역과 부산, 경남 지역을 두 번에 나누어 다녀와야 했다. 유물 운송을 마무리 한 후 도록과 리플릿에 쓰일 사진 촬영과 문구 작성을 시작했다. 그 즈음 전시 시설 공사를 위한 전체적인 전시장의 디자인과 콘셉트도 확정했다.

D-15
8월 27일


전시 시설 공사 모습

전시 시설 공사는 머릿속에 있는 전시 구상을 구체화시키는 작업이다. ‘해양’을 주제로 한 만큼 전시의 기본 색상을 ‘블루’로 정했다. 이번 전시는 향후 다른 기관에서의 전시를 염두하고 기획했기 때문에 이동 가능한 시설로 전시장을 꾸미기로 했다. 셋으로 구분된 대주제 안에 소주제들이 나열되는 식이어서 동선을 구분하는 가벽을 최소화해 관람자가 자유롭게 각 주제를 선택하며 볼 수 있도록 했다. 열흘 넘게 진행된 시설 공사는 도색과 패널 작업을 끝으로 마무리됐다. 적어도 개막 2~3일 전에는 전시품의 진열까지 끝내고 남은 기간 동안 보완하는 것이 이상적이겠지만, 한번 설치된 시설은 폐막 때까지 수정이 불가능하기에 현실에서는 보통 유물을 진열하기 전까지 시설 공사가 진행된다. 이번 전시의 경우는 준비 기간이 짧았던 탓에 개막 전날 오전에 시설 공사를 마쳤다.


D-1
9월 11일


전시 진열 작업 중인 박물관 직원들

지금까지의 과정이 기획자를 비롯해 한두 명의 인력으로 준비해 왔다면, 진열 작업에는 거의 모든 인원이 투입된다. 진열은 보통 2~3팀으로 나누어서 진행하는데 대개 연차가 있는 직원이 진열을 담당하고 나머지는 이를 보조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오후 1시부터 시작된 전시 작업은 밤 10시가 넘어서야 마무리됐다. 그래도 이번 진열 작업은 비교적 일찍 끝난 편이다. 경우에 따라서 개막 직전까지 진열이 계속될 때도 있다. 이제 모든 과정을 거친 전시장은 관람객 맞을 준비를 끝냈다.

D-day
9월 12일 오전 10시



개막식이 끝나고 전시를 관람 중인 시민들

전시가 개막했다. 외부 초청 인사 없이 박물관 직원들만 모여 조촐한 개막 행사를 가졌다. 70일간의 모든 과정이 끝난 것이다. 다른 전시와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짧았던 준비 기간이었다. 그럼에도 전시장의 모습이 어느 전시와 다름없이 세련되고 풍부한 내용을 담고 있는 것은 우리가 볼 수 없는 기획자의 노력을 품고 있기 때문이다.

※ 이 전시는 그동안 바다를 잊고 살았던 인천 시민들에게
바다의 중요성을 인식시키고, 숙원사업인 ‘해사법원’과
‘국립해양박물관’을 유치하여 해양 주권을 되찾는 데 힘을 보태기 위해 기획했다.




해양의 도시, 인천
일시 : 9월 12일(화)~10월 29일(일)
장소 : 인천광역시립박물관 기획전시실
문의 : ☎ 440-6750

첨부파일
OPEN 공공누리 출처표시 상업용금지 변경금지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이 게시물은 "공공누리"의 자유이용허락 표시제도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자료관리담당자
  • 담당부서 콘텐츠기획관
  • 문의처 032-440-8302
  • 최종업데이트 2025-03-12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