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생활

인천 문화재 이야기

2022-01-06 2022년 1월호


일본 영사관, 인천부청, 인천시청이었다가

지금은 중구청


글·사진 김진국 본지 편집장

2021년 12월 인천중구청
 
하얀색의 가로 벽과 연한 밤색의 세로 벽이 모자이크로 무늬진 건물이 새파란 겨울 하늘 아래서 인천항을 바라보고 있다. ‘개항문화 미래도시 사람사는 복지추구’. 건물 출입구 위에 붙어 있는 슬로건이 이 건물의 성격을 말해준다.
‘인천중구청’(인천시 중구 신포로 27번길 80, 등록문화재 249호)이 이 자리에 들어선 때는 1933년이다. 당시 출입구 기둥엔 ‘仁川府廳’(인천부청)이라 한문으로 쓴 세로 현판이 붙어 있었다. 때는 일제강점기. 인천부청은 말하자면 지금의 인천시청이었는데 일제의 조선 침략 전초기지이자 식민 통치의 본산 역할을 수행하는 곳이었다. 일제는 제물포 앞바다가 잘 보이는 자리에 이 건물을 세웠다.
인천중구청은 철근 콘크리트 구조에 벽돌을 쌓아 만든 건물이다. 처음 건축했을 당시 이 건물엔 방열기가 있는 50개의 방과 지하층이 있었다. 수세식 화장실에 전등 57개, 전기시계 13개, 사이렌 1개, 피뢰침 1개 등의 시설과 공전식 구내전화 27개, 직통전화 50개 등 당시로선 최첨단 시설을 갖추고 있었다. 층계와 바닥은 화강암 석재를 사용했으며 스틸새시의 창문과 밝은 갈색 타일로 마감을 했다.
인천중구청에 앞서 이 자리엔 1902년 ‘일본영사관’이 있었다. 청일전쟁(1894~1895)에서 승리한 일본은 일본 의양풍의 2층짜리 건물을 지었는데 정면 2층에 난간이 있고 발코니와 아치 모양의 처마가 있는 건축물이었다. 일제는 통감부를 설치하면서 1906년 건물의 이름을 ‘이사청理事廳’으로 바꾸었으며, 조선을 강제병합한 1910년엔 인천부청으로 개칭한다. 이 건물은 이후 조선 식민 지배를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일본관청의 악역을 수행했다. 1937년엔 건물 양옆에 동·서 별관을 신축했다.
1945년 광복을 맞으며 인천시청사로 활용하던 이 건물은 1985년 인천시청이 구월동으로 이전한 이래 지금까지 중구청사로 활용해오고 있다.
중구지역 인구가 점차 늘면서 1988년엔 월디관, 1987년 북별관, 2004년 의회청사를 신축한다. 지금은 서별관, 북별관, 월디관, 중구의회, 동별관, 별관 등 6개의 건물이 본관을 둘러싸고 있다.
인천중구청이 인천시청이던 시절, 청사에서 신포동으로 이어지는 길가엔 ‘열애’와 같은 요정, 룸살롱 등 고급 술집이 불야성을 이루었으나 지금은 카페와 식당이 들어선 모습이다.
1960~1970년대 중구청 정문 앞 비탈길은 겨울이면 눈썰매를 타려는 아이들로 넘쳐나기도 했다. 중구청에서 대각선으로 보이는 건물은 <개항과 양관역정>의 저자 최성연 선생이 ‘서울신문’ 지사를 운영한 곳이었다.



첨부파일
OPEN 공공누리 출처표시 변경금지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이 게시물은 "공공누리"의 자유이용허락 표시제도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자료관리담당자
  • 담당부서 홍보기획관
  • 문의처 032-440-8304
  • 최종업데이트 2024-01-10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