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
-
시민 행복 메세지
시민 행복 메시지섬 = ∞섬의 날. 그리 유명한(?) 국가기념일은 아닌 것 같습니다. 매년 8월 8일입니다. 섬의 날은 삶의 터전이자미래 성장 동력으로서 섬의 가치와 중요성을 공유하자는 취지로 제정됐습니다. 그런데 섬의 날을 8월 8일로 특정한 배경이 궁금합니다.궁금증을 풀기 위해서는 ‘숫자 8’에 주목해야 합니다. 8을 옆으로 누이면 ‘∞’입니다. 섬의 미래 가능성이 무한하다(∞)는 뜻을 담았다고 합니다.그러고 보니 ∞가 두 번이나 나옵니다. 무한의 무한이면 어떤 무한일지 가늠이 되지 않습니다.얼마 전 우리나라 최북단 섬 백령도를 찾았습니다. 우리 시에서 펼치고 있는 ‘인천 보물섬 168 캠페인’에 참가한 것입니다.돌이켜보면 1박2일의 짧은 여정임에도 섬에서 조금이나마 ‘무한’의 의미를 엿본 느낌입니다.물론 개발이나 경제적 관점이 아닌 개인적인 관점에서의 ‘무한’입니다.우선 백령도에서 처음 마주한 것은 ‘무한한 신비’였습니다. 마지막 작품이니 얼마나 공을 들였을까요.광해군이 ‘늙은 신의 마지막 작품’이라고 극찬했다는 두무진의 기암괴석은 태고의 신비를 품고 있었습니다.발걸음을 옮길수록 무한한 신비의 세계에 빠져듭니다. 비경에 놀라고 절경에 반한다는 표현이 딱 어울립니다.백령도에서는 좀처럼 발동하지 않는 지적 호기심마저 꿈틀댑니다.‘감람암포획현무암’ 분포지에서는 해설사의 설명에 귀를 쫑긋 세울 수밖에 없습니다. 우주선을 쏘아올리는 첨단 우주 시대임에도 불구,인류는 아직 지구 내부의 맨틀까지는 시추하지 못했습니다. 현실이 이런데 감람암포획현무암이 맨틀의 일부를 품고 있는암석이라는 사실이 흥미를 끕니다. 어떻게 지구 밖으로
2024-11-07 2024년 11월호 -
굿인이 만난 사람
아이들의 시선으로 바라본새로운 인천글 윤은혜 본지 편집위원 / 사진 이덕재 자유사진가하교 시간이 제법 지나서인지 운동장이 텅 비었다. 교실로 들어서자 일곱 명의 아이들이 차분하게 컴퓨터 앞에 앉아 있다.힐끔힐끔 곁눈질하며 킥킥거리기도 하지만, 긴장한 듯 금세 자세를 고쳐 앉는다. 한 아이가 기대에 찬 눈빛으로 “저희 인터뷰하러 오신 기자님이세요?” 하고말문을 열자 다른 아이들도 목소리를 높이기 시작했다. “태어나서 인터뷰는 처음 해봐요!”, “와 카메라 진짜 크다!” 하며들뜬 표정으로 떠드는 모습이 영락없는 초등학생이다.10월 11일, ‘인천크래프트 크리에이터 공모전’ 수상팀이 발표됐다. 경인고속도로 지하화를 주제로 진행된 공모전에는 총 129개의 작품이 출품했으며,무려 720명이 참가했다. 그중 총 22개 작품이 수상의 영예를 안았고, 초등부 ‘New 인천팀’이 참신한 아이디어로 ‘인천광역시장상’을 거머쥐었다.초등학생들의 작품이라고는 믿기지 않는 완성도와 신선한 발상을 창의적으로 표현한 것이 높은 평가를 받았다.New 인천팀은 경인고속도로를 지하화하고 그 위에 아파트와 도서관, 공원과 쉼터, 경인역사관 등으로 이루어진 새로운 도시를 탄생시켰다.또 고속 이동 수단인 ‘하이퍼루프’를 설치하는 신기술도 선보였다. 아이들은 어떤 마음으로 새로운 인천을 그렸을까.또 아이들이 바라는 새로운 인천은 어떤 모습일까.New 인천팀 열세 살 백서율, 이준서, 최도율, 권윤제, 이주원, 이도원, 백승환 군과 지도 교사 신성대 선생님이 만든 새로운 인천의 모습을 자세히 들어봤다.경찰, 우주비행사, 남극 여행 등 다양한 꿈을 가진 New 인천팀 친구들이 공모전에 참여
2024-11-07 2024년 11월호 -
나는 <굿모닝인천> 마니아
어쩌다 마주친 글 임하경(계양구 봉오대로) 내가 다니는 회사 건물은 한 층을 네 회사가 함께 쓰는 구조다. 사무실이 비교적 안쪽에 자리하고 있어 출퇴근할 때나 화장실을 갈 때 다른 회사들 앞을 지나치곤 한다. 하루는 매일 보던 풍경 속에서 낯선 그림 하나가 눈에 들어왔다. 빨간색 표지에 ‘함께’라고 쓰인 책자, 10월호였다. 이웃 회사의 입구에 놓여 있던 그 책을 무심코 집어 들었다. 책 속에는 내가 사는 인천의 사람과 풍경, 이야기가 가득 실려 있었다. 찬찬히 한 장 한 장 읽어 내려가다 보니 선 채로 한 권을 완독했다. 사무실로 돌아와 인터넷 검색창에 ‘굿모닝인천’을 쳐봤다. 인천시에서 아주 오랜 기간 발행하고 있는 시정 매거진이라는 점과 웹으로도 구독할 수 있다는 점 등 많은 사실을 새롭게 알게 됐다. 하루하루 다람쥐 쳇바퀴 돌듯 살아가던 일상에 무언가 작은 쉼표 하나가 생긴 듯한 느낌을 받았다. 그렇게, 구독 신청을 마치고 ‘나는 굿모닝인천 마니아’ 코너에 사연을 보낸다. 비록 아직 마니아는 아닐지라도, 머지않아 어엿한 마니아가 될 내 모습을 그려보며…. 마니아를 기다립니다! 매월 ‘나는 마니아’ 코너에 소개될 시민과 독자 여러분의 이야기를 기다립니다. 과의 인연, 추억, 고마움 등 어떠한 내용이어도 좋습니다. 을 들고 찍은 사진과 사연을 보내주시면 채택되신 분께는 소정의 원고료를 드립니다. 보내실 곳 gmi2024@naver.com
2024-11-06 2024년 11월호 -
알록달록 고운 한복으로 물든 시민의 정원
仁·生·네·컷알록달록 고운 한복으로 물든 시민의 정원“인천에서의 행복한 삶을 네 컷 사진에 담는다.”이 인천사진관 ‘仁·生·네·컷’을 통해 시민 그리고 독자 여러분께 사진으로 추억을 선물합니다.참여 이하은·안소은·송은별, 조성혜·이영희, 박희준·김승현, 김정원 시민│사진 최준근 포토디렉터가을로 성큼 접어들었던 10월 19일, 한복의 날(10월 21일)을 맞아 시민의 정원 ‘인천휐뜰’이 오색찬란한 한복의 고운 빛깔로 물들었습니다. 올해로 네 번째를 맞이한 ‘한복 사랑 인천 시민 놀이마당’ 행사가 펼쳐졌기 때문입니다. 이 행사는 한복의 가치와 중요성을 알리고 국가 무형유산인 한복 활성화를 통한 한복 문화 창조와 육성을 도모하기 위해 마련됐습니다.올해는 한복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한복 전문 패션쇼, 다채로운 한복 의상을 선보인 전통 공연, 인천 생활 문화 예술인들의 무대, 한복 전시와 각종 체험 행사로 꾸며졌습니다. 특히 한복 패션쇼와 전통 공연 무대는 한복의 특성을 알기 쉽게 이야기해 주는 ‘해설형 렉처Lecture 콘서트’로 진행되어 눈길을 끌었습니다. 이 밖에도 반려동물이 한복을 입고 참여하는 ‘나도 한복 입개’, 개성 넘치는 자신만의 ‘키즈 한복 패션쇼’ 등 색다른 볼거리가 시민들의 눈을 즐겁게 했습니다.다음 호의 주인공은 바로 나!인천사진관 ‘仁·生·네·컷’에 참여를 원하시는 시민 또는 독자께서는 가족, 친구 등 사진을 함께 촬영할 분들의 간단한 소개와 짧은 사연을 메일로 보내주세요. 채택될 경우 오래도록 기억에 남을 멋진 사진을 촬영해 드립니다. 많은 관심과 참여를 부탁드립니다.참여 신청 gmi2024@naver.com
2024-11-06 2024년 11월호
- 자료관리담당자
-
- 담당부서 홍보기획관
- 문의처 032-440-8304
- 최종업데이트 2024-09-20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