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
-
인천 사람-이설야 시인
아플수록 빛나는 시인의 보석 상자이설야 시인 시인에게 인천은 한번도 찬란하게 아름다운 적이 없었다. 도시의 풍경은 아프도록 남루했고, 삶은 고통스럽게 슬펐다. 떠나고 싶었지만 번번이 주저앉을 수밖에 없던 도시에서, 시인은 여린 마음을 할퀴는 거친 모래 같은 아픔을 곱씹어 진주를 닮은 시를 쓴다.글 정경숙 본지 편집장│사진 김성환 포토저널리스트 이설야 시인의 어린 시절은 궁핍했다. 동네 모두가 먹고살기 힘들던 그 시절의 기억은 강렬한 이미지로 남아 있다. 월셋집이 모여 있는 화평동 뒷골목은 장마가 지면 집안까지 온통 물이 들어차 ‘똥바다’와 이어질 듯했다. 건너편 수문통시장은 가난한 아이들의 거친 놀이터였다. 뽑기와 뻥튀기의 달콤하고 고소한 냄새 너머로 보이는, 개 잡는 집에는 막 잡은 개 사체가 매달려 있곤 했다. 가난은 시인의 꿈을 가로막았다. 인문계 고등학교를 졸업해 문예창작을 전공하고 싶었지만, 선생님은 당연하다는 듯 상업계 고등학교 원서를 내밀었다. 원치 않는 방향으로 삶이 흘러가던 여고생 시절, 시인의 주위는 불길한 예감으로 가득했다. 마작을 하는 주인집 할머니네 담장 옆 쓰레기통에 죽어 있던 길고양이의 눈빛이 그랬고, 신흥동 여인숙에서 까맣게 탄 장판에 누워 한숨 쉬던 다섯 살 소녀의 눈빛이 그랬다. 하지만 스스로 결핍을 지우고 꿈을 가로막던 장벽을 걷어내며, 시인은 기어이 꿈을 이뤄냈다. 다만 인천을 벗어나겠다는 바람만은 끝내 이뤄지지 않았다. 그는 인천에서 돈을 벌고, 인천에서 공부하고, 인천에서 등단했다. 본격적으로 시를 쓰기 시작한 곳은 난생처음 인천을 떠나 머물던 중국이었지만, 그의 시는 인천을 벗어나지 못했다
2020-02-28 2020년 3월호 -
부평 스토리텔러 박명식
시민 시장 박명식 “부평 미군부대, 시민공원 만들어 역사문화도시 꽃피워야”자신이 발 딛고 살아가는 땅을 사랑하는 아이들은 반드시 좋은 사람으로 성장할 것이고, 더 살기 좋은 도시를 만들 것이라 믿습니다. 글 김진국 본지 총괄편집국장│사진 김성환 포토저널리스트 부평 미군부대는 ‘금단의 땅’이었다. 1년에 꼭 한 번, 추수감사절 때 들어갈 수 있었다. 아버지가 전화기를 설치하는 군무원이었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었다. 대학 시절엔 캠프마켓에서 ‘알바’를 하는 행운을 얻기도 했다. 결근하는 군무원이 발생했을 때 그 가족들에게 주어지는 특혜였다. “제가 어렸을 때 부평엔 논밭 아니면 미군부대밖에 없었습니다. 농사짓는 사람들과 미군부대 근무하는 사람들이 전부였지요.” 하촌(현 부평5동)에서 태어나 토박이로 살아온 박명식(59) 씨는 부평 스토리텔러다. 미래의 주인인 아이들, 부평을 찾는 사람들에게 조곤조곤 고향의 얘기를 들려주는 건 무엇과도 바꿀 수 없는 행복이다. 조병창 건설 전 무슨 일이 있었나, 캠프마켓은 어떻게 흘러왔는가, 부평공단을 만든 진짜 주체는 누구일까. 학교에서 혹은 역사의 현장에서 이뤄지는 그의 설명은 흥미진진하면서도 재미있다. “1905년 을사늑약 이후 일제가 토지 수탈을 위해 가장 먼저 토지 조사를 시작한 곳이 부평입니다. 부평 미군부대 땅은 애국자와 친일파 간 100년 동안 소송이 진행된 땅이기도 하지요.”사람들이 잘 모르는 부평 이야기를 그는 ‘한 보따리’ 품고 있다. 평생 부평에 살면서 쌓은 경험과 지식의 보따리다. 그도 그럴 것이 부평동초·부평중·동산고·성균관대를 나와 농협에서 근무하고 개인 사업을 할 때도 그의
2020-02-28 2020년 3월호 -
인천사진관
사진을 찍어드립니다추억을 걸어드립니다하나는 둘이 되고, 둘은 또 넷이 됐습니다. 늘어난 숫자만큼 사랑은 배가 됐습니다. 아내는 저를 만난 것이 인생 최고의 행운이라 말합니다. 아닙니다. 아내 인생 최고의 행운은 아직 오지 않았습니다. 지나온 날보다 다가올 나날이 더 행복할 테니까요. 고맙습니다. 워킹맘의 무게를 묵묵히 견디며 미소를 잃지 않아줘서. 아이들 틈바구니에서 남편까지 살뜰히 챙겨줘서. 노력하겠습니다. 한 여자의 남편으로서, 두 아이의 아빠로서 부끄럽지 않은 삶을 살겠습니다. 누구보다 자랑스러운 가장이 되겠습니다. 언제든 기댈 수 있는 든든한 나무가 되겠습니다. 매년 결혼기념일마다 가족사진을 찍겠다는 우리의 약속, 올해부터가 시작입니다. 김환주 독자님 가족이달의 사진은 ‘청라사진관’에서 찍어주셨습니다.경기가 좋을 땐 이웃을 위한 사진 봉사도 거르지 않았습니다. 녹록지 않은 요즘이지만 마음만은 여유를 잃지 않으려 노력합니다.‘청라국제도시 1호 사진관’이라는 타이틀은 윤의경 사진사의 자부심이자 희망입니다. 위치 서구 중봉대로612번길 10-17 문의 032-568-5687 시민 여러분의 참여를 기다립니다! 가족과 소중한 추억을 남기고 싶은 인천 시민이라면 누구나 참여하실 수 있습니다. 가족에 대한 소개와 가족사진을 찍고 싶은 이유를 간단히 적어 보내주세요. 신청 : 이메일 goodmorningic@naver.com (성명/연락처/주소 필수)"documentPr": { "di": "", "dp": { "dn": "test.hwp", "ta": 1, "d1": 5, "d2": 0, "dv": 5, "dr": 1, "do": 1, "vj": "1.0", "an": "Hancom Office Hangul", "av": "9, 1, 1, 4673", "ao": "WIN", "ab": "32", "ar": "LE", "as": "Windows_Unknown_Version" }, "dis": false, "ds": { "ti": "", "la": "ko", "cr": "user", "su"
2020-02-28 2020년 3월호 -
내가 사랑하는 인천
음악이 살아 숨 쉬던 그 동네 길을 걸으며 글 김중석 지휘자"documentPr": { "di": "", "dp": { "dn": "test.hwp", "ta": 1, "d1": 5, "d2": 0, "dv": 5, "dr": 1, "do": 1, "vj": "1.0", "an": "Hancom Office Hangul", "av": "9, 1, 1, 4673", "ao": "WIN", "ab": "32", "ar": "LE", "as": "Windows_Unknown_Version" }, "dis": false, "ds": { "ti": "", "la": "ko", "cr": "user", "su": "", "de": "", "cd": "2020-02-28T14:54:28.216Z", "md": "2020-02-28T14:54:28.227Z", "pd": "1601-01-01T09:00:00.000Z", "ke": "" } }, "dh": { "do": { "pa": 1, "fo": 1, "en": 1, "pi": 1, "tb": 1, "eq": 1 }, "fo": [ ], "cd": { "tp": 0, "lc": { "af": false, "ui": false, "fu": false, "dn": false, "ul": false, "el": false, "at": false, "tq": false, "da": false, "dw": false, "dj": false, "bc": false, "bu": false, "al": false, "ab": false, "ap": false, "an": false, "aa": false, "ds": false, "de": false, "as": false, "cp": false, "ao": false, "et": false, "ay": false, "am": false, "a1": false, "bt": false, "av": false, "dh": false, "dp": false, "d1": false, "mf": false, "bl": false, "ag": false, "dg": false, "ae": false, "df": false, "do": false, "dl": false, "di": false, "d2": false, "d3": false, "ob": false, "d4": false, "ev": false, "d5": false, "d6": false, "a2": false, "dc": false } }, "ld": { "pa": "", "pi": true, "fo": false } }, "bf": { "01D5EDFB8ADE5B200000001F": { "id": 1, "td": false, "sh": false, "st": 0, "sc": 0, "si": false, "bt": 0, "bi": false, "cl": 0, "bc": false, "lt": 0, "lw": 0, "lc": 0, "rt": 0, "rw": 0, "rc": 0, "tt": 0, "tw": 0, "tc": 0, "bbt": 0, "bbw": 0, "bbc": 0, "dt": 1, "dw": 0, "dc": 0, "fi": { } }, "01D5EDFB8ADE5B2000000020": { "id": 2, "td": false, "sh": false, "st": 0, "sc": 0, "si": false, "bt": 0, "bi": false, "cl": 0, "bc": false, "lt": 0, "lw": 0, "lc": 0, "rt": 0, "rw": 0, "rc": 0, "tt": 0, "tw": 0, "tc": 0, "bbt": 0, "bbw": 0, "bbc": 0, "dt": 1, "dw": 0, "dc": 0, "fi": { "wb": { "fc": 4294967295, "hc": 0, "al": 0, "hs": -1 } } } }, "cp": { "01D5EDFB
2020-02-28 2020년 3월호
- 자료관리담당자
-
- 담당부서 콘텐츠기획관
- 문의처 032-440-8302
- 최종업데이트 2025-03-12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